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를 못찾아 문의 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여환영
- 작성일 : 10-03-04 16:29
관련링크
본문
이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아시는분 좀 간략히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광화문 오시면 커피한잔 쏘겠습니다...

댓글목록
서기연님의 댓글

여기저기 올라있는 글이라 원 작성자명은 모르지만 그분께 감사하며 같이 읽어보려 합니다.
여환영님께 참고되셨으면 합니다,^^
.................................................. .................................................. .................
( 원래 번역자의 간략체 반말 입니다. 제가 하는 반말 아닙니다.^^)
(라이카 렌즈명.)
라이카의 렌즈명은 특이하다. 보통은 CANON의 50밀리 f2렌즈 라는 식으로 말하지만,
라이카에서는 즈미크론 50밀리라고 말한다. 라이카 렌즈에서는 주로 개방 F치에 이름이 붙어 있다.
여담이지만, 라이벌인 콘탁스는 렌즈 구성에 이름을 붙이고 있다.
현행의 라이카 렌즈는 엘마를 제외하면 단지 개방 f값의 이름이다.
번성기 무렵의 라이카 렌즈는 개방 f값별로 이름을 붙인 것도 있지만,
렌즈 구성별로 이름을 붙이고 있던 것 같고, 같은 f값에도 많은 이름이 있기는 하다.
[녹티룩스: Noctilux]
개방f값,1과1.2에게 부여한 이름. 밤의 빛이라고 하는 의미. 라이카 렌즈에서는 가장 비싸다.
[즈미룩스 : Summilux]
개방 f치 1.4. SUMM은 라틴어의 summa에 유래, 「최고의 물건」이라고 하는 의미.
앞에 Summ이라고 붙는 렌즈는 Gauss 타입의 렌즈가 많은 듯 하다.
[즈마리트: Summarit]
개방f치 1.5. 즈미룩스의 형님뻘에 해당한다. 현행에는 없다.
*추가: 개방치 2.5의 35, 50, 75, 90 mm가 근래 발매되었다.m8용의 6bit짜리도...
[즈미크론 : Summicron]
개방f치 2. 명렌즈가 많다 . M형 라이카의 얼굴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즈미타르:Summitar]
개방f치 2. 즈미크론의 형님. L마운트의 50밀리 밖에 없다. 현행에는 없다.
[즈마르 : Summar]
개방f치 2. 즈미타르의 형. 즈마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현행에는 없다.
[즈마론 : Summaron]
개방f값 2.8과 3.5. 이 개방 f값은 엘마나 엘마리트와 중복되는데,
즈마론은 촛점거리가 35밀리 밖에 없고, 현행에는 없다.
* 추가- 28mm f5.6도 있습니다.
참고로 이28mm는 1955-1963사이에 생산된 스크류마운트로 총6,228개 생산되었습니다.
[엘마 : Elmar]
개방f치 2.8과3.5. 이만큼 별종으로 렌즈 구성에 이름이 붙어 있다, 가장 긴 시대를 산 렌즈 .
바르낙크형 라이카의 명렌즈. M형이 발매되고나서 즈미크론에 그 자리를 건네 주었지만,
지금도 현행 제품으로 남아 있다.
3군5매구성의 엘막스(Elmax)와 아나스티그마트(Anastigmat)를 형님으로 가진다.
엘막스와 아나스티그맛트는 이름만 다른 완전히 같은 렌즈.
아나스티그마트는 렌즈의 비점수차 보정(非点?差補正)렌즈라고 하는 의미이지만,
그 당시 이 이름은 타사의 렌즈에도 꽤 볼 수 있어서 오리지날의 이름을 붙이려고 엘막스라고 변경하었다.
엘막스는 에른스트 라이츠(Ernst Leitz) 2세와 렌즈 설계자 막스·베레크(Max Berek)의 머리 글자를
따붙인 것은 너무도 유명.
[엘마리트 : Elmarit]
개방f치 2.8.
[헥토르 : Hektor]
현행에는 이미 없는 렌즈이다. L마운트 밖에 없다. 개방f값도 여러가지로 f1.9부터 f6.3까지 있다.
텟사 타입으로, 한가운데의 렌즈에 오목 렌즈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렌즈 설계자 막스 베레크의 애견의 이름에서 따온 것은 너무 유명. 현행에는 없다.
[탐바 : Thambar]
라이카 렌즈에서는 유일한 소프트포커스 렌즈. 라이카렌즈 통털어 이것 밖에 없다.
90mm f 2.2 총생산대수 3.200개로 희귀하고 고가임
[쿠세논(Xenon)] : 라이카 렌즈지만 슈나이더에서 공급.
[수퍼 앵귤론(Super-Angulon)] : 라이카렌즈지만 슈나이더에서 공급.
[홀로곤(Hologon)] : 라이카렌즈지만 짜이즈에서 공급.
.................................................. .................................................. ..................
*일본 사이트에서 발췌 정리 번역* 했다는 것을 퍼옴.
강웅천님의 댓글

맨처음 라이카 렌즈의 모태가 된 렌즈를 3군4매로 ELMAR(엘마), 4군6매의 렌즈를 SUMMARON(주마론)이라 이름을 붙여 구분하였다가
이후 렌즈들이 다양해지고 같은 렌즈라도 성능 향상이나 원가 절감을 위해 렌즈의 구성을 달리하면서
점차 개방 조리개 수치에 따른 구분으로 굳어져 간 듯 합니다.
개방조리개 수치
F1.1, F1.2 렌즈를 녹티룩스
F1.4 렌즈를 주미룩스
F2 렌즈를 주미크론
F2.8 렌즈를 엘마 혹은 엘마릿 등으로 부르고
위에 설명된 것처럼 라이카 초기에 다양하게 이름을 가진 렌즈들이 많았습니다.
마치 자동차들의 이름처럼 생각하시면 편하겠습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SUMMI - 는 SUMMIT 최고, 정상이라는 어원에서 나온 것이고
LUX 는 빛이라는 뜻
그래서 SUMMILUX 는 최고로 밝은 렌즈라는 뜻으로 F1.4 렌즈에 붙였구요
하지만, SUMMICRON 이 먼저 나온 렌즈로 압니다 (당시에는 2.0 보다 더 밝은 렌즈는 없었는지)
CRON 은 시간이라는 어원이 있습니다. CHRONOLOGY 같은 단어가 그런 어원을 갖지요..
최고로 빠르다 라는 뜻으로 사용된 걸로 압니다..
이태인님의 댓글

저도 궁금하던 차였는데,
가려운 곳, 긁은것처럼 아주 시원하게 풀렸습니다^^
따로 스크랩이라도 해야겠군요 ㅎ
진인구님의 댓글

photo.net 인가 어디에선가 전에 읽은적이 있는데
ELMAR 는 그 렌즈 개발자의 강아지 이름이라는게 정설이라고 합니다..^^
강웅천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진인구
SUMMI - 는 SUMMIT 최고, 정상이라는 어원에서 나온 것이고
LUX 는 빛이라는 뜻 그래서 SUMMILUX 는 최고로 밝은 렌즈라는 뜻으로 F1.4 렌즈에 붙였구요 하지만, SUMMICRON 이 먼저 나온 렌즈로 압니다 (당시에는 2.0 보다 더 밝은 렌즈는 없었는지) CRON 은 시간이라는 어원이 있습니다. CHRONOLOGY 같은 단어가 그런 어원을 갖지요.. 최고로 빠르다 라는 뜻으로 사용된 걸로 압니다.. |
스크류 마운트 렌즈로 1936-1948년까지 XENON F1.5 50MM 렌즈와
1949-1961년까지 SUMMILUX의 전신이 되는 SUMMARIT F1.5 50MM렌즈가 있습니다.
이들은 주미룩스 1ST와 렌즈의 구성과 형태가 같습니다.
점차 SUMMILUX로 발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