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새로운 디지털 카메라, Micro Four Thirds ... EP-1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최민호
  • 작성일 : 09-06-16 18:15

본문

오랫동안 기다리게 하던 카메라가 드디어 선보이게 되는군요.
케논이나 니콘 얘기들을 많이 하는데 제가 보기에는 라이카가 많은 영향을 받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업체의 홍보기사가 왜 "DSLR"카메라로 소개되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엄연히 라이카처럼 RF스타일의 디지털 버전이니 당연히 "DRF"라고 해야 할텐데...

M8에서 왜 지금까지 화소수를 올리지 않을까 좀 안타깝게 생각했는데,
결국 이 올림프스 DRF에 선수를 빼았겼군요. 1300만 화소수나 되니...
M8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제야 진정한 DRF의 시대가 열리는 듯 합니다.
과연 M8과의 승부에서 승자가 될 것인가...?
http://www.zdnet.co.kr/ArticleView.a...20090616162924
추천 0

댓글목록

홍건영님의 댓글

홍건영

미러가 없으니 SLR도 아니고 레인지파인더가 없으니 RF도 아니고 그렇네요

이재유님의 댓글

이재유

디자인에선 실망이지만 우선 올림푸스 디지털 펜이외에는 대안이 없는듯 합니다. 드디어 디지털 카메라를 사게 될거 같습니다.

최민호님의 댓글

최민호

참 그렇군요. 미러 만 생각 했는데 거리계 연동도 안되는 카메라군요.
새로운 용어가 필요한 시점이군요. Micro Four Thirds... MFT

오류도 좀 있을 지 모르겠으마 대충 일본에서 얻은 정보는 이렇습니다.

============================ EP-1 제원 ============================

형식 : 마이크로포서즈 규격 준거 렌즈 교환식 카메라
기록 매체 :SD 메모리 카드(SDHC대응)
촬상 화면 사이즈 :17.3mm×13.0mm
렌즈 마운트 : 마이크로포서즈마운트
유효 화소수 : 카메라부 유효 화소수(1230만화소)
촬상 센서 형식 : 4/3형태 하이 스피드 Live MOS 센서
총화소소수 : 약1310만화소
어스펙트비 : 1.33(4:3)
방진 대응 : 초음속 웨이브 필터(SSWF:초음파 방진 필터)
정지화면 기록 방식 ,기록 포맷 : DCF, DPOF준거/Exif 대응, PRINT Image Matching Ⅲ
기록화상형식 : RAW(12bit 로스레스 압축), JPEG,JPEG+RAW
기록화상사이즈 : [RAW] 4032×3024 [JPEG] 4032×3024 640×480
동영상 기록 방식 : AVI Motion JPEG(30fps)
※기록 매체는SDHC Class6(을)를 추천
동영상 기록화 소수 : HD:1280×720 16:9
SD:640×480 어스펙트 4:3(VGA)
최장 기록 시간 : HD:7분 SD:14분
음성 녹음 : 음성 기록 방식 WAVE 포맷 준거 스테레오 리니어PCM/16bit 샘플링 주파수44.1kHz
최장 기록 시간 : 정지화면:최장30초
동영상:동영상 촬영 시간에 준한다
라이브뷰 : 시야율100%, 노출 보정 반영, 화이트 밸런스 반영, 계조 오토 반영,
얼굴 검출 반영(최대8사람), 괘선 표시, 히스토그램, 확대 표시(7배/10배),
퍼펙트 쇼트 프리뷰,OFF
손떨림 보정 형식 : 내장식(촬상 센서 시프트식손치우침 보정)
모드 3모드(I.S.1,I.S.2,I.S.3)

유효 보정 범위 : 최대4EV(렌즈의 종류나 촬영 조건에 의해 다릅니다)

동영상 촬영시 전자손떨림 보정

후면 액정 모니터 : 하이퍼 크리스탈 액정 , 사이즈 3.0형

재생시 시야율 : 100%

휘도 조정 : ±7단계 조절 가능

색온도 조절 : ±7단계 조절 가능

포커스 : AF방식 하이스피드이메이쟈AF

※포서즈렌즈(하이스피드이메이져 AF대응 렌즈를 포함한다) 장착시는,C-AF설정시S-AF에서도 작동.

포커스모드 : 싱글(S-AF) / 컨티뉴 AF(C-AF) / 매뉴얼 포카스(MF)
AF 포인트 : 11 개
AF 포인트 선택 : 올타켓, 싱글타켓
AF잠금 : 싱글AF에서 반셧터
MF어시스트 : 포커스링 조작에 따라 크기가 표시된다.(S-AF+MF, MF모드시)


노출측광방식 : TTL찰상센서측광 . 324 분활디지털 ESP측광、 중앙중점측광、스포트측광、

하이라이트 샤도우콘트롤

측광범위 : EV0~18(17mm F2.8、 ISO100)

노출제어방식 : iAUTO、프로그램AE(프로그램 시프트가능)、조리개우선AE、 셔터우선AE、

매뉴얼, 신셀렉트AE、 포츄레이터, e-보드레터, 풍경, 풍경과 인물, 야경, 야경과 인물,

어린이, 하이키, 로우키,기타경감, 마크로, 네이쳐마크로,캔들,석양,문서,파노라







김기환★님의 댓글

김기환★

제가 보기에는 현존하는 DSLR과 P&S 디지털의 중간정도의 대안이라고 생각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선 화소는 비슷한 1300만화소대이지만 마이크로 포서드라는 포맷 자체가 워낙에 촬상 면적이

좁다보니 아무래도 심도표현등에서는 동거리와 동촛점거리 렌즈, 동조리개값일경우 손해가

있을테구요. 거기다 프린트에서도 아무래도 차이가 날것이라고 예상되는데 말이죠..

dslr은 도저히 우락부락해서 싫으시면서 P&S화질은 도저히 용납이 안된다..

적당히 중간정도를 아우른 바디같은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처음에 돌아다니던 나무색 비슷한 그게 훨씬 이쁘네요...

디자인이 2% 아쉬워요 윽!

안종현님의 댓글

안종현

오늘 실물을 보고 왔는데 생각보다 멋진 카메라더군요 ^^

가격도 아마 80~120사이일꺼 같다는 생각에 값도 참 착하고요

실물이 참 미남입니다 기능을 말할 것도 없고요 ^^

김재호S님의 댓글

김재호S

저도 오늘 보고 왔습니다..
무엇보다도 기대 한것처럼 가벼운 바디에 라이카와 C/Y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아닌가합니다.

JUKKAI/최정민님의 댓글

JUKKAI/최정민

개인적으로도 관심이 있던 제품인데,
제품이 좀 풀리면 살펴봐야겠습니다

김선근님의 댓글

김선근

한가지 의견을 여쭤도 될까요?

렌즈 교환 및 호환과 유효화소수를 제외하고 D-LUX4와의 장단점은 무엇이라 보면 되겠습니까?

이미 M바디 및 렌즈는 필요한만큼 있고,1000만 화소대의 디지탈 P&S도 있지만 ...
D-LUX 4를 구입하려니 망설여져 문의를 해봅니다

유성수님의 댓글

유성수

같은 라클 회원들 사이에서도 평가와 선호가 다르군요.
어떤 스타일의 카메라를 즐겨 쓰느냐에 따라 사진기를 보는 눈이 다른가 봅니다.
우좌지간, 마이크로 포 서즈 라는 새로운 타입의 카메라로
틈새 시장을 노리는 한편
캐논, 니콘에 밀린 올림푸스가
새로이 돌파구를 찾으려는 노력이라 생각 되는 군요.

이용규님의 댓글

이용규

가지고 있는 라이카렌즈를 쓸 수 있다는 좋은 점이 있지만...
1:2의 상황에서는 유용성이 많이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준광각이라고 할 수 있는 35mm 렌즈를 장착해도 70mm 망원이 된다는 뜻인데..

또.. 일반 안경끼고는 가까운 곳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LCD 보면서 사진 찍는 것도 쉽지 않
을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더 좋을 것들이 많이 나오겠지요^^

김재호S님의 댓글

김재호S

무거운 Summarex를 들고 갔는데 이론상으로 170mm 가 되겠지요.^^
바디가 작고 가벼워 Summarex와의 조합시 무게감이 많이 상쇄 되었습니다.

제가 느낀것은 M렌즈 중에 자주 사용하지 않는 화각 또는 렌즈를 재미 있게 스냅용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점이 괜찮겠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 했습니다.
특히 잘 사용하지 않고 묵혀만 두었던 콘탁스의 C/Y렌즈들을 다시 사용할수 있는점이 저에게는 끌리는
부분이었습니다.

최고의 디지털 장비를 사용여 작업하는 일이 제 직업이라 아이러니하게도 더 아날로그적인
수동 카메라를 좋아 합니다. 그래서인지 다른 부분은 크게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디지털이라고 하나 있는게 D-lux3인데 구입한지 몇년 되었는데 거의 사용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디지털 모듈과 많은 기능 들은 수동 필름을 메인으로 사용하시는 저에게는 큰 장점으로 느껴지기보다
복잡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동영상 부분에서 HDMI 화질로 요즈음 인기있는 UCC, 가정용 동영상등에 훌륭한 화질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은 일반분들에게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16GB 메모리 카드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만큼 컴퓨터나 편집 프로그랩의 사양이 높아져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모든 디지털 기기들은 앞으로 기능 부분보다 스토리지와 빠른 네트워크가 꼭 수반되어야합니다.

크기는 제가 Pen Ft를 들고 갔는데 두께는 E-P1이 약간 얇았고 크기도 조금 작았습니다.
쇼케이스 발표때에 E-P1의 컨셉은 DSLR과 컴펙트 디카 와 다른 새로운 독립된 시장이라고 강조
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독립된 시장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타 브랜드에서도 경쟁 브랜드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됩나다.

무거운 바디와 렌즈에 대한 불만 또는 디카의 한계부분에 대한 틈새 시장을 잘 파악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많은 인기로 인해 E-P2같은 업그레이드 버전이 빠르게 나오지 않을까 생각되었습니다.
올림프스의 다른 디지털 바디의 새 제품 출시 속도를 봐도 상당히 빨리 바뀌더군요^^
이래서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하다고 느꼈는데 가격도 타 브랜드보다 빠르게 떨어진다고
쇼케이스에 계셨던 분들의 말도 들렸습니다^^


김선근님~ 글쎄요... 디지털 기기는 빠르게 업그레이드 되고 가격 경쟁력도 더 나아지기
때문에 디지털에서는 최근것이 좋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저 개인적으로는 D-lux3 마저도 잘 사용하지 않아 가격이 떨어지거나 E-P2정도
나오면 구입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주위에서 캐논과 니콘의 최고 바디들을 사용하는 분들이 많아 하루 정도 빌려 써 볼 기회가
많았는데 개인적인 결론은 직업적인 용도로 빠른 퀄리티가 필요 한것이 아니면 절대 쓸일이
없겠다였습니다^^ 특히 RF카메라 유저분들은 더 공감하시지 않을까합니다.

아직 디지털 바디가 없으시거나 저처럼 방출하기는 싫고 묵혀만 두는 C/Y 렌즈와 라이카 렌즈를
사용하기에는 좋을것 같습니다. 올림푸스 렌즈만으로는 많이 약하리라 생각합니다..

대단한 카메라로 생각하시기보다 앞으로는 타 브랜드 렌즈의 호환성을 높이고
훌륭한 동영상 기능성과휴대성 좋은 카메라가 이제 나오기 시작되었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진명도님의 댓글

진명도

제가 얼마전까지 마이크로 포서드..파나소닉 G1 사용했었는데요... 센서는 e-p1과 비슷합니다.
라이카렌즈 끼워서 사용했었는데... 역시나 x2의 센서라... 35mm 1.4현행 렌즈 물려서 써도..
심도가 그리 깊지 못합니다. 지금은 판매하고.. m8을 쓰고 있습니다.
그냥...서브정도로 생각하시면 무난 할듯 싶습니다.

김선근님의 댓글

김선근

김평원님,
의견 피력해 주심에 감사의 말씀을 올리며,
그외 간접적으로 의견 주신분께도 또한 고마움의 말씀을 올립니다.
(제가 사실 디지탈 맹입니다.)

김선근 배상

Jeongmin Kim님의 댓글

Jeongmin Kim

사실 저는 심도에 별로 관심이 없기때문에 (사실 라이카를 쓰면서 심도표현을 해 본적이 없다는 오리혀 뒷 배경이 몇 번씩 날아가던 것이 아쉬움이 많았던...), 이 올림푸스가 조금 구미가 당겨집니다. 지금 현재는 디지털 카메라는 하나도 없는 상태라...(디지털 똑딱이를 제외하고 말이죠)

아기때문에 다시 사야 할 것 같네요.

노을그림/이형민님의 댓글

노을그림/이형민

렌즈 교환형 똑딱이라고 하면 너무 평가절하하는 것일까요?
작은 부피에 적당한 크키의 촬상센서..어느 정도 가능한 심도 조절
af방식은 사양설명으로는 아주 빠를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 그래도 있는 것이 편하겠지요.
파인더 창이 있었더라면 더욱 끌렸을 것 같습니다.

김 진광님의 댓글

김 진광

lcd가 아닌 뷰파인더로 촬영이 가능했으면 참 좋았을텐데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