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의 측광 기준이란?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SEAN/김선욱
- 작성일 : 09-03-06 10:15
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
zeissikon 은 초점영역대가 넓은 편이라 별로 고민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데
M 을 준비하려다 보니 초점영역대가 상당히 좁군요. 그러다 보니 전에 생각치 않았던
게 궁금해지더라구요.
반도카메라를 가니, M7 의 스펙에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네요.
"35mm 필름면 13%정도의 반사식방식."
21미리를 쓰던 (외장형 뷰파인더), 35미리를 쓰던 (내장형 뷰파인더)
파인더의 테두리를 기준으로 무조건 중앙 13%라는 의미인것이지요?
동일한 위치에서 2개의 렌즈로 초원 위 지편선 위의 소를 찍는 경우,
35미리렌즈로는 소만 측정되는 범위가...
21미리렌즈로는 소와 함꼐 주변의 풀과 하늘이...
노출에 들어가는 거지요?
zeissikon 은 초점영역대가 넓은 편이라 별로 고민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데
M 을 준비하려다 보니 초점영역대가 상당히 좁군요. 그러다 보니 전에 생각치 않았던
게 궁금해지더라구요.
반도카메라를 가니, M7 의 스펙에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네요.
"35mm 필름면 13%정도의 반사식방식."
21미리를 쓰던 (외장형 뷰파인더), 35미리를 쓰던 (내장형 뷰파인더)
파인더의 테두리를 기준으로 무조건 중앙 13%라는 의미인것이지요?
동일한 위치에서 2개의 렌즈로 초원 위 지편선 위의 소를 찍는 경우,
35미리렌즈로는 소만 측정되는 범위가...
21미리렌즈로는 소와 함꼐 주변의 풀과 하늘이...
노출에 들어가는 거지요?
추천 0
댓글목록
강웅천님의 댓글

M바디의 측광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셔터막의 흰색 둥근 원이 반사하고,
바디 위쪽에 있는 센서가 반사된 빛을 읽어서 노출치를 결정합니다.
스팟 측광이라기 보다는 일반 카메라의 중앙 중점 방식의 노출 시스템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유현님의 댓글

강웅천님 감사합니다. 덩달아 저도 배우고 갑니다.
그러니까 M바디도 다른 SLR바디처럼 렌즈에 ND필터끼워도
특별히 노출보정을 해줄 필요가 없다는거죠?
강웅천님의 댓글

nd 필터들의 경우 수치가 크면 그만큼 계산해서 노출을 결정해주어야 하지만,
nd8등의 경우는 렌즈가 받아들이는 수치에 따라 노출이 결정되기 때문에 카메라의 노출계를 믿으셔도 됩니다.
이유현님의 댓글

아~~예, ND4나 ND8 그리고 흑백강조용 색필터들에는 그냥 편안히 사용해라는 말씀이시죠.
친절한 설명 말씀 감사합니다.
강인상님의 댓글

인용:
원 작성회원 : 강웅천
M바디의 측광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셔터막의 흰색 둥근 원이 반사하고,
바디 위쪽에 있는 센서가 반사된 빛을 읽어서 노출치를 결정합니다. |
그렇군요. ^ ^
형님 덕분에 MP 셔터막안에 왠 둥근 원이 있나했는데..
확실히 알았습니다.
저도 감사드립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