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8,9 : 초보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김선근
- 작성일 : 10-04-10 08:45
관련링크
본문
R6.2에서는 문제 없었는데(SCA351)....
R8,9 바디에서 플레쉬 동조 사용시, 촬영 모드 설정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요.
스피는 "X"에 놓고 촬영 모드를 "A"에 두었더니만 모두 노출 부족이네요.
노출부족 정도가 아니라 엉망 ....허걱ㅋㅋㅋ
플레쉬는 II (후막동조:SCA3502)에 찍었습니다.
기타... 플래쉬 활용 방법에 대한 조언 구합니다(주로 역광) .
댓글목록
강웅천님의 댓글

셔터 스피드를 X에 두었다면 조리개는 어떻게 하셨는지요?
A모드는 조리개 우선 방식입니다.
X모드는 셔터 스피드가 250이 되네요(김선근님 카메라는 어떤지 확인 바랍니다)
그러니 당연히 노출 부족이 될 수 밖에요.
제 경우는 그냥 셔터 스피드를 60에 두고, 수동으로 주리개를 맞춰가며 찍었습니다.
R6.2에서는 A모드가 없으니 당연히 셔터 스피드를 X에 두고(아마도 R6.2는 1/125) 조리개를 적정에 조절하시지 않으셨는지요?
저도 답답해졌습니다. ^ ^
숙제를 풀어야지요.
김선근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강웅천
셔터 스피드를 X에 두었다면 조리개는 어떻게 하셨는지요?
A모드는 조리개 우선 방식입니다. X모드는 셔터 스피드가 250이 되네요(김선근님 카메라는 어떤지 확인 바랍니다) 그러니 당연히 노출 부족이 될 수 밖에요. 제 경우는 그냥 셔터 스피드를 60에 두고, 수동으로 주리개를 맞춰가며 찍었습니다. R6.2에서는 A모드가 없으니 당연히 셔터 스피드를 X에 두고(아마도 R6.2는 1/125) 조리개를 적정에 조절하시지 않으셨는지요? 저도 답답해졌습니다. ^ ^ 숙제를 풀어야지요. |
강웅천님 죄송합니다.
조언 주시는 사이 제가 추가로 덧 붙였습니다.
플래쉬 사용시의 동조관련 질문이었습니다.
제가 충분히 의미 전달하지 못한 부분 또한 죄송합니다.
R6.2에서는 촬영모드 설정없이 (그냥 M이 되겠죠),플래쉬 TTL에두고 셔터 스피드만 "X"(1/125)에 놓고 셔터만 누르면 조리개값 읽어와서 동조가 되었드랬습니다.
R8,9 에서는 셔터 스피드 "X"(1/250)이 뜨는군요.
저는 R6.2에서와 마찬 가지로 슈SCA3502 사용시 플래쉬 모드는 TTL에 두고 스피드 "X" 에 설정하면 ...스피드 1/250, 조리개값 읽어와 광량은 플래쉬가 알아서 터지는줄 알았습니다.
근데...이것이 노출 부족 정도가 아니라 ..엉망입니다.ㅋㅋㅋ^*^
김선근님의 댓글

아무런 생각없이 찍어 놓고...
현상,스캔후 참혹 결과를 접하고 나서, 다시 생각해 봤습니다.
R6.2에서는 광량 부족으로 플래쉬에 의존해서 찍은 것이었습니다.
R8,9에서는 주광에 인물 역광이었습니다.
아무른 생각없이 셔터만 누르면 사진 나오는줄 알고 ㅋㅋㅋ
플래쉬를 거의 사용하지 않다보니...
이제야 정신이 번쩍 듭니다.
강웅천님의 조언에 답이 있었군요.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김완호님의 댓글

결국은 스트로보 설정 전반에 대한 질문이라 주구장창 길어질 수 있어 답글이 없는 것 같은데 그래도 가장 기본은 짚어드려야할 거 같아서 몇 자 적습니다.
일단 X는 최고 동조속도로 그 이하의 셔터스피드에서는 스트로보를 A모드에 설정하고 카메라의 조리개수치를 스트로보의 조리개수치와 일치시켜서 사용합니다. 이때 셔터스피드를 적당한 수준에 세팅해야하는데 이 부분이 바로 노하우라고 봐야겠죠. (메이커 불문 공통사항)
스트로보를 TTL에 놓으실 경우 카메라는 P,A,S 모드에 놓을 수 있으나 통상 A모드는 그리 권장하지 않습니다. (메이커 불문 공통사항) 스트로보에 대해 충분한 지식이 없을 경우 P모드, 어느 정도 지식이 쌓였을 경우 S모드를 주로 사용합니다. (왜 S모드를 주로 사용하는지는 결국 스트로보에 대한 총괄적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라 글로 설명하기는 곤란하다고 봐야겠죠. ^^; )
스트로보 A모드에 대한 이해는 각종 게시판에서 메츠를 검색해보시면 어느 정도 실마리가 잡힐 수 있겠는데 10여년 전에 하이텔 시절 쓰여진 메츠사용법에 대한 장문의 글을 발견하시면 좋은 도움이 될 겁니다.
스트로보 A모드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신 후 TTL모드를 이해하시면 스트로보는 마스터라고 봐야겠죠.
어쨌든 추가적인 사항은 결국 스트로보에 대한 AtoZ가 될 수 있으므로 일단은 여기서 줄입니다.
현 상태에서는 스트로보는 TTL, 카메라는 P모드에 놓고 촬영하시길 추천합니다.
충분히 만족할만한 사진을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이 리플은 메이커불문 총론적인 성격이므로 라이카에서 뭔가 특징적인 부분을 제공한다면 예외적인 것으 봐야겠지만 일단 모든 메이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으로 이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김완호님의 댓글

일반적인 주광촬영에서 흔히 사용되는 조리개치가 5.6인데 스트로보 촬영에서 1/60초도 비슷하게 사용됩니다. 결국 두개의 수치를 조합해서 스트로보 A모드에 놓고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어차피 TTL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스트로보라면 TTL 모드를 사용하는 게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최신 기술이니까요. ^^ 실제 니콘의 경우 TTL모드의 신뢰성이 매우 높습니다.)
강웅천님의 댓글

김선근님이 답을 찾으셨는지요?
간단하게는 카메라는 M 모드에 설정하고, 플래시는 A 혹은 TTL 모드에 설정하시면 됩니다.
제 기억으로는 메츠 플래시는 설정 조리개를 사용자가 설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조리개를 결정하고 화각을 결정해주면 플래시가 그만큼의 빛을 분출해내는 것이었습니다.
윗 질문에서 A가 혼돈을 주었던 것이 카메라의 A모드인가? 플래시의 A 모드인가였는데,
제가 이해하기는 카메라의 A모드이고, 그래서 조리개 우선식에서 역광이다보니 셔터 스피드는 X(1/250)이 되고 조리개를 상대적으로 높게 잡아서 노출 부족이 된 것이지요.
이때 적정 조리개가 된다면 플래시의 도움으로 역광에서의 노출 부족을 보완할 수 있겠지만
조리개 수치를 만일 16에다 설정(프로그램 모드)하셨다면 무조건 노출 부족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주광에서라면 조리개를 웬만큼 설정해도 셔터 스피드가 1/250이기 때문에 웬만한 거리에서는 노출 부족이 심각하게 나타나지 않을텐데, 빛이 약한 아침이나 오후에 플래시를 사용한 역광이라면
최소 조리개 근방에서 문제가 될 수 있겠지요.
셔터 스피드는 1/250 이하에서는 별 문제 없는 것으로 압니다. 꼭 X에 두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모를까....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