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유치한 질문한번 해봅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이재복2
  • 작성일 : 07-12-04 23:01

본문

감성적인거 뺴고, 물론 가격차이도 논외로

순수 광학기준

니콘과 라이카는 어느정도 차이가 날까요?

비슷한 라인업의 단렌즈 기준입니다

28mm f2.8 35mm f1.4 , 50mm f1.4 등등...........




니콘의 mf 28mm f2.8 렌즈가 20만원도 안되는 가격에 거래가 되더군요

그런데 엘마리트 28미리는 더욱 고가 이잖습니까...

라이카라는 브렌드를 빼고 광학적으로만 따지면 과연 얼마나 차이날까 호기심이 생겨서 질문드려봅니다
추천 0

댓글목록

양정훈님의 댓글

양정훈

작은 크기도 선호하는 이유가 되겠지만,
그것 보다는 라이카 렌즈가 보여주는 "풍부한 암부계조" 때문에
전 개인적으로 라이카 렌즈를 고집합니다.
광학적 분석으로는 잘 모르겠지만,
맨눈으로 보는 바로는 (꺼플이 씌웠는지는 모르지만..ㅎㅎㅎ)

좋은 빛 아래서는 여타의 렌즈와 커다란 차이를 느낄 수 없지만
일반적인 촬영 여건에서는 대부분 라이카 렌즈의 암부계조가
보다 풍부하면서 동시에 부드럽습니다.

전 흑백 인물 사진을 보면,
가장 먼저 인물의 머리 계조를 보는 버릇이 있습니다.
머리의 계조가 뭉개졌는지,
아니면 머리의 암부 계조가 제대로 살아 있는지.

타이거 우즈와 최경주는 둘 모두 PGA 탑클래스 골퍼이지만,
아주 미세한 역량 차이로 우즈는 탑 오브더 탑의 꼭대기에 있고,
최경주선수는 탐 오브더 탑에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나 할까요.
두 사람의 그 미세한 역량 차이가 엄청난 수입 차이로 나타나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강웅천님의 댓글

강웅천

RF는 RF끼리 비교해야 합니다 ^ ^
니콘의 SP와 함께 새로 나오는 렌즈들은 귀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라이카보다 비쌉니다.

저렴하게는 라이카 R 렌즈들이 비싼 렌즈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것도 상당합니다.
광학적으로의 차이도 차이지만, 만듬새나, 사용되어지는 재료등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그 차이는 미묘해서 니콘으로 만족할 수도 있지만, 그 작은 차이 때문에 라이카를 쓰게 됩니다.
니콘 장비도 하나 가지고 있고, 쭉 사용해왔지만 지난 사진들을 다시 살펴보니
라이카의 특징은 화사하며 진득한 색감과 흑백에서의 풍부한 계조입니다.
실제적으로 니콘과 라이카의 색감은 상당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니콘의 색감을 좋게 표현하면 차분하다할 수 있으나, 다르게 표현하면 화사하지 못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양정훈선배님의 답변이 적절하십니다.

김재범^^님의 댓글

김재범^^

순수 광학 기준이라는 것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수치상으로만 본다면
아마 니콘이 앞설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경험으로 봤을 때, 사진이라는 것이 단지 수치만으로 표현하기에는 그 이상의 무
언가가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제 경험으로도 양정훈 선배님과 같이 계조의 풍부함이나 색상의 자연스러움, 그리고 피사
체와 배경과의 일체감 등의 이유로 저도 라이카 렌즈를 고집하게 되었습니다. 비단 필름카
메라 뿐만 아니라 디카의 경우도 확실히 차이를 느낍니다.

JK이종구님의 댓글

JK이종구

시대별로 구분해서 비교해보는것이 맞지않나 싶습니다.

50년대에 나온 라이카M 1세대 렌즈들과 니콘의 동시대 렌즈들.
2000년대에 나오는 라이카의 ASPH렌즈들과 니콘의 ED렌즈들.

어윈풋 아저씨의 테스트결과로 보면 라이카의 ASPH 렌즈들이 대부분의 분야에서 압도적인 성능의 차이를 보였다고 하더군요. 물론 어윈풋 아저씨가 라이카를 편애하는부분도 없지 않으나, 제조사가 아닌 제3의 전문가가 만든 데이터이니 객관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한지영님의 댓글

한지영

평균적인 광학기술의 독일과 일본의 격차는 매우 근소한 수준인걸로 알고있습니다.
카메라 렌즈도 소위 광학성능의 지표로 불리우는 MTF차트로는 일제 상급렌즈들과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M렌즈의 대표격인 렌즈들에 대응되는 동일화각,
동일 최대조리개값을 가지는 일제 단렌즈들은 상급렌즈로 분류되는것이
별로 없습니다. 보통 밝은 고정조리개의 줌렌즈가 상급렌즈로 분류됩니다.
그러므로 많이 쓰시는 M렌즈에 대응하는 일제렌즈로 비교한다면 현행 M렌즈가
꽤 유리합니다.

광각도 구조적으로 SLR방식이 설계에서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SLR구조의
상급 광각렌즈들의 성능은 놀라운 수준입니다.

렌즈의 해상력은 보통 콘트라스트와 샤프니스로 구분하는데
대개의 일제렌즈들은 샤프니스에 치중하고, 독일제렌즈(라이카나 자이즈 슈나이더등)
는 콘트라스트에 투자하는 설계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제렌즈를 선호하는 유저들의 독일제고급렌즈의 가격거품에 대한 조소나
독일제렌즈를 선호하는 유저들의 일제렌즈를 폄하하는 관점 보다는
더 좋다 나쁘다의 문제가 아닌 다르다 라는 차이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선택해야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김기현님의 댓글

김기현

뭐, 크게 유치한 질문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라이카가 아닌 다른 렌즈와 사진기로 좋은 사진을 찍어서 보여주는 분을 보면,

제가 지닌 좀 비싼 렌즈와 사진기가 부끄러울 때가 있죠.

그러나, 제 능력의 범위내에서는

라이카로 찍은 사진들이 느낌이 더 좋습니다.

그게 중요한것이지요.

아마도 이 클럽에서는 라이카 렌즈의 광학적 성능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라이카 렌즈를 사용하는 분은 없을것으로 봅니다.

그러므로 질문의 내용은 답을 기대하기 어려운 질문같습니다.

..

이재복2님의 댓글

이재복2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또하나 배웠네요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