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 렌즈와 T-max400 궁합(?)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이대기
- 작성일 : 09-08-26 11:42
관련링크
본문
뒷북 질문이 아닐런지 모르겠습니다.
T-max가 처음 발매될 당시, try-x만 사용하던 제가
새로운 필름에 적응하려고 무진 애를쓰다가 명암대비의 분위기가 약해서
기어이 적응 못하고 여직 사용을 꺼려하고 있습니다.
질문:
T-max가 암부 표현이 좋다고 하더군요.
이 말은 컨트라스트가 떨어진다고 봐야 하나요?
구형렌즈가 신형 렌즈들에 비하여 컨트라스트가 약하다고 하나요?
그럼,
60년이 넘은 구형 렌즈들인 Summaron 3.5 Summitar 에 T-max를 사용 할 때.
+2 촬영/-30%부족현상을 하고있는 지금처럼 한다면,
T-max는 너무 계조폭이 좁은(컨트라스트가 약한) 사진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을런지요?
댓글목록
강인상님의 댓글

저도 티맥스를 많이 사용해보진 않았지만 의견 드려봅니다.
티맥스(T-MAX)는 T-grain 에멀젼 공법을 채용한 필름으로 유명합니다.
T-Grain 공법은 기존의 필름 그레인(보통 Pebble-둥근 조약돌-구조)을
정육각형의(Tabular) 구조로 만들어 바꾼 것입니다.
KODAK 특허로, T-GRAIN 공법은 색과 빛의 흡수력 문제를 해결한 최첨단 필름 제조공법으로
짧은 시간내에 많은 빛을 받아 선명한 이미지를 재생하는 공법이라고 코닥社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저장하는 Emulsion의 구조를 바꿈으로써 빛과 색의 흡수력을 높였다고 합니다.
이처럼 T-GRAIN공법은 이를 채용한 KODAK 필름에
적은양의 방사선 노출로도(50%정도 감소) 뚜렷한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같은 이야기로 T-grain은 할로겐화은 입자의 형태가 납작하여,
현미경 사진을 보면 표면에 빨래판처럼 홈들이 있습니다.
이 홈들은 같은 양의 빛에 대해 흡수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고합니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입자라도 빛에 노출되는 단면적이 크게 되는것이죠.
같은 감도일경우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암부표현이 좋다고 말씀하신 부분은 아마도,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암부의 표현이 비교적 좋다라고 이해되는 부분일 수 있습니다.
제가 드리는 의견은 참고용으로 생각하셔야하며,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혹 잘못된 점이 있다면 다른 회원님께서 고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단지 T-gain을 채용한 대표적인 필름이 T-MAX라는 것을 설명 드린 것입니다.
그리고 컨트라스트 부분을 말씀하셨는데 필름이나 렌즈의 영향도 있겠지만,
현행이나 올드의 렌즈의 경우 컨트라스트는 때로는 촬영 상황에 많이 좌우되는 것을 종종 느끼곤 합니다.
한가지 렌즈를 쓰면서도 어떤 때는 강한 콘트라스트를 또 어떤 때는 약한 콘트라스트를 보여줄 때도 있는 것 같습니다.
우선은 두루 써보시면서 노출 상황이나 현상 법에 변화를 주시면서 사용해보시면 어떠실런지요.
저도 티맥스를 유념해서 사용해 보아야하겠습니다. ^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