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9과 Metz SCA3502 슈의 조합에서, 줌렌즈 거리연동이 안 되나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윤병준
- 작성일 : 08-05-17 14:31
관련링크
본문
제 R9 바디에서 Metz 54MZ-4i를 장착했을 때,
35-70 Vario-Elmar f4 렌즈의
조사각도 거리연동이 안 됩니다.
그러니까, 메츠 플래시 액정에 보면
Auto Zoom은 설정돼 있는데,
35mm에 고정돼 있는 것으로 나온다는 것이지요.
슈는 3502 M3입니다.
이전에 R8에서는
줌렌즈 초점거리가 연동이 됐던 것 같은데,
혹시 바디에 문제가 있는 걸까요?
혹은 3502 M3의 문제일까요?
아울러 21-35 역시
(응당 24밀리까지는 연동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35mm만 조사각도가 뜨는군요.
유사한 사례 겪어보신 회원님들이 계신지요?
바디의 문제일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윤병준님의 댓글

제 게시물에 제가 또 댓글을 다는 게 그렇기는 하지만,
어쨌든 정말 신기하네요.
집에 와서 단렌즈 몇개를 물려보니,
단렌즈의 조사각-거리 연동은 제대로 작동합니다.
요컨대 줌렌즈들만 문제라는 건데,
또 줌렌즈의 경우 R8에다 물리면
조사각-거리 연동이 정상 동작하거든요.
그렇다면 줌렌즈들 역시 롬이 잘못되거나 한 건 아닌 것 같습니다.
혹시 R9에서는 라이카의 선전대로
"보다 진보된 플래시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줌렌즈들의 거리 연동이 필요없게 된 것일까요?
아니면, 제 줌렌즈들이 조금 구식이어서 연동이 안 되는 걸까요?
그것도 아니면, 바디가 줌렌즈들의 정보를
제대로 인식못하는 결함이 있는 걸까요?
외국어 실력이 짧아서인지,
라이카 포럼 등에서도 유사한 아티클을 찾지 못하겠습니다.
선배님들 도움이 절실합니다. T.T
사실 요즘 M을 간소화하고 R을 주력으로 사용해보려는데,
R을 사용한다는 게 상당히 어렵군요.
영X 같은 곳도 R은 많이 다뤄보지 않아
물어보면 항상 모호한 답변을 내놓거든요.
(요 단락은 그냥 넋두리였습니다. ^^; )
홍건영님의 댓글

질문하신 문제에 대한 답변은 모르겠구요
35-70은 대강 쓸 수 있겠지만 21-35는 문제가 있겠군요
R9, 21-35... 굉장히 부럽습니다 ^ ^
쓸데없는 댓글 죄송합니다.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윤병준님의 댓글

제 게시물에 제가 계속 댓글을 달게 되네요.
랭킹을 올려보려는 나름의 노력이라는... ^^;;;;
농담이구요,
어쨌든!!!
제가 짧은 영어실력으로 이곳저곳 뒤져본 결과!!!
나름대로 해답을 얻어 정보공유 차원에서 올려봅니다.
SCA3502 슈가 여러 개선 버전이 있는 건 다들 아실 겁니다.
제가 원래 게시물에 M3라고 했지만, 오타구요,
저는 M4를 사용중이었습니다.
한데 매뉴얼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 Only possible with LEICA R8 and lenses.....
맞습니다. 라이카 R8에서만 멀티줌이 연동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메츠 홈페이지에 들어가봤습니다.
그랬더니 이미 M5, 즉 SCA 3502어댑터 Mod 5가 발매됐군요.
이 매뉴얼도 다운받아 봤습니다.
그랬더니 이렇게 적혀있네요.
---> Only possible with LEICA R8/R9 and lenses....
예상하셨다시피, M4와 M5의 차이가 이것이었습니다.
M4를 사용할 경우,
R8에서는 줌렌즈의 거리가 조사각과 연동되지만
R9은 줌렌즈 연동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결국 R9에서 줌렌즈 연동을 하기 위해서는
M5를 새로 구매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슈 하나에 10만원인데,
R은 바디와 렌즈가 해외보다 싼 만큼
이것저것 액세서리들로 사람을 괴롭히는군요. ^^;;;
아무튼 혹시 참고가 되실까하여 적어봅니다.
쓰면서 하나둘씩 정리해 나중에 Leica R FAQ 같은 것이라도
하나 만들어봐야 겠습니다.
(과연 어느 세월에 만들어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 )
ps.
홍건영님 감사합니다. ^^
21-35는 구하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국내의 R렌즈 가격을 생각하면
이런 렌즈를 이 가격에 쓸 수 있다는 게 감사할 지경이더군요. ^^
좋은 하루 되십시오.
강웅천님의 댓글

처음부터 글을 읽으면서 제가 다 안타까웠습니다.
어쨋든 답을 찾게 되셨으니 다행입니다.
R을 많이 사용하지만 플래시를 쓰지 않으니 관심 밖의 일이었는데,
덕분에 좋은 지식 하나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플래시를 쓰더라도 비비타에서 나온 오래된 모델을 메뉴얼 모드로 하고
대충 거리를 잡아 쓰는 게으름의 결과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홍건영님의 댓글

저는 DSLR 때문에 샀던 니콘의 SB-800의 A모드를 믿고 쓰고 있습니다
니콘의 DSLR은 다 정리했는데 어쩌다보니 SB-800은 아직 가지고 있네요
R6.2, Mamiya 6, Contax 167MT 모두 SB-800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 ^
윤병준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강선생님?
항상 멀리서도 마음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24mm는 잘 쓰고 계신지요? ^^)
저는 플래시 사용법을 잘 몰라서,
TTL이 되는 플래시를 찾다보니 이 고생입니다. ^^
특히 R9에서는 3502 어댑터 사용시 고속동조가 된다고 해서
(얼마나 사용할는지는 미지수지만)
상당한 매력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늘 게시판에서 친절하게 답변해주시고,
여러모로 신경써주셔서 늘 감사드립니다.
편안한 휴일 되십시오. ^^
---------------------------------------
홍건영 선생님, 감사합니다.
사실 니콘의 플래시 시스템은 100% 신뢰가능해서,
니콘 사용자들이 말하듯 "두번째 태양"이라는 말이 과언이 아닌 듯합니다.
저도 F6를 잠시 사용하면서 SB-800의 훌륭함에 경탄을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메츠와 R 역시 궁합이 잘 맞는다고 하니까,
열심히 사진을 찍어서 익숙해지는 수밖에 없겠지요.
메츠의 A모드 역시 상당히 신뢰할 만 하니까요.
여하튼 자칫 제 원맨쇼가 될 뻔 했던 글타래에 ^^;;;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편안한 밤 되십시오~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