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Lenses of Russian Fedration with Red 'П'.

페이지 정보

본문

красная буква П на объективе...
(렌즈의 붉은 П 글자...)

'П' 는 러시아어의 발음 표기 기호로서,
영어의 'P' 발음,
한국어의 'ㅍ' 발음 입니다.
------------------------------------------------------------

안녕하세요.
無限/박성준 입니다.

러시아에 거주 하고 있다 보니,
가장 많이 접하는 카메라가 아무래도, 러시아 카메라들 이지만,
특별하게 이 카메라들에 쓰인 렌즈는 주의 깊게 보지 못 했습니다.

그러나,2주전 한국에 ‘아미GOS’에서 어떤 회원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던 중,
'러시아 렌즈들 중엔 P코팅 된것이 있다던데요...' 하시길래,
MC와 SMC, 그리고 T와 T*코팅은 알아도 P코팅은 처음 듣는 말이라,
순간 귀가 쫑긋 했었습니다.


오늘 제가 바로 이 P코팅, 즉 'П'코팅에 대하여 알아 보려고 합니다.

이미 알고 계신 회원님들 께서는 글의 모자란 부분에 보충을 해 주시고,
혹시, 저처럼 모르셨던 분들 께 작은 도움이 됬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자칫 제 지식과 조사에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 하여 주시어,
회원님들과 함께 이 글을 고쳐 나가며 완성하고 싶습니다.

워낙 글쓰는 재주도 없으니 두서가 없더라도 양해 부탁 드립니다.
----------------------------------------------------------------------------------------------------------

러시아 카메라와 렌즈에 대해 제가 아는 것은 고작 해야,
1. WWII 때 독일에 있던 생산 라인을 그대로 가지고 와서 재 생산을 했다는 것.
2. 그곳이 우크라이나 지방 이라는 것.
3. 라이카와 콘탁스, 자이츠, 자이쯔 등의 생산 라인 이고,
4. 조르키, 키예브, 훼드, 모스크바 등이 그것들 이다.
이 정도로 카메라에, 특히 독일제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다들 아시는,
아주 초보적인 수준 입니다.
(그러나 WWII 전에도 이미 우크라이나에서 독일제 카메라를 카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

http://www.clickondavid.com/contax.html
(Zeiss Ikon Contax IIIa와 Kiev 4 Type I)


그런데 과연 이 P코팅 이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한국 한 블로거의 사이트에 키에브 카메라 소개중 잠깐 P코팅 이야기가 나옵니다.

http://dragonslair.tistory.com/59
(블로거의 동의 없이 링크를 올리므로 문제가 될 시 삭제 합니다.)

블로거의 말에 의하면,
P코팅이 T 보다 '진보 하다' 라고 설명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3번째 사진 설명)
그리고 6번째 사진의 '인더스타-8M' 의 사진속엔 붉고 선명하게 'П' 라고 써있는 것이 마치, 자이쯔의 T 를 연상 시킵니다.


Question #01
이 블로거의 말 대로 정말 P코팅이 T코팅 보다 진보된 코팅 일까요???


답을 찾기위해 샘플을 채취해 보겠습니다.

----------------------------------------------------------------------------------------------------------------
Sample #01
http://shopwiki.com/detail/d=zeiss_6...pToFirst=true/

숖 위키 에서 찾은 물건 입니다....Zeiss 65mm T* FL Diascope...
여기서 새로운 정보를 얻게 됩니다.

The scopes are all provided with Carl Zeiss T* multilayer coating on all glass-to-air surfaces for maximum transmission and natural color rendition, and Carl Zeiss P coating on the roof surfaces of the reversal prisms for maximum resolution.

maximum transmission and natural color rendition을 위하여 T*코팅을,
maximum resolution을 위하여 프리즘에 P코팅을 했다 라고 나옵니다.

------------------------------------------------------------------------------------------------------------------
Sample #02
http://www.sherwoods-photo.com/swaro...arovski_fs.htm

Swarovski OPTIK....???
스와로브스키 에서 이런것도 만드는 구나 라고 생각 했습니다....;;;
외모를 보아하니 자이쯔 인것 같기도 했지만,
An optimised roof prism-system with P-coating 라고 나옵니다.
이곳에서도 역시 프리즘...
-----------------------------------------------------------------------------------------------------------------

이번엔 러시아 경매사이트에서 찾은 물건들 입니다.
Ebay나 우리나라의 옥션과 비슷하니 그냥 눌러서 사진을 보시면 됩니다.

-----------------------------------------------------------------------------------------------------------------
Sample #03
http://www.molotok.ru/48122_fototehnika_obektivy.html

러시아 최대(?)의 경매 사이트... '말라톡' 이라고 읽지만 쓸때는 '몰로톡' 이고 ‘망치’ 라는 뜻 입니다.
경매장에서 낙찰시 망치 두드리는 것을 영화에서 가끔 보신적 있으실 겁니다.

이용은 안하고 가끔 거래 가격 참고만 하는 사이트 입니다.

----------------------------------------------------------------------------------------------------------------
Sample #04
http://www.irr.ru/photo/lenses/index,,48,34.html

'이즈 룩 브 루끼'...라고 읽습니다.
(뭐, '손에서 손으로' 라는 뜻으로 직접거래를 의미 하는것 같습니다.)
역시 가격 참고만 하는 사이트 되겠습니다.
---------------------------------------------------------------------------------------------------------------


Sample #03, #04 링크를 둘러 보셨으면 눈치 채셨겠지만,
'П' 코팅의 붉은 마크는 같은 렌즈인데도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습니다.

Question #02
왜? 'П' 표식의 유무가 틀리고,
이에 따른, 실제 렌즈에 있어서 코팅의 유무에 차이가 있는 것 일까요?
라는 의문이 또 생깁니다.

-----------------------------------------------------------------------------------------------------------------
Sample #05
http://mindmix.ru/photo/74-244-jupit...-ms-read.shtml

러시아 매니아들의 포럼 게시판 입니다.
질문자와 대답자들 사이에 진지한 내용을 주고 받는데,
내용을 요약 하면,
2002년 11월 15일에 아무개씨의 질문은,
‘샾에서 Юпитер (쥬피터)37АМ 렌즈가 MC라고 해서 샀는데, 이제 보니 MC라고 안써있네요, 이것이 MC 입니까? 아닙니까? 난 속은 건가요?’
하는 내용 입니다.

이 질문에 대한 리플들에, 제가 원하던 해답이 비슷하게 들어 있습니다.

1. MC는 표기 하다가 후엔 표기하지 않았지만 MC코팅은 되어있다.
2. MC는 예전 러시아 렌즈의 'П'코팅 에서 진보된 기술이다.
3. 'П'는 자이쯔의 'T' 이다.
4. Phosphate(인산염) 라고 하는 물질로 코팅을 했다.
5. 러시아 렌즈에 쓰여진 붉은 글자 'П'는 'Просветление'의 약자 이다.
6. 'П' 표식 또한 초기에 마크 되어 지다가 후엔 하지 않았으나 역시 코팅은 되어 있다.
등등등 입니다.
--------------------------------------------------------------------------------------------------------------------

드디어 'П'코팅에 대해 대략의 윤곽이 잡히기 시작 합니다.
'Просветление' 는 '쁘라스벳뜨례니예'...이것은 영어로 'blooming' 입니다.
저는 이 부분이 이해가 되질 않았습니다.
'꽃이 피다' 의 의미로 알고 있었는데, 사전에서 찾아 보니,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bloom•ing〔 〕 a.
1 활짝 꽃핀(in bloom), 만발한
2 꽃 같은, 꽃다운;한창인
3 번성[융성]한
4 [BLOODY의 대용어] 《영•속어》 지독한, 굉장한
¶ a blooming fool 지독한 바보[멍텅구리]
━ ad. 《영•속어》 지독하게, 터무니없이, 엄청나게;실로, 전혀
━ n.【컴퓨터】 화면 반점(smear);【광학】 (렌즈의) 코팅, 반사 방지막
~•ly ad.

설명의 마지막에 광학렌즈의 코팅, 반사 방지막 이라고 나옵니다.

'П = Просветление = blooming = 코팅' 의 공식이 성립 되는 순간 입니다.


여기서 집고 넘어가야 할 문제는 ‘Zeiss사의 T코팅’과 WWII 입니다.

‘The last important Zeiss innovatio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was the technique of applying anti-reflective coating to lens surfaces. A lens so treated was marked with a red "T", short for "Transparent". The technique of applying multiple layers of coating was developed from this basis after the war, and known as "T*" (T-star).’
( http://en.wikipedia.org/wiki/Zeiss)

‘자이쯔는 WWII 이전에 렌즈 표면에 anti-reflective 코팅 기술을 개발 했고, 이것을 T(a red "T", short for Transparent = 투명하다)로 명명했으며, 전쟁 후에는 T* (T-star)로알려진 multiple layers 코팅 기술로 발전 시켰다.’
(이 부분 에서, ‘T’코팅은 ‘single layer’ 라고 추측이 가능 합니다.)


WWII는,아시다시피 1939년 9월 1일에 시작 되어,
1945년 8월 15일 세계 2차 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이 중 러시아와의 전쟁시기는 1941년 6월부터 입니다.
1945년 5월 1일 소련군이 베를린에 돌입하였고, 히틀러는 그 전날 자살 하였습니다.
5월 7일에 독일군 최고 사령부는 연합군에게 무조건 항복했고,
9일에는 소련군에게도 항복하면서 끝났습니다.


'П'코팅 문제의 근원이 바로 이 즈음에 일어 났습니다.
이때 소련이 독일로부터 렌즈 코팅 기술과 카메라 생산 라인을 가져오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위에서 언급한 자이쯔의 T코팅 기술과 여러가지 카메라와 렌즈 생산 라인 되겠습니다.



이제 궁금증이 풀려 가기 시작 합니다.
--------------------------------------------------------------------------------------------------------------------------------
Question #01
그렇다면, 이 블로거의 말 대로 정말 P코팅이 T코팅 보다 진보된 코팅 일까요???

Best Answer
아닙니다.
P코팅은 단순히 T코팅의 기술이전을 통한 옛 소련이 낳은 T코팅의 아류작(?) 입니다.
--------------------------------------------------------------------------------------------------------------------------------
Question #02
그렇다면,
'П' 표식의 유무에 따른, 실제 렌즈에 있어서 코팅의 유무에 차이가 있는 것 일까요?

Best Answer
아닙니다.
П표식은 초기에 마크 하다가 후엔 하지 않았으나 똑같이 코팅은 되어 있습니다.
실제 사진 에서도 비록 아류작 이라고는 하나 컨트라스트가 강하게 나오는 경향을 보인다고 합니다.
--------------------------------------------------------------------------------------------------------------------------------



이번 조사를 통해 새로 알게 된 사실들 입니다.

00. 'П = Просветление = blooming = 코팅' 이다.
01. 1945년 부터 1956년까지 러시아에서 자이쯔의 T코팅 기술을 이전한 'П'(P)코팅을 사용 했다.
02. T와 P 코팅은 single layer이며, 후에 T*와 MC코팅으로 발전하였다.
03. 자이쯔이콘에 쓰인 렌즈중 opton 이라고 써있는 것 또한 코팅을 의미한다.
04. 우크라이나의 키예브(도시)에서 콘탁스 카메라를 키예브로 복제했다.
05. 크라스노고로스크 에서 자이쯔 이콘타를 모스크바 시리즈로 복제했다.
06. 키예브는 동독에 있던 자이쯔공장의 부품과 기기들을 옮겨서 생산한 기종들이라서,
몇몇 시리얼(No Name Contax)등은 오히려 더 높은 가격을 받고 팔리고 있다.
07. 복제 카메라에 맞게 자이쯔의 여러가지 렌즈도 복제를 하였으며,
복제한 러시아 렌즈에는 P와 MC중 하나의 코팅이 되어 있다.
08. 헬리오스 40은 100개 까지 자이쯔의 오리지널 글래스로 제작되었다.
09. 헬리오스 44-2 1 layer 45/5제닛 Е타입에 사용.
10. 헬리오스 44-3 부터 MC 이다.
11. 헬리오스 44-7 는 다시 1 layer(П)코팅 이다.
12. 헬리오스 44M-4 MC 는 두번째 개발한 MC로 콘트라스트가 높다.
13. 헬리오스 MC 44K-4 는 Pentax K처럼 생긴 베이요넷 마운트 이다.
14. 인산염(Phosphate)과 마그네슘 플로라이드(magnesium fluoride=MgF2)로 싱글 코팅을 했다.
15. 마그네슘 플로라이드(magnesium fluoride=MgF2)는 알루미늄판 코팅에도 사용된다.
16. 러시아산 코팅 렌즈도 매니아층이 있고,
상태가 좋은 렌즈는 좋은 퀄리티의 사진을 만들어 주어 많은 이로 하여금 사랑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다시 생기는 궁금증은,

인산염과 마그네슘을 어떤 방법으로 코팅을 했을까요?
Sample #01과 #02 의 비노클에 쓰인 프리즘의 P코팅은 과연 러시아에서 쓰던 П코팅과 같은것 일까요?
혹시 프리즘의 P코팅 또한 그냥 코팅 되었다는 의미의 П일까요?

이번 주말이 지나고 나면 제 손에 이들 렌즈중 하나가 들려 있을까요?!?!???



글 관련 링크

http://en.wikipedia.org/wiki/Optical_coating
http://en.wikipedia.org/wiki/Phospha...ersion_coating
http://www.mellesgriot.com/products/optics/oc_4_1.htm
http://rick_oleson.tripod.com/index-166.html
http://www.camerahobby.com/EBook-Len...hapter6Sub.htm
http://en.wikipedia.org/wiki/Zeiss
http://en.wikipedia.org/wiki/Optical_coating
http://rick_oleson.tripod.com/index-166.html
http://www.rus-camera.com/history.ph...tory_history_1
http://mindmix.ru/photo/74-244-jupit...-ms-read.shtml


Serial Numbers of Zeiss Lenses by Year of Manufacture

http://www.craigcamera.com/zeisslen.htm






마지막으로, 러시아 라이카 사이트 링크 입니다.
http://leica-russia.ru/index.htm

위쪽 메뉴중 'История'(History) 를 클릭 하시면,
라이카의 역사가 나옵니다...물론 러시아어...;;;

바르낙, M, R, PS 의 순서대로 표가 나오는데, 표안에 이름을 클릭 하시면,
사진과 함께 몇몇 기종들은 셔터 사운드를 들으실 수 있으십니다.

BD에도 이런 섹션 만들었음 하는 바램 입니다.

그리고, 이곳 오피셜 사이트의 가격은 BD보다 비쌉니다.
추천 0

댓글목록

강웅천님의 댓글

강웅천

정성스레 작성한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박은원님의 댓글

박은원

좋은 정보를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동안 알고싶었던 궁금증이 해소 되었습니다.

정태인님의 댓글

정태인

한동안 러시아 렌즈를 많이 사용하기만 했던 저로서는 매우 반가운 글입니다.
지금도 몇몇 렌즈들은 사용하고 있지만, 저렴하면서도 좋은 퀄리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

김형배님의 댓글

김형배

저도 구 소련산 렌즈를 몇 개 가지고 있는데..
이렇듯 상세한 정보를 제고해 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전진석님의 댓글

전진석

이야 성준님, 정말 약속을 지켜주셨네요.
감사합니다 드디어 정체모를 P코팅의 윤곽이 확실히 잡혀가는듯하네요
P의 정확한 의미도 알게된것도 수확이네요.
일본에서 추측한것처럼 명징화같은건 아니었네요 ㅎㅎ..

이영준님의 댓글

이영준

정성스런 글, 잘 보았습니다.
제가 가진 러시아렌즈도 한번 살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無限/박성준님의 댓글

無限/박성준

변변치 않은 글 읽어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전 진석님 이셨군요!!
덕분에 공부 많이 했습니다...ㅎㅎㅎ
내일, 일요일에 아무래도 시장 돌아 다니면서 유심히좀 살펴 봐야겠습니다.
깨끗한것 있으면 하나쯤 사서 테스트도 해보고 싶고요...
게다가 가격도 부담 없고...^^

홍건영님의 댓글

홍건영

아, 엄청난 작업을 하셨습니다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이상훈님의 댓글

이상훈

대단한 작업에 경의를 표합니다.

서민교님의 댓글

서민교

이런 자료를 구하려면 얼만큼의 노력이 필요한 건지...
3년 가까이 지난 지금 시점에도 노력과 열정이 느껴집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