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네가보다 슬라이드필름의 관용도가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이원종
  • 작성일 : 11-08-14 14:02

본문

안녕하십니까
사진을 좋아하는 청년입니다.

잠시 카메라를 떠나 살고있지만, 그 아쉬움에 라클에서 선배님들의 사진감상으로
속을 달래고 있습니다.

최근 필름으로 전향, 이론적 지식이 부족한 터라 조금씩 메모해가며 공부하고 있는데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예전, 우연히 얻게 된 슬라이드필름을 ev값 조정 없이 사용, 사진을 의도대로 찍는데 실패하였습니다. 네거티브필름에 비해 슬라이드(positive)필름이 노출에 있어 관용도가 떨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현재 m2를 쓰고 있는데, (실제로 잡아본 기간은 2일밖에 되지 않았지만) ev값 조정하는 다이얼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혹시 조정하는 기능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추천 0

댓글목록

김인택님의 댓글

김인택

이원종님 m2를 쓰신다니 반갑습니다
m2에는 노출계가 없습니다, 당연히 감도조절장치 또한 없습니다.

정규택님의 댓글

정규택

앗 이원종 군인 아저씨네요.^^
먼저~~ 충 성!


M2 이 소총은 가늠자/ 가늠쇠(노출계)가 없는 모델입니다.
이유로....별도의 노출계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물론 뇌출계로 쏘셔도 되지만? 정확한
측광이 안되는 이유로 잘 맞지 않겠습니다.


노출계가 없으니? 별도로 EV값을 조정하는 보정 장치도 없습니다.
렌즈의 조리개 수치로 약간씩 돌려 보정하는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 네거티브 ( 살상용 / 인화용 )
- 포지티브 ( 대량살상용 / 인쇄 원고용 , 슬라이드 영상용 )
대략,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필름의 종류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결국, 네거티브는 인화용으로 만든 필름이다보니 보정의 폭이 크며...
포지티브의 경우는 보정 폭이 좁습니다. 쉽게는....어둡게 찍힌 필름을 슬라이드 영상으로 본다면?
스크린에서도 어둡게 보이죠...........ㅠㅠ 노출 실패는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보통 사진 전문가용으로 색 재현력이 뛰어난 포지티브 필름을 대부분 선호하시고요.
가격이 비싼 것이 흠입니다. ( 필름+현상비 )



노출 실패에 따른 경우는 보통 역광 및 주변 간접광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여기에 반사율에 따른 노출계의 원리를 이해하신다면? 큰 어려움은 없을 듯합니다.

참고로 예전에 적었던 '노출보정'내용을 링크합니다. 참고용으로만..^^;
http://inphoto.net/board/view.php?id...desc=asc&no=59


충 성!

이원종님의 댓글

이원종

인용:
원 작성회원 : 정규택
앗 이원종 군인 아저씨네요.^^
먼저~~ 충 성!


M2 이 소총은 가늠자/ 가늠쇠(노출계)가 없는 모델입니다.
이유로....별도의 노출계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물론 뇌출계로 쏘셔도 되지만? 정확한
측광이 안되는 이유로 잘 맞지 않겠습니다.


노출계가 없으니? 별도로 EV값을 조정하는 보정 장치도 없습니다.
렌즈의 조리개 수치로 약간씩 돌려 보정하는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 네거티브 ( 살상용 / 인화용 )
- 포지티브 ( 대량살상용 / 인쇄 원고용 , 슬라이드 영상용 )
대략,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필름의 종류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결국, 네거티브는 인화용으로 만든 필름이다보니 보정의 폭이 크며...
포지티브의 경우는 보정 폭이 좁습니다. 쉽게는....어둡게 찍힌 필름을 슬라이드 영상으로 본다면?
스크린에서도 어둡게 보이죠...........ㅠㅠ 노출 실패는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보통 사진 전문가용으로 색 재현력이 뛰어난 포지티브 필름을 대부분 선호하시고요.
가격이 비싼 것이 흠입니다. ( 필름+현상비 )



노출 실패에 따른 경우는 보통 역광 및 주변 간접광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여기에 반사율에 따른 노출계의 원리를 이해하신다면? 큰 어려움은 없을 듯합니다.

참고로 예전에 적었던 '노출보정'내용을 링크합니다. 참고용으로만..^^;
http://inphoto.net/board/view.php?id...desc=asc&no=59


충 성!



덕분에 어느정도 확실히 감을 잡게 된 것 같습니다

센스있는 댓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사진생활 하시구요, 저도 다른분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충 성 !

고광석님의 댓글

고광석

설명이 정말 기가 막히군요. 군인아저씨에게는 특히 실감나는---

진인구님의 댓글

진인구

필름카메라를 사용해본 적이 있는 분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해서
어떤 수준의 답을 해드려야하는가 판단이 안섭니다만..

필카, 필름 사진을 이해하려면
단편적인 질문과 답에 의존하지 마시고
체계적으로 공부하시면 어떻겠습니까?

시중에 사진관련 책이 많이 나와있는데요.. 요즘엔 디카와 후보정 사진 천지지만.. 옛날에 나온 책을 구해 보시기 바랍니다. 필름에 관한 책도 있었는데요... 필카를 쓴다면 당연히 필름 공부를 하셔야하겠지요.. 사진이 만들어지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니까요..

질문에 대한 아주 간단한 답을 제가 해보자면요..
네가와 포지 두 필름의 관용도가 왜 차이가 나는가 하면요..

필름을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가 가장 간단하고 정확한 답이 될 것입니다.

그럼.. 다음 질문이 생기겠죠? 왜 그렇게 달리 만들었는가.. 하는..

그에 대한 답이 위 정규택님이 설명한 것인데..

보완설명을 제가 드리자면..

슬라이드 필름은, 프로젝터용도 (과학적 용도인 경우가 많지요)와 인쇄용 (패션잡지나 내쇼날지오그래픽 등이 .. 지금은 모르겠으나, 예전에는 모두 슬라이드 사진으로 찍은 것들로 압니다) 입니다. (인쇄용과 인화용을 혼돈하지 마세요..)

그럼.. 질문의 요체가 뭣인가하면..
슬라이드 필름도 네가 필름처럼 관용도를 높여서 만들면 안되겠는가... 하는 것과 같은데요.. ㅎㅎ

그럴 필요가 아예 없어서 그렇게 안 만드는 것일 겁니다..

슬라이드 필름은 찍고 현상하고 끝이죠.. 인화과정에서 후보정하지 말라는 얘기나 다를 바 없습니다.

현상하고 인화과정에서 .. (또는 현상과정에서도) 인위적으로 보정하기를 원한다면
네가티브 필름을 사용해라... 하는 것이 제조사의 생각이 아니겠나 싶군요..

김미영님의 댓글

김미영

슬라이드 필름은.... 노출계없이는 힘들지 않을까요~ ^^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