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6 classic ..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안승국
- 작성일 : 09-05-26 18:37
관련링크
본문
m6 classic Leitz logo 입니다..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오버홀한후 시험촬영만 해보고 장롱신세...
한번 렌즈 빼고 다른 바디 잡으면 좀체로 다시 들게 되지않는군요..
그래서 생각중입니다.. 작년보다 요즘은 더 가격이 내렸는지요?
어느정도가 적절한지요?
댓글목록
강웅천님의 댓글

가격은 시기적으로 또 환율에 따라 약간씩 변동을 가져옵니다.
작년 보다는 약간 오른 듯한 흐름이 보입니다.
개체의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클래식이나 non-ttl등 단종 모델들의 가격이 올라야 하는 이유는 없지만
렌즈와 신형 바디들의 가격이 오르면서 바닥까지 내려갔던(작년기준) M바디들의 가격이 근소하지만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어쩌면 지나치게 내려갔던 가격들이 제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안승국님의 댓글

그렇군요 작년엔 오버홀비용제하고 보니 가격이 말이 아니더군요..
조금더 기다려 보아야겠군요. 감사합니다.
박민석 ※님의 댓글

렌즈에 비해 바디는 적게 오르더군요.
그런데 MP는 많이 오른것 같내요 ..
M6 classic은 120~130 정도 할 것 같습니다,
이대기님의 댓글

제가 근래에 렌즈를 다량방출하고 구형 렌즈로 셋팅하였습니다.
선호하는 렌즈에 따라서 가격의 오르내림이 크더군요.
35mm Lux는 3~4년전과 비교해서 구매가격의 두 배 가까이 올랐
더군요.
물론, 구형렌즈도 작은 폭이지만, 7~8년 내외로 최고의 가격으로
형성된 듯 합니다.
바디는 큰 변화가 없구요.
라클의 장터에도 가격이 오르는 바람에 매물이 거의 발생하지 않
는 분위기 같더군요.
가격이 높아서 웬간하면 소유하고 있는 장비로 만족을 하시는가
봅니다.
아마,
지금처럼 라이카의 높은 비용이라면, 이 참에 중형 카메라 쪽을
선호하는 분위기 이더라구요.
저도 이참에 어차피 불편한 필름을 쓰고, 필름의 질감을 잊지
못해 필름을 궂이 사용 할 바에야, 중형으로 관심이 커지더군요.
35mm는 디지털의 해상도와 큰 차이도 없고,
편의성은 중형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요.
현실적으론, 디지털이 아무리 좋대도 중형은 넘지 못한 것은
사실이니까요.
개인적으론,
라이카의 맛(?)으로 즐기는 것이지, 사진의 퀄리티로는 한계에
다다른 것 같은 느낌입니다.
현재의 라이카 가격이 최고조 시세인 건 사실이더군요.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