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렌즈알이 큰 것과 작은 것 차이?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진인구
  • 작성일 : 11-03-24 14:27

본문

얼마전에 코시나 헬리어 15/4.5 를 구해서 사용하다가
렌즈가 깨끗한가... 하고 들여다보려했더니..
요 렌즈가 콩알보다 더 작네요? ㅎㅎ
렌즈알이 하도 작아서 렌즈에 뭐가 묻었는지 도저히 알아볼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갑자기 생각난건데요..

같은 밝기의 같은 촛점거리의 렌즈로서

렌즈알이 큰 것과 작은 것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렌즈알이 크면, 더 빛을 잘 받아들이는 건가요?

초광각 렌즈들은 렌즈알이 작은데.. 그래서 비네팅이 잘 생기는 것인지..

렌즈를 구성하는 유리알의 크기가 화질과 어떤 관계인지...
잘 아시는 분들의 설명을 좀 부탁드립니다..
추천 0

댓글목록

마루/이영주님의 댓글

마루/이영주

렌즈 알이 커지는 것은 렌즈 최대구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초점거리와 렌즈 구경사이의 문제인데 50mm 렌즈를 1,4로 하는 것과 1.2로 하는 것은 렌즈 앞의 구경이 달라집니다. 초점거리를 앞 렌즈 구경으로 나누면 최대구경이 됩니다(이때 필터 사이즈가 아니라 제일 앞의 유리입니다). 그래서 200mm 렌즈를 1.8로 하려면 렌즈 앞 부분이 그렇게 커지는 것입니다. 필터로 얘기할 때 49mm와 63mm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필터의 구경이 작을수록 연마가 쉽지만 커지면 계산도 복잡해지고 허용수치라든가 연마 등 여러 면에서 큰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업체 입장에서는 렌즈 앞 구경이 작을수록 더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렌즈가 최대구경이 클수록, 즉 밝을수록 가격이 비싼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500mm 초점거리를 최대 구경 1.2로 한다면 렌즈 앞 구경이 500mm 가까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아는 정도는 요 정도입니다.

전상춘님의 댓글

전상춘

렌즈알이 커서 많은 양의 빛이 들어오는것과 작아서 그만큼밖에 못들어오는거 그런차이 아닐까요?

초광각렌즈들
그 안에 곰팡이라도 있는지 살펴볼려면 여간 힘드는거 아니지요^^
루뻬로 들여다봐도 대충 안보이데요~
근데 육안으로 보는것만큼 중간렌즈들이 그렇게 작은건 아닐거라 생각됩니다
오목렌즈들의 조화로 그렇게 보이는것일뿐

유인환님의 댓글

유인환

인용:
원 작성회원 : 마루/이영주
렌즈 알이 커지는 것은 렌즈 최대구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필터로 얘기할 때 49mm와 63mm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필터의 구경이 작을수록 연마가 쉽지만 커지면 계산도 복잡해지고 허용수치라든가 연마 등 여러 면에서 큰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업체 입장에서는 렌즈 앞 구경이 작을수록 더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렌즈가 최대구경이 클수록, 즉 밝을수록 가격이 비싼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제가 아는 내용도 이영주 님의 글 내용과 같은데요 -

요는 같은 촛점거리에 같은 밝이의 렌즈를 만들 더라도
구경이 작으면
구면수차, 색수차 등의 문제 해결이 비교적 쉬워서
만드는게 훨씬 쉽고 (제작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도 덜 들고(따라서 렌즈 가격을 낮출 수 있고)
그런 이유로 알고 있습니다 -
(이게 아니면 말고 식의 대답은 아니래야 할텐데 - - ?)

장충기님의 댓글

장충기

제가 조금 혼란스러워서 글을 올려 봅니다.
같은 밝기의 같은 초점거리라면 렌즈의 구경이 같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같은 밝기라면 최대 조리개 값이 같다는 것이고,
렌즈의 밝기= 초점거리/렌즈의 유효구경 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무언가를 혼동하고 있는건지요?

홍건영님의 댓글

홍건영

인용:
원 작성회원 : 장충기
제가 조금 혼란스러워서 글을 올려 봅니다.
같은 밝기의 같은 초점거리라면 렌즈의 구경이 같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같은 밝기라면 최대 조리개 값이 같다는 것이고,
렌즈의 밝기= 초점거리/렌즈의 유효구경 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무언가를 혼동하고 있는건지요?


말씀하신 내용은 이론적 필요치를 계산하는 것이고
실제 각각의 렌즈 설계에서는 여러 이유로 적용하기 어려운 공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19미리 f/2.8 SLR 렌즈는 말씀하신 공식에 의해서
대물렌즈의 필요직경이 6.8mm에 불과하지만
실제로는 레트로포커스 설계에 의해서 대물렌즈에 음의 렌즈가 사용되기 때문에
6.8mm가 아니고 60mm 크기의 대물렌즈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RF는 플랜지백이 짧아서 SLR처럼 레트로포커스 설계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서 대칭형 설계가 광각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레트로보다는 저 공식에 더 가까운 크기의
작은 렌즈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만 실제 설계에서는 마냥 작은 크기의 렌즈를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대표적 대칭형 설계인 16mm f/8 Hologon 렌즈를 생각해보면 필요 크기가 2mm입니다만 실제로는 더 큰 유리가 사용되고 있죠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