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조리개 0.95 란 무슨 뜻인가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진인구
  • 작성일 : 08-09-16 21:26

본문

조리개 1.0 이라는 것이 렌즈 직경만큼 조리개를 연다는 의미로 아는데

캐논에도 0,95 짜리 렌즈가 있고, 이번에 녹티룩스가 0.95 짜리가 나온다는데

도대체 0.95 라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추천 0

댓글목록

JK이종구님의 댓글

JK이종구

http://cafe.naver.com/wonjoophoto.ca...Farticleid=373
요 글이 참고가 될것 같습니다.

홍건영님의 댓글

홍건영

광학적으로 f/0.5까지는 가능하답니다
아마도 왕구슬 렌즈가 탄생하겠죠

스탠리 큐브릭 감독은 흥행참패한 영화 "배리 린든"을 구상할 때 부터
촛불 조명 만을 사용한 장면을 염두에 두고 이를 가능하게 할 렌즈를 찾다가
Zeiss가 우주 탐사용으로 만들었던 f/0.7 렌즈를 찾아서 사용했다고 하지요

http://en.wikipedia.org/wiki/Lens_speed#Fast_lenses

진인구님의 댓글

진인구

인용:
원 작성회원 : JK이종구
http://cafe.naver.com/wonjoophoto.ca...Farticleid=373
요 글이 참고가 될것 같습니다.


F number = 촛점거리 / 조리개 구경
이라는 것은 압니다.

F 가 1 인경우와 2 인 경우의 광량의 차이는
사진개론 3페이지 쯤에 나올 것 같은 기초적인 것이지요

하지만..
0.95 라는 것이 무슨 의미를 갖는가 하는 것이 제 궁금증입니다..

50 미리 렌즈라함은 촛점거리가 50 미리라는 것입니다.

0.95 = 50 / 52.63 입니다.

여기서 조리개 구경이라는 것은
제 상식으로는
렌즈의 구경을 넘어갈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렌즈의 직경보다 더 큰 조리개를 만들어 놔야
빛은 렌즈 직경보다 더 많이 받아들이지 않을 것 아닙니까?

즉, 렌즈의 직경보다 더 큰 조리개라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 하는 것이지요...

진인구님의 댓글

진인구

인용:
원 작성회원 : 홍건영
광학적으로 f/0.5까지는 가능하답니다
아마도 왕구슬 렌즈가 탄생하겠죠

스탠리 큐브릭 감독은 흥행참패한 영화 "배리 린든"을 구상할 때 부터
촛불 조명 만을 사용한 장면을 염두에 두고 이를 가능하게 할 렌즈를 찾다가
Zeiss가 우주 탐사용으로 만들었던 f/0.7 렌즈를 찾아서 사용했다고 하지요

http://en.wikipedia.org/wiki/Lens_speed#Fast_lenses


렌즈의 형태와 관련이 있는 것인가 보군요..

어쨋꺼나, F/1.0 이 100% 라는 개념이 있어서,
이보다 더 커진다는 것이 도대체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 어렵네요..

사람 눈으로 치자면
자기 눈의 조리개가 최대개방이 1.0 인데..
안경착용하면 0.95 가 된다는 말로 들려서요...

우리가 F1.4 인 summilux 를 들여다보면..
조리개를 최대로 열었을때가 1.4인데.. 가장자리에 여유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F1.0 이라면 렌즈를 다 열었다고 표현해도 좋을텐데
F0.95 라든가, 말씀하신 0.5 로 열었다면
렌즈 바깥쪽 빈공간으로 열었다는 뜻이 되는 것 아닌가 싶네요..
F 1.0 과 F0.95는 계산해보았더니
광량은 10% 차이 나는군요..

이영준님의 댓글

이영준

홍건영님이 링크해주신 글 맨 아래에 다음 글이 있습니다.

http://www.dantestella.com/technical/fast.html

제목은 Just how fast is that lens?
f-number doesn't directly determine focal-plane illuminance, due to light transmission losses.

읽어보았지만 제 수준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더 많네요!
윗 글을 읽어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을지도...

최현석5님의 댓글

최현석5

인용:
원 작성회원 : 진인구
F number = 촛점거리 / 조리개 구경
이라는 것은 압니다.

F 가 1 인경우와 2 인 경우의 광량의 차이는
사진개론 3페이지 쯤에 나올 것 같은 기초적인 것이지요

하지만..
0.95 라는 것이 무슨 의미를 갖는가 하는 것이 제 궁금증입니다..

50 미리 렌즈라함은 촛점거리가 50 미리라는 것입니다.

0.95 = 50 / 52.63 입니다.

여기서 조리개 구경이라는 것은
제 상식으로는
렌즈의 구경을 넘어갈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렌즈의 직경보다 더 큰 조리개를 만들어 놔야
빛은 렌즈 직경보다 더 많이 받아들이지 않을 것 아닙니까?

즉, 렌즈의 직경보다 더 큰 조리개라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 하는 것이지요...


공식에 나와 있듯이 50mm F/0.95 렌즈는 초점거리가 50mm 이고 52.63mm의 렌즈(조리개) 직경을 가지는 렌즈인 것이죠..

조리개 구경이 당연히 렌즈 구경은 넘을 수는 없지는 렌즈의 초점거리보다 클 수는 있는것이죠. ^^

홍건영님의 댓글

홍건영

인용:
원 작성회원 : 진인구

어쨋꺼나, F/1.0 이 100% 라는 개념이 있어서,


말씀하신 것이 그다지 맞는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으로 렌즈를 설명할 때 Geomerical Flux를 이야기하던데
수도관을 가지고 보조설명을 하더군요

초점거리는 렌즈가 설계될 때 50mm, 51mm 이런 식으로 고정이 되지만 (수도관의 길이)
수도관의 폭은 f/1보다 더 크게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어떤 초점거리에 대해서 f/1.0에 해당하는 조리개 넓이를 구할 수 있지만
이것이 가능한 100%는 아니라고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정문교님의 댓글

정문교

F number = 촛점거리 / 유효구경 아닌가요?

왜 조리개 구경이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촛점거리의 제2주점이 조리개 근처에 있다고 되어 있고요.

0.95라는 의미는 촛점거리보다 큰 유효구경의 렌즈라는 얘기 입니다.

유효구경은 빛을 제일 먼저 받아들이는 렌즈의 구경을 말하는 겁니다.

렌즈의 구성도를 보면 중간이나 뒤쪽 렌즈들은 작은것이 일반적이죠

렌즈가 작으니 조리개도 작겠죠.

이영준님의 댓글

이영준

여기저기 찾아보니 이런 글이 있네요!

http://www.burnyourbonus.info/rec.ph...hread3171.html

제목은... F/0.5 possible?
결론은...
Sure, why not? Any lens whose front element diameter is twice the focal
length is f/0.5, right? Getting it to be optically decent is another matter...

결국 만들 수는 있지만 비용과 화질 저하와 무게 때문에 만들지 않는다는...
그리고 그런 렌즈가 왜 필요하냐는 이야기가 많네요!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