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각렌즈) 라이카 렌즈중...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손영호2
- 작성일 : 07-11-16 15:26
관련링크
본문
라이카에서도 예전의 35미리 스미크론 6군 8매가
라이카 유저들에게 '전설'로 통하면서 인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텐데요.
왜 이런 렌즈는 복각해서 판매하지 않을 까요?
잘 팔릴거 같은데...

댓글목록
강웅천님의 댓글

펙토리로 코팅이 안되었던 렌즈들을 코팅하거나
니켈 도금을 크롬 도금으로 바꿔준 경우는 있지만 복각은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그렇잖아도 요즘의 라이카 스페셜 버전의 상술 때문에 뭔가 하나 터뜨리지 않을까 궁금하지만, M3에 대한 갈망을 부르짖는 분들을 위해 MP3가 나와서 이젠 만족하려나 했는데, 완전한 M3가 아니라는 허망한 외침이 많습니다.
6/8의 경우는 원석인 '형석'이 귀하고 비싸서 원가가 너무 많이 들어가 재현해 낸다해도 가격이 많이 비싸지고, 이미 희소성과 성능으로 천정지부까지 올라간 렌즈 사용자들에게
많은 반발을 사게 될 겁니다.
또한 실버렌즈의 처리과정에서 오염물질 발생으로 앞으로는 실버렌즈 개발도 어려울 듯 하구요.
4세대가 6/8의 느낌에 근접하였다는 소문을 위안으로 4세대의 인기가 치솟고 있는걸 라이카에는 알고 있는건지? ^ ^;
이규호님의 댓글

초기 코팅이 안된 엘마나 6군8매 이야기가 나오는 빠지지 않는 것이 귀하고 비싼 형석을
사용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이건 사실이 아닙니다.
형석은 공기 중 습기만으로도 부식되기 때문에 코팅을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과거 코팅 기술이 개발되지 않았을 땐 현미경등에 사용된 형석 렌즈를 오일에 담그는
방법으로 해결 했습니다. 그리고 표준이나 35mm의 경우 색수차 문제는 색지움
렌즈 사용만으로 충분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기에 형석을 사용해서 APO렌즈로 구성할
필요성이 없습니다. 아직 망원렌즈를 제외하고 APO가 붙은 렌즈를 찾아 볼 수 없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죠. 백통이라 불리는 캐논의 망원 줌 중에서 가장 싼 렌즈에 이 형석이
들어 있습니다. 꼭 필요한데 비싸고 구하기 어려워서 못쓰는 그런 소재가 결코 아닙니다.
1930년대에 나온 엘마나 50년이나 묵은 6군8매와 같은 렌즈로 좋은 사진을 얻으면 “당시
렌즈로도 이런 사진을 만들 수 있구나.”하고 감탄하면 충분합니다.
훗날 사용할 원석을 땅에 묻어 두었다거나, 형석을 확보하기 위해 캐나다 미들랜드에 공장
을 세웠다는 등 이들 렌즈의 우수한 성능과 가치를 강조하기 굳이 용비어천가 식으로
터무니 없는 전설을 만들 필요는 없지요.
6군8매로 만들어진 사진조차 제대로 본적이 없는, 라이카 처음 시작하려는 사람이 구입
하려 하고 또 세상의 모든 6군8매가 국내에 들어 오는 것 같다라는 글을 접할 때면 이들
렌즈에 대한 세평이 참으로 왜곡되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강웅천님의 댓글

http://leicaclub.net/forums/showthre...t=%B0%F8%C0%E5
형석사용이기 보다는 라이카 현재생산 렌즈들이 왜 비싼가에 대한 옛글에 대한 링크입니다.
'형석' 사용에 대한 많은 말들이 있었습니다.
저역시도 터무니 없는 전설에 휘둘린 것인가요?
라이카에서 시원하게 답변함 해주면 좋을텐데....
http://leicaclub.net/forums/showthre...=%2Alanthan%2A
지난글에서 형석 사용에 대한 선배님들의 해박한 담론에 대한 링크입니다.
실제로 Dennis Laney의 라이카 포켓 북에서도 란탄사용에 대한 설명을 해주고 있습니다.
좀더 찾아봐야겠습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