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V/IR 필터는 필름에 영향없는지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진인구
- 작성일 : 11-05-02 23:02
관련링크
본문
UV/IR (자외선, 적외선) 필터라는 유례없는 물건이 등장하였지요.
이 필터를 필름사진에 사용해도 일반 UV 필터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인가요?
즉, IR필터 기능이 일반 필름에 어떤 영향을 주는 것인지요?
( 칼라필름과 흑백필름을 구분해야하겠군요)
또, 이 UV/IR필터를 M9 에 사용해도 그냥 UV필터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인지요?
정답을 알고 싶습니다 ^^
(혹시.. 그냥.. 맞거나 말거나라든가.. 아님 말고라든가.. 하는 댓글 다시는 분들은 제가 죽는날까지 성함 기억해두겠습니다... ^^)
질문 던져놓고 보니 오늘 어떤 분이 똑같은 질문을 올렸네요? ^^ 미쳐 못봤습니다.
계속 검색해보니, 2007년에 어느분이 같은 질문을 했고..
UV/IR 필터 설명서에 칼라필름에서는 사진 귀퉁이에 변색현상이 있으니 사용하지 말라라는 설명이 있다하네요..
참고 >> http://leicaclub.net/forums/showthread.php?t=57267
과연 그럴까요?
그럼, 흑백필름에 대해서는 언급없는걸로 보아. 흑백에서는 괜찮다는 것 같군요..
제가 UV/IR 을 Summarit-M 에 상시 부착시키고, 칼라필름, 흑백필름에 여러번 사용해보았는데요...
칼라필름에서 변색이 있다든가.. 그런거를 느끼지 못하고 지냈는데요...
하여튼.. 정확한 답을 기다려봅니다..
(그리고.. 저 나름대로도 계속 인터넷 검색해보겠습니다.)
추가: 인터넷바다에서 가장 신빙성 있는 글은 역시 라클 게시판인가봅니다.
이 UV/IR 필터관련해서 불과 몇달전에 라클 게시판에 올라와있군요..
한지영 님이 권위있는 답을 해주신 것 같습니다.
즉, UV/IR은 필름에 별 영향주지 못한다. 단, 광각렌즈에서는 UV/IR필터 사용시
IR(적외선)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cyan casting 이 생길수 있으니 조심할 것..
그 글타래는.. >> http://www.leicaclub.net/forums/showthread.php?t=78573
그런데.. 35미리 렌즈 (E39) 에 UV/IR 필터를 장착하고 1년간 칼라필름, 흑백필름에 두루 사용한 제 경우에..
이거 막눈이어서 여태껏 cyan casting 을 발견 못한 것인지.. (magenta casting 은 다른 경우에 본 적 있는데
cyan casting 이라니.. 이건 진짜 구별하기 힘들 것 같은데 말이죠.. 네가 칼라필름에서 그림자진 부분에서는
칼라발란스때문에 푸른빛이 돌게 되어있는데.. 이것과 cyan casting 이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 건지...
cyan casting 을 본 적이 없으니 현재로는 상상 불가.. ^^)
아니면 35 미리렌즈는 위에 언급한 광각렌즈 축에 끼지 않을지도 모르겠군요.. ^^
댓글목록
정진화님의 댓글

M3, summicron 28mm, Provia100에 UV/IR 필터를 장착하여 촬영된 사진입니다. (정확히 검증은 하지 않았습니다만, UV/IR 장착시 컬러캐스트 외에 노출에서도 0.5 stop 정도 언더가 나는 것 같았습니다)
강웅천님의 댓글

제가 디지털 바디를 사용하지 않아서 주워들은 정보로 답변한 것이 탈이 되었군요.
제 실력이 이렇게 미천한 것이 탄로나고 말았네요.
앞으로 어설픈 실력으로 게시판을 어지럽히는 일을 삼가도록 하겠습니다.
없는 실력으로 연감까지 만든 처지가 부끄럽습니다.
부끄러운 이름은 지워주시길 부탁합니다.
이세연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정_진_화
M3, summicron 28mm, Provia100에 UV/IR 필터를 장착하여 촬영된 사진입니다.
|
칼라필름에서는 확실히 문제가 있는가보네요~~
그런데 참 신기하네요..칼라필름에는 문제있는데 어찌하여 디지탈에는 괜찮은건지..
우동균님의 댓글

전 M8을 사용해보지 못해 UV/IR에 대한 관심이 없었습니다만, 글타래로 인해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올려주신 질문이 1. M8과 UV/IR의 관계, 2. Analogue film camera와 UV/IR의 관계 에 대한 것이라면,
라이카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FAQ 그리고 M8.2 Instruction을 참고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한 답변이라고 생각합니다.
Google에서 검색하여, 링크로 올려 드립니다.
(File을 Download하시어, 검색창에 UV 또는 IR을 검색하시면, 해당 내용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www.google.co.kr/search?as_q=...B2%80%EC%83%89
***FAQ에 여러 내용이 있는데, 한 두개 복사해서 아래 설명을 첨부합니다.
(나머지 내용들도 읽어볼만한 FAQ입니다)
3.1 Why should I use a UV/IR filter with my LEICA M8?
The M8’s very high image quality was achieved by – among other things - employing an especially
thin IR blocking filter on the CCD sensor. However, this also causes a raised sensitivity to longwaved
IR light. In most cases, this will not have any effect whatsoever on the resulting images. In
certain situations however, e.g. when black (synthetic) fabrics are illuminated by incandescent
light, these are rendered purple or dark red.
Using Leica UV/IR filters on the lenses is a very simple and effective way to eliminate these effects
without otherwise impairing image quality with the LEICA M8. Additionally, they protect your
valuable lenses’ front elements against mechanical damage.
3.4 Can I leave the UV/IR filters attached when photographing with analogue M cameras?
Leaving the UV/IR filters attached when photographing with conventional film would cause colour
casts in the frame corners. Therefore, Leica recommends removing the attached UV/IR filters
when using lenses from 16 to 50mm in analogue photography.
Reference : FAQ_Leica_M8&M8.2_Sept_2008en.pdf, M8.2_Instructions_en.pdf http://en.leica-camera.com
진인구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강웅천
제가 디지털 바디를 사용하지 않아서 주워들은 정보로 답변한 것이 탈이 되었군요.
제 실력이 이렇게 미천한 것이 탄로나고 말았네요. 앞으로 어설픈 실력으로 게시판을 어지럽히는 일을 삼가도록 하겠습니다. 없는 실력으로 연감까지 만든 처지가 부끄럽습니다. 부끄러운 이름은 지워주시길 부탁합니다. |
민감하게 받아들이니, 제가 더 죄송스럽습니다.
틀린 답은 아니네요.. 라이카 FAQ에도 그리나와있으니 말이죠..
그러나 라이카 FAQ설명이 좀 부족한 것도 사실같습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정_진_화
M3, summicron 28mm, Provia100에 UV/IR 필터를 장착하여 촬영된 사진입니다. (정확히 검증은 하지 않았습니다만, UV/IR 장착시 컬러캐스트 외에 노출에서도 0.5 stop 정도 언더가 나는 것 같았습니다)
|
넘 넘 감사합니다.
M8 에 lowpass filter 가 CCD앞에 없기때문에, IR 필터를 별도로 렌즈앞에 장착하기 위해 UV에 IR 포함한 UV/IR 필터를 배포한 것인데..
이 UV/IR 필터가 붉은 색을 띄지요.. 그래서 이 붉은 색이 칼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건지가 평소 좀 궁금하긴 했습니다.
어쩌면 그래서 노출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도 모르겠군요.. 저도 노출 테스트를 해보고 다시 여기 결과 올리겠습니다.
그런데, 이제 더 기본적인 질문이 하나 생겼습니다.
IR은 원래 필름 (칼라를 말하겠죠?)에 영향을 주지 않는 광선으로 알고 있는데..
그래서 암실에서 붉은 등을 켜는게 아니던가요?
그런데, 모든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CCD앞에 IR 을 제거하는 장치를 해놓는다는 건 무슨 뜻인가 모르겠네요.. 이 장치를 안해서 M8 에서 폴리에스터류의 검은 옷 색상이 보라빛을 띄게 되는데... 그렇다면, 적외선이 칼라에 영향을 준다... 라는 말이 되지 않습니까?
그런데.. UV/IR 필터를 사용해서 적외선을 걸러내니.. 또 칼라에 문제가 된다???
그러니까.. CCD 앞에서 IR을 걸러내면 아무 문제 없고.. 렌즈 앞에 장착해서 걸러내면.. color casting 이 생긴다... 이렇게 정리되는군요...
뭣이 좀 헷갈리는군요.. ㅎㅎ
진인구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이세연
칼라필름에서는 확실히 문제가 있는가보네요~~
그런데 참 신기하네요..칼라필름에는 문제있는데 어찌하여 디지탈에는 괜찮은건지.. |
듣고보니 그것도 그렇군요..ㅎㅎ
근데.. 디저털에 괜찮다는 건 UV/IR 필터를 M8 에서 사용할 때만 괜찮다는 것이지..
M9 처럼 lowpass filter가 내장된 바디에서, 렌즈에 UV/IR필터를 UV 필터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칼라캐스팅이 생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만일 그리 된다면.
결국 IR filter 라는 것이 렌즈 앞에 장착되었을때.. IR만 걸러내는 게 아니고.. 그 붉은 끼가 칼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뭐.. 그렇게 해석해야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만...
제가 M9 없어서 지금 장담 못합니다.. ㅎㅎ
김기환★님의 댓글

일단 노출치는 영향이있습니다.
간단하게 렌즈앞에 uv/ir 필터를 대보면 노출을위한 셔터타임의 변화를 보실수있을겁니다.
한지영님의 댓글

오래전에 작성한 제 글이 명확하지 않아 혼동을 가져온것 같습니다.
재차 보다 명확하게 정리하자면
1. 필름은 ir에 반응하지 않지만 센서는 반응합니다.
2. 그래서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센서앞에 로우패스필터를 사용해 ir을 걸러냅니다.
3. 로우패스 필터는 센서의 해상력을 떨어트립니다.
4. 해상력 극대화를 위해 M8 에서는 로우패스 필터를 제거합니다.
5. 로우패스필터가 없는 대신에, 렌즈에 UV/IR필터를 사용하여 ir을 제거합니다.
UV/IR을 사용하지 않을 시, 적외선이 감광되어 색이 많이 틀어지게 됩니다.
6. 문제는 UV/IR필터 사용시 주변부에 cyon캐스트를 야기합니다. 35미리 이하의 광각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며 28mm부터는 확연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광학단계에서 발생하는것이므로
필름과 디지털 모두 발생합니다.
7. 디지털의 경우, 해당렌즈의 정보를 받아(6비트) 적절하게 cyon캐스트를 sw적으로 자동보정해줍니다.
필름의 경우 그런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떄문에 cyon캐스트가 발생합니다.
8. 결론은 컬러사진에서 M8에서는 UV/IR필터가 필수이면서, 동시에 35미리 이하의 광각렌즈를
쓸려면 6비트 라이카렌즈를 사용하는것만이 안전한 상태입니다.
또한 아날로그 바디를 병행하는 경우, 아날로그 바디에 광각렌즈를 물릴때에는
UV/IR필터를 제거하는것이 좋습니다. 매우 높은 확률로 cyon캐스트가 발생합니다.
물론, 흑백에서는 상관없습니다.
9. m9역시 로우패스필터가 없습니다. m9의 경우는 이미지프로세싱에서 ir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펜탁스의 645d도 그렇습니다. 로우패스 필터가 없으면 ir문제 말고도 직물의 모아레 현상이
생깁니다. 그래서 m9과 645d는 패션 스튜디오 장비로 활용하기엔 적합하지 않습니다.
10. uv/ir필터는 스펙상 노출배수 1X입니다. 원칙적으로 노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인데
카메라에서는 1/3스탑 언더로 인식하는 경우가 꽤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컬러캐스트가 주변부광량저하처럼 평균측광에 영향을 주는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합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우와.., 한지영님의 설명이 정답인가봅니다.. (정답인지 오답인지 제가 알 수 있으면 제가 질문하지도 않았겠지요? ㅎㅎ .. ) 설명이 조리가 맞게 되어있는 것 같아서, 저는 정답일 것으로 알겠습니다. ^^
몇가지 더 쪼꼼 궁금한게 있긴 하지만..
결론은 그러니까,
1) 흑백에는 상관없다
2) 디지털 M9 에서는 UV/IR 필터를 쓰면 .. 어찌된다는 설명이 빠졌지만.. 아마도 칼라캐스팅이 생길 것 같군요..
3) color 필름에서는 UV/IR 필터를 광각28미리에서는 쓰지 말고.. 35미리에서는 칼라케스팅이 나올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긴 하지만 가능성 배제 못한다.
이렇게 정리가 되겠군요..
한지영님 ..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