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침동식 summicron 5cm를 인화했는데..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강정훈
  • 작성일 : 08-11-02 03:29

본문

유독 형광등 아래에서 전체적으로 녹색이 많이 돌더군요..
예전 렌즈라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인가요?
실내에서의 컬러 촬영은 제한적인 것을 감안해야 하는것인지요..
ㅠㅅ ㅠ::
추천 0

댓글목록

박두영님의 댓글

박두영

형광등아래서 녹색이 많이 드는 것은 캘빈도(색온도)가 필림과 안맞아서 그렇습니다.
올드 렌즈라 그런것은 아닌것 같습니다. 텅스텐 필림을 쓰시던가 보정 필터를 써서
촬영을 해보세요^^..........

강인상님의 댓글

강인상

저도 박두영 선배님 의견에 보태드립니다.

보통 쓰시는 필름이 주광용이라고 할 때

이 경우 캘빈값(색온도)은 필름에 따라 5000-5800K의 범위 안에서 그 값이 결정됩니다.

이 캘빈 값이 사실 주광(일광)의 범위에서 캘빈 값인 것이죠.


이러한 주광용 필름을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

실내에 따라서 편차가 있습니다만.


보통 생각하는 실내의 가정용 전구는 2600-2800K,

플러드 램프의 경우는 3200K 정도의 값을 갖게 되어

색온도가 맞지 않는 촬영이 되게 됩니다.



결과는 보통 주광용으로 실내(텅스텐) 촬영을 하게 될 경우

광원의 색온도가 낮아서 화면 전체가 붉은 주황빛을 띄는 경우가 많으며,

여쭤보신 형광등의 경우(캘빈값-4400K)는 녹색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실내촬영용 텅스텐 필름으로 주광을 촬영한다면,

광원의 색온도가 높아 전체적으로 푸른색을 띄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올드렌즈의 경우라서 그렇게 나타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상태가 좋지 않은 올드렌즈의 경우는

이 같은 경우보다는 사진 전체가 밝은 노출의 상황일 때,

예를 약한 역광하에서 어느정도 포그를 막아줘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진 전체가 뿌옇게 뜨는 현상(포그)가 주로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강정훈님의 댓글

강정훈

:-D
아! 네~ 이제 라이카에 입문했는데, 나름 비싼 가격을 주고 좋은 렌즈(잘 볼 줄 모르지만...앞, 뒤 렌즈의 코팅이 살아있고, 먼지도 어느정도 봐줄만한 수준에 있는 렌즈)사서 벌벌 떨고 있었습니다.. 첫 현상에서 전에 쓰던 현대식 카메라에서는 덜 발견되던 것들이 나오니까 소심하게 고민이 되더라구요~
너무 떠먹여주는 요즘 렌즈에 익숙해졌었나봐요~
이래서 내공내공 하나 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정말 해박하신것 같으세요~

홍건영님의 댓글

홍건영

덧붙여 또 하나 중요한 것이 셔터 속도입니다
형광등 아래에서는 1/30초, 1/15초 등의 속도로 촬영해야지 1/125초, 1/250초 등의 속도로 촬영하면 좋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아시죠? 형광등이 1초에 60번 깜박이기 때문입니다
디지털도 빠른 셔터속도로 찍으면 녹색으로 나옵니다

강정훈님의 댓글

강정훈

아하..그렇군요~
:-)정말 많은 분들이 도움을 주셔서 렌즈 사용에 금방 적응이 될 것 같습니다!
상황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잘 나와준 것도 있었는데, 그것은 저속으로 찍었나봅니다~
항상 궁금했던 상황이었는데, 올드렌즈에 대한 우려때문에 한꺼번에 풀렸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양나라님의 댓글

양나라

필름메이커에 따라 실내사진의 색감도 다름니다.
후지는 녹색계열의 누런색으로 나오는 반면 아그파는 붉은색계열의 누런색으로 나옵니다.
이건 주광용필름을 쓰신다면 현대카메라나 옛날카메라나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다 같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