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7 노출영역 문의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강준구1
- 작성일 : 08-03-28 12:33
관련링크
본문
현재 베사,ZI,헥사RF를 거쳐서 M7으로 기변을 생각중이어서
수많은 M7 바디를 샾에서 만지작 거리고 있습니다.
M7의 노출영역이 프레임라인에서 중앙중점이 아닌 중앙하단부중점으로 측광되는것을
만지작 거렸던 약 20개의 모든 M7바디에서 발견하고, 이점이 이상해서 글 올립니다.
분명 M7에는 측광센서를 대각선으로 2개 배치하고 셔터막 중앙에 흰색점도 정확히 중앙에 위치함에도 왜 하단부에서 더 민감한지.. 이부분에 대하여 다들 알고계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어떻게 적응해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세로촬영시..)
어떤 샾에서는 RF의 특성이라는 말로 얼버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프레임라인까지 맞춘상태에서 이야기 입니다.
제가 측광테스트를 해본것은 적당한 거리의 천장에 있는 전구 한개를 중앙에 놓고 (물론 촛점은 맞춰서 프레임라인을 맞춥니다.) 중앙에서 상하좌우로 전구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노출수치를 보는데.. 이중합치상에서 부터 좌,우,상에 대하여는 대칭으로 반응하는데, 하단으로 전구를 위치시키면 셔터값이 오릅니다. (예를들어 중앙에 전구가 있을시에 1/500이었다면 하단으로 위치시키면 오히려 1/750으로 오릅니다.)
ZI는 좌측하단에서 이렇게 반응하여 정확한 적응실패로 다시팔았고, 현재 헥사바디는 정확히 중앙부 측광이어서 사용에는 문제없으나, 자꾸 실버 M의 바디가 눈앞에 어른어른하네요 ^^;;
M7사용하시는 분중 이부분 혹시 교정해서 사용하시는 분이 있거나, 나름 노하우가 있으신 분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수많은 M7 바디를 샾에서 만지작 거리고 있습니다.
M7의 노출영역이 프레임라인에서 중앙중점이 아닌 중앙하단부중점으로 측광되는것을
만지작 거렸던 약 20개의 모든 M7바디에서 발견하고, 이점이 이상해서 글 올립니다.
분명 M7에는 측광센서를 대각선으로 2개 배치하고 셔터막 중앙에 흰색점도 정확히 중앙에 위치함에도 왜 하단부에서 더 민감한지.. 이부분에 대하여 다들 알고계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어떻게 적응해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세로촬영시..)
어떤 샾에서는 RF의 특성이라는 말로 얼버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프레임라인까지 맞춘상태에서 이야기 입니다.
제가 측광테스트를 해본것은 적당한 거리의 천장에 있는 전구 한개를 중앙에 놓고 (물론 촛점은 맞춰서 프레임라인을 맞춥니다.) 중앙에서 상하좌우로 전구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노출수치를 보는데.. 이중합치상에서 부터 좌,우,상에 대하여는 대칭으로 반응하는데, 하단으로 전구를 위치시키면 셔터값이 오릅니다. (예를들어 중앙에 전구가 있을시에 1/500이었다면 하단으로 위치시키면 오히려 1/750으로 오릅니다.)
ZI는 좌측하단에서 이렇게 반응하여 정확한 적응실패로 다시팔았고, 현재 헥사바디는 정확히 중앙부 측광이어서 사용에는 문제없으나, 자꾸 실버 M의 바디가 눈앞에 어른어른하네요 ^^;;
M7사용하시는 분중 이부분 혹시 교정해서 사용하시는 분이 있거나, 나름 노하우가 있으신 분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추천 0
댓글목록
김병인님의 댓글

M7 마운트 링 속 센서 두개중 하나는 TTL을 위한 센서입니다.
대각선으로 두개를 배치한 것은 아닙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하단부쪽으로 치우쳐 측광될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말씀하시기 전까지 그런 사실을 확인하지 못했었습니다만 이제까지 실제
촬영에서 그로 인해 발생한 문제점은 전혀 없었습니다.
또 말씀하신 노출의 차이도 불과 1/2스톱이니 앞으로도 그리 신경쓰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금전에 제 M7으로 테스트 했습니다만 창틀 모서리에 있는 스탠드를 세로로 촬영시
180도 전환해도 노출값은 같았습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