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컬러필터?? 내겐 정말 가깝고도 먼 당신!!

페이지 정보

본문

M3와 리지드를 장만하고 겨울을 풍족히 보낼 필름도 쌓아두고
필터에 대해서 공부하던 중 궁금증이 생겨서 또 몇자 적어봅니다.
흑백용필터나 스카이라이트, 크로스등의 특수한 컬러필터는 제외하고,
기본적인 앰버계나 청색계의 색온도조절용(혹은 변환용)필터에 대해 궁금합니다.
85,85B,85C,80A,B,C,D...등등의 조절용필터(LB라고 하는)들이 각각 능력치가 있어서
5500K 을 3800K 또는 3200,3400K으로 낮춰준다거나
그 반대로 텅스텐색온도를 데이라잇색온도로 단계별로 올려준다거나 하는
제겐 지극히 수학적으로만 보이는 이것들에 대해서
"이게 과연 정확한 색온도보정(보정이란 단어가 가능하다면)이 가능하단 말인가?"
라는 의심이 들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지금 바디에는 텅스텐용 필름이 끼워져있는데 야외촬영을 나왔다고 치고
한낮의 색온도는 (대략)5500K라고 하지만 아침이나 해질무렵, 혹은 그 사이시간은
색온도가 낮아져 붉은색을 많이 띄게 된다고 하는데 이것을 과연 그시간 그무렵에
가장 적정한 필터를 갈아끼워 어쩔수없이 끼워져 있던 텅스텐용 필름에 정확히 보상,
정확한 컬러로 재현할수 있는것인가?하는 의심입니다. 제가 무식한건가요..ㅡ.ㅜ

생각끝에 제가 내린 추측은 이건 어디까지나 경험치인것 같다.
자기만의 감각으로 찍으면 그만인것같다..라는..
즉 그시간 그 무렵의 컬러를 정확히 필름에 보정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하지 않나 싶고..
감히 그게 과연 중요한문제인가라는 생각까지 해보게 되네요.
사진은 그야말로 인간의 촉각,시각,공감각,때로는 청각이상의 감각에 철저히 의존하는 예술 아니던가..과학이 아닌.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렇다면 저 많은 필터들(거의 보니 200K~400K단위로 보정이 가능하던데.)은
다 뭐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초보라서 아직 모르는 무언가가 있는걸지도 모르겠지만.^^;
그리고 이런 생각이 드네요. 데이라잇 필름을 끼워놓고 데이라잇촬영할때
일부러 앰버계나 청색계 보정용필터를 잘 이용하면 의도적인 컬러의 느낌있는 사진을 찍을수
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인데요..그렇게도 사용할수 있나요?
요새는 디지털이 너무 발달해서 오프라인상에서 사진을 주고받을 일이 거의
사라지다보니 포토샵에서 한방이면 다 해결되겠지만요 왠만한것은.(왠지 슬픈일이고.)
필터가격을 보니 유리한장 혹은 플라스틱 한장의 가격이라기엔 조금 과하다
싶은 면이 없지않아 싼게 중고가로 5,6만원 어떤건 일,이십만원을 호가하더라는..ㄷㄷㄷ..
(왠만한거 다 장만하려면 좋은 카메라 몇개는 더 살수있을정도, ㅎㅎㅎ)
"아...정말 가깝고도 먼 당신"이란 생각이 스쳐갑니다.
필터에 대한 제 고민과 한탄을 조금 읊조려 봤습니다.
그야말로 초보중 생초보의 어이없는 글일지라도 너그럽게 봐주십시요.
앞으로도 많이 공부하고 싶고 선배님들의 주옥과 같은 조언 감히 청해봅니다.
종일 일하다 잠깐 필터뒤지러 인터넷하다 결국 실패하고 여기와서 글 남기네요.
너무 놀았다;;

행복하세요.^^
추천 0

댓글목록

박_상 욱님의 댓글

박_상 욱

개인적으로 M3를 얼마전에 영입했습니다.
리지드 50mm 를 구하고있는데 잘 없네요^^
어디서 어떻게 구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그리고 적정각격은 어느정도 할까요?

강인상님의 댓글

강인상

오동욱님 그래서 전 편하게 흑백으로 촬영할 때가 많습니다. ^ ^


M3에 리지드로 가셨군요.

축하드립니다. ^ ^

리지드는 흑백에 정말 탁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김춘호님의 댓글

김춘호

위에 언급하신 색온도 보정용 필터들은 큰의미로써 색온도를 보정해주는 것입니다.
아주 정확하게 100 단위 정도로 정확하게 하시려면, 미놀타 제품의 색온도메타로 측정하여 보정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위에 언급하신 필터들을 다 구비하셔서 그때 상황마다 측정하고 보정하다보면
세월 다 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15년 전엔 코닥 젤라틴 필터들이 8천원이여서 여러가지 사두었는데 지금은 행방불면되었는데 아뭏튼 너무 많이 알려고 하면 끝이 없다것.

또 하나 데이라이트 필림으로 보정용 필터를 이용하여 일부러 촬영을 할 수있습니다. 촬영자의 의도적인 색의 변환을 염두해 두고 촬영이라면 좋은 경험이 될 듯 합니다. 좀더 효과를 보시려면 슬라이드 필림을 사용하면 그 차이를 확연하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사진을 하신지 얼마 되지 않으시면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시고 나면 나중에 많은 자양분으로 남아있을 것입니다.

즐거운 사진 하시길 바랍니다.

오동욱oton님의 댓글

오동욱oton

인용:
원 작성회원 : 박_상 욱
개인적으로 M3를 얼마전에 영입했습니다.
리지드 50mm 를 구하고있는데 잘 없네요^^
어디서 어떻게 구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그리고 적정각격은 어느정도 할까요?


아, 우선 축하드려요 동지네요^^
리지드는 저도 우연히 네이버중고나라 홈페이지에 어떤분이 올리신걸 구입하게 되었
습니다. 많이 망설였는데 만나서 보니 생각보다 상태도 좋고 파시는분이 친절해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아마 그 이전이나 이후엔 거의 없었던것으로 판단됩니다.
그전에 남대문에 가서 50mm보긴 했는데 상태가 너무 안좋아서 안샀었습니다.
아마 제가 안들어간 가게들도 있었으니 다른데에 있을것도 같습니다.
남대문 지하상가 말고 외곽에 니콘이라고 크게 써있는곳 근처였던거 같네요.
인터넷은 반도나 우리사 말고라도 slr클럽도 있고 로커클럽이나 보이트클럽도 있습니다.
샵이 아닌 동호회클럽들도 중고장터는 거의 있으니 잘 검색해보세요~
가격은 제가 어떻게 말씀드릴수 있는 부분이 아닌것같고 대부분 상태에 따라서
너무나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요. 일단 반도나 우리사같은데에는 팔렸던 렌즈도
가격은 나와있으니 참고는 되지 않을까 합니다.
꼭 좋은렌즈 구입하시라고 빌어드릴께요..^^

오동욱oton님의 댓글

오동욱oton

인용:
원 작성회원 : 김춘호
위에 언급하신 색온도 보정용 필터들은 큰의미로써 색온도를 보정해주는 것입니다.
아주 정확하게 100 단위 정도로 정확하게 하시려면, 미놀타 제품의 색온도메타로 측정하여 보정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위에 언급하신 필터들을 다 구비하셔서 그때 상황마다 측정하고 보정하다보면
세월 다 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15년 전엔 코닥 젤라틴 필터들이 8천원이여서 여러가지 사두었는데 지금은 행방불면되었는데 아뭏튼 너무 많이 알려고 하면 끝이 없다것.

또 하나 데이라이트 필림으로 보정용 필터를 이용하여 일부러 촬영을 할 수있습니다. 촬영자의 의도적인 색의 변환을 염두해 두고 촬영이라면 좋은 경험이 될 듯 합니다. 좀더 효과를 보시려면 슬라이드 필림을 사용하면 그 차이를 확연하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사진을 하신지 얼마 되지 않으시면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시고 나면 나중에 많은 자양분으로 남아있을 것입니다.

즐거운 사진 하시길 바랍니다.


정말 너무나 궁금했던 핵심에 대해서 정확하게 답변을 주셨습니다!.
그렇군요 제 생각에도 필터가 정말 디테일하게 나와있는것을 보고 이걸 시시각각
바꿔주면서 보정을 한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게 느껴졌었습니다. 색온도메타계도 처음 알았구요!
일단 큰 가닥은 잡았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데이라잇필름 특히 슬라이드필름과 필터를 이용한 촬영에 대한 도움말
너무 감사드립니다. 사실 컬러네가로 필터와 함께 연습하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선배님 말씀처럼 해보고 싶어졌습니다. 계속 대조군과 실험군을 찍느라 필름도
많이 쓰고 돈도 엄청 깨지고 있긴 하지만 재미는 너무 좋습니다. 혼자 느끼는거지만^^

선배님의 주옥같은 말씀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행복하세요^^

한지영님의 댓글

한지영

수십개의 컬러필터를 들고다니시면서 정밀하게 색온도를 조절해서 작업하는 분들도
꽤 있습니다. 아날로그에서 원하는 컬러를 얻고자한다면 결코 헛된것이 아니죠.
사실 디지털에서도 광학적으로 최대한 컬러를 조정해서 촬영하면 RAW컨버팅시 조절하는것보다
더 나은결과물을 얻을수 있습니다. 색온도가 극적일수록 그 차이는 더 커집니다.

김인택님의 댓글

김인택

색온도까지 공부를 하시니 부럽습니다
저는 그냥 리지드에 붙박이 uva 하나만 씁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