v700 지도 부탁드려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손창익
- 작성일 : 11-08-17 13:51
관련링크
본문
몇 번사용해보고는 구석에 쳐박혀 있네요..습기에 보호되라고 물먹는 하마 몇마리가 근처에 놀구 있구요
전** 회원의 니콘9000ed에서 중형스캔할때는 감동되었 던 기억이 나는데...
v700으로 스캔받으니 그럭저럭하네요....물론 사용법을 잘몰라서 그럴거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가격도 훨씬 저렴하니 질이 떨어지겠다고 예상은 했지만 그래도 실망감이....)
사용설명서 보니 반짝이는 면을 아래로 놓아라는 말외에는 별로 영양가 없는 말들만...
흑백사진 몇개 스캔해봤지만 사진이 고만고만하네요~~~
(고향사투리로는 매가리가 없다)
* 제가 사용한 셋팅은 이렇습니다.
- 모드 : 프로페셔널
피름홀더 또는 가이드
-해상도 : 100dpi
- 8비트 그레이스케일 설정
-스켄패일 : tiff or jpeg
-사이즈 : 뭔말이지 몰라서 대충......
6x 6 과 6x9 스캔방법이 다른지....미리보기에서 사진이 잘리고 하네요
좀더 나은 스캔결과물을 위해 작은 팁이라도 꼭 좀 도와주세요~~~~~~~
댓글목록
김대석님의 댓글

아마도 9000이디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가격대비 최고의 성능을 가진 것이 브이 700이 아닌가 싶네요.
매가리가 없다는 것은 전혀 동의할 수 없습니다. 제 중형사진들... 아마도 2007년부터 포스팅이 되어있는데
그 모든 사진들은 브이700으로 스캔한 사진들입니다.
세팅값들과 미세 조정(컬러, 컨트라스트, 채도, 먕도) 등을 통히면 굳이 포토샵이나 라이트룸으로
보정하지 않아도 훌륭한 결과를 얻을 겁니다.
저의 셋팅값과 보정 방법을 정리해 봅니다.
엡손 스캔창에 떠 있는 순서대로입니다.
1. 모드 : 프로페셔널
2. 사용자 정의 : 현재설정
3. 문서형식 필름(필름홀더사용)
4. 필름형식 : 필름에 따라서 설정해주세요.
5. 이미지형식 : 컬러필름(포지/네가 모두)은 48비트 컬러, 흑백은 16비트 그레이스케일로 지정
6. 해상도 : 800dpi (사실 웹 포스팅용이라면 300dpi 정도도 무방, 만일 확대 인화를 한다면 인화할
사이즈에 맞춰 dpi 값을 높입니다)
7. 문서크기 : 별 의미 없음...
8. 대상크기 : 원본크기
조정은 건너뛰고 후술 합니다.
9. 흐린영역필터~디지털 ICE 까지는 체크박스를 해제 합니다...
10. 섬네일에 체크합니다.
다음으로 환경설정
-미리보기탭
1. 미리보기창 크기 : 크게
2. 미리보기 이미지회전 체크해제
3. 고속미리보기 : 체크해제
4. 농도계 샘플링영역 및 스포이드 샘플링영역 : 1X1 pixel
5. 섬네일 자르기 영역 : 크게 쪽으로 지정
-컬러탭
1. 컬러조정을 선택
2. 연속자동노출에 체크 (화면감마는 1.8로 지정)
-필름크기탭
1. 중간형식필름크기 : 66필름이라면 6*6, 67이라면 6*7, 69라면 6*9를 선택해 둡니다.
이거 안하고 66으로 되어있는데 69필름 넣으면 당연 잘리겠죠?
-기타탭
1. 설정저장에 체크
2. 작업영역 : C나 D나 본인의 선택
이리하시고 스캔을 합니다. 미리보기 하시면 섬네일에 사진이 뜨고
섬네일의 첫컷을 클릭하면 사진이 확대되어 보이죠.
1. 스캔영역을 적절히 드래그 하여 지정하고
2. 흐린영역필터에 체크
3. 그레인감소 : 이건 거친사진을 부드럽게 해 줍니다.
4. 컬러복원 : 컬러사진의 경우 이 박스를 체크하면 사진의 원컬러를 복원해 줍니다. 필요시 선택
5. 역광교정 : 이것을 체크하면 촬영시의 역광보정과 같은 역할. 체크하여 사진의 변화를 보면서 선택
6. 먼지제거 : 스캔 후 먼지가 있을 경우 제거해 줍니다. 작은 먼지만 해당 (흑백필름일 경우 사용)
7. 디지털 ICE : 스캔 후 먼지가 있을 경우 제거해 줍니다. 작은 먼지만 해당
(컬러필름일 경우 사용, 흑백필름은 효과 없음)
조정창은 막대그래프, 톤조정, 이미지조정 창을 모두 화면에 띄워 놓고 최적의 색감, 컨트라스트, 톤,
채도 등을 조정합니다.
이 과정을 한 컷 한 컷 모두 마친 후 스캔을 합니다. 스캔할 폴더를 지정하시고.....
이상 참조가 되었으면 합니다. 아마도 매가리 없는 ㅋㅋ 사진에서 똘똘한 사진으로 스캔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손창익님의 댓글

김대석 선배님의 주옥과도 같은 가르침 너무 감사드립니다.
위 5번 이미지 형식 : "흑백은 16비트 그레이스케일로 지정"에 대하여 조금만 더 여쭐께요
8비트보다 16비트가 더 좋을 것 같아 16비트그레이스케일을 선택해서 스캔해보았는데
포토샵에서 JPEG로 전환되지 않아 혼쭐이 났던 기억이 있어서 저는 8비트로만 스캔하고 있습니다.
16비트로 스캔후 JPEG로 전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주옥같은 가르침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김대석님의 댓글

허걱!! 그건 나도 잘 모릅니다... 저도 디지털 초보라서...
그런데 저장할 때는 아예 Jpeg으로 저장을 하세요...
tiff로 굳이 저장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포샵에서 굳이 jpeg로 저장하지 않아도
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포샵도 포샵이지만... 사진 전 이거 별로 쓸줄 몰라요... 엠9 사용하면서 시작한
라이트룸을 강추합니다.
손창익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김대석
허걱!! 그건 나도 잘 모릅니다... 저도 디지털 초보라서...
그런데 저장할 때는 아예 Jpeg으로 저장을 하세요... tiff로 굳이 저장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포샵에서 굳이 jpeg로 저장하지 않아도 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포샵도 포샵이지만... 사진 전 이거 별로 쓸줄 몰라요... 엠9 사용하면서 시작한 라이트룸을 강추합니다. |
네~~ 잘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영모님의 댓글

jpg로 바꾸시시고 작업하시려면 8비트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프린트가 목적이라면 16비트 이상 tiff로 스캔, 작업하시고 최종적으로 save as에서 jpg로 따로 저장하실 것을 추천합니다.
애초부터 웹용으로만 쓰실거라면 스캔부터 jpg로 하시면 용량과 스캔 시간에서 잇점이 있겠지요.
참고로 요즘 저는 4*6 사이즈 정도 프린트가 가능한 사이즈(35mm 기준 1800dpi), 24비트 칼라, tiff로 스캔하고 필름 마운트에서 빼기 전에 마음에 드는 사진들은 700만 화소 정도(2400 dpi)가 되도록 다시 스캔합니다.
칼라로 스캔했을 때 끼는 잡색은 라이트룸이나 포토샵(CS5)에서 흑백으로 전환합니다.
윤원찬님의 댓글

V700 초보입니다.
김대석님 셋팅대로 스캔중입니다.
실내사진의 경우 컬러복원 영역 선택유무에 따라 사진 색감 변화가 많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김영모님의 댓글

오늘 선생님께 문의 했는데 흑백 네거티브일 경우도 16비트, 혹은 48비트로 하라고 하네요.
중간인 24비트는 사용하지 마시랍니다.
수정합니다. 가능한 최고의 비트수로 하는 것이 흑백 네거티브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물론 프린트를 목적으로 할 때...
김대석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윤원찬
V700 초보입니다.
김대석님 셋팅대로 스캔중입니다. 실내사진의 경우 컬러복원 영역 선택유무에 따라 사진 색감 변화가 많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
컬러복원의 경우 예를 들면 석양, 새벽, 구름낀 날, 실내 조명 등
통상적인 주광 촬영이 아닌 경우 색온도를 보정하는 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컬러복원을 클릭하면 강제적으로 색온도를 보정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기
때문이죠. 이를 스캔의 컬러조정을 통하여 조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잘 쓰면 좋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도 있습니다. 컬러복원을 클릭하여
변화를 보면서 취사선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재민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손창익
김대석 선배님의 주옥과도 같은 가르침 너무 감사드립니다.
위 5번 이미지 형식 : "흑백은 16비트 그레이스케일로 지정"에 대하여 조금만 더 여쭐께요 8비트보다 16비트가 더 좋을 것 같아 16비트그레이스케일을 선택해서 스캔해보았는데 포토샵에서 JPEG로 전환되지 않아 혼쭐이 났던 기억이 있어서 저는 8비트로만 스캔하고 있습니다. 16비트로 스캔후 JPEG로 전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주옥같은 가르침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흑백을 8비트로 스캔할 경우 2의 8승= 256 가지의 빛의 농도를 구별하여 기록할 수있지만
16 비트로 하게되면 2의 16승 = 65,536 가지의 각각 다른 빛의 세기를 담을 수있습니다.
하지만 현존하는 흑백 필름중 65,536 의 빛을 담을 수있는 필름은 불행하게도 없고
이런 측면에서 tx400 이 가장 나은 2의 10승 =1024 정도의 범위를 담을 수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결국 8비트 스캔이라면 필름에 담긴 빛을 모두 파일로 전환할 수 없다는 결론이 생깁니다.
이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8비트로 스캔한 파일을 포토샵의 level 에서 0 과 255 에있는
스케일을 움직여 그 사이를 좁히고 파일을 저장한뒤 다시 level 을 열어보시면 사이사이에
빈 공간들이 나타납니다. 그 빈 공간은 사진에 데이타가 없다는 표시이며 사진 전체로 봐선
256 가지의 빛도 다 포함하지 못한 사진이 되어 버린 것입니다.
같은 사진을 16 비트로 스캔하여 같은 조정을 해 보시면 이 사진은 다시 열었을때도
그대로 빈 공간 없이 채워져있습니다. 0 에서 255 사이의 모든 다른 세기의 빛을 아직 담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흑백은 16 비트 컬러는 16x3 = 48 비트로 스캔하고 모든 조정이 끝난뒤
저장하시기 전 Image>Mode>8bit/Channel 을 선택하시고 jpeg 포맷으로 저장하시면 됩니다. 처음의 16 비트로 스캔하신 파일은 원본이라 생각하시고 저장해 두시면 좋겠지요.
손창익님의 댓글

장재민 선배님의 명강의에 감탄이 쏟아져 나옵니다.
김대석 선배님, 김영모님의 가르침으로 스캔을 해보았습니다.
훨씬 좋아진 듯 합니다... 가르침에 감사드립니다.
http://leicaclub.net/forums/showthre...679#post289679
* 사진이 안올려져 사진붙인 글을 링크합니다.
허영주님의 댓글

여러 선배님들의 좋은 말씀
기록해 두겠습니다^^*~
질문과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이동욱님의 댓글

V700으로 오래(10년이상)된 Tri-x 400 필름을 스캔중에 어려움이 많았었는데
선배님들을 통해서 많은 가르침을 받았읍니다.
특히 "한컷 한컷 모든 과정을 마친 후에 스캔"하라는 말씀에 새로운 것을 하나더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