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라이카는 핀문제가 없는편인가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이상직
  • 작성일 : 07-11-05 21:17

본문

서서히 RF 카메라로 이동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 쓰고 있는 캐논 30D 제품은 핀문제로 AS센터를 2번이나 갔다왔는데...

라이카클럽 포럼에 보면 핀문제에 대해서 언급이 없으셔서.....

라이카 카메라는 핀 문제가 없는 것인지.... 아님 라이카라는 제품때문에

말씀들을 안하시는지....??
추천 0

댓글목록

강웅천님의 댓글

강웅천

필름 카메라 바디에서도 전핀과 후핀이 있겠지만 디지털 카메라만큼 민감하지 않기에
필름 카메라를 주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다보니 라클에서는 전, 후핀에 대한 논란이 비교적 적은 편입니다.
M8이 출시된 후 렌즈와 바디의 전, 후핀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들이 있었습니다.
검색해보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http://leicaclub.net/forums/search.php?searchid=1036140

김호님의 댓글

김호

결론은 아주 정확한 사진을 찍는데 RF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겁니다.
알고 계시겠지만 라이카의 RF는 기계적인 거리계 연동시스템을 사용합니다.
포커싱과 프레이밍에서 어느 정도 작은 오차는 있을 수 있고, 또 사용시간이
늘어남에 따라서 거리계(이중상)가 틀어 지기도 하고, 그러면 서비스센터에서
교정 받고 하는게 일반적입니다...다들 그렇게들 사용합니다....

이 준 현님의 댓글

이 준 현

다른 라클 분들에 비해 저의 사진 경험은 한참 부족하지만....
학생때 부터 10여년 카메라를 만져온 것만 보고 판단하면 카메라에 있어 핀(?) 문제는 단순한 사용자의 심리적 문제에 지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필름카메라가 주류였던 시기엔 포커스가 잘 안맞는다는 이야긴 접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제가 가장 많이 사용했던 캐논의 EOS 카메라를 예로 든다면... EOS5, EOS3를 사용하면서 24mm, 50mm, 28-70mm, 80mm, 135mm 와 같은 렌즈를 써봤었습니다. 하지만 현상과 인화를 하며 핀문제를 생각해본적이 없었습니다.
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 눈에 띄는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이죠..

그 후 제가 Contax 카메라로 바꾸면서 부터 주위에선 디지틀 바디가 보편화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유독 사용자가 많았던 니콘과 캐논 계열의 디지틀 바디 유저들간에 이슈가 되던게 전핀/후핀, 이른바 핀문제였습니다. 당시 전 디지틀 바디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관심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몇 년 뒤 캐논의 20D를 장만하면서 관심을 갖게 되었죠. 저의 결론은 위에 미리 적은대로 아주 단순했습니다. '사용자 심리적인 문제'
물론, 결론 또한 제 주관적인 판단일 뿐입니다. 하지만 조금 생각해보면 어느 정도 공감하실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바로.... 찍은 이미지를 실 인화 사이즈가 아닌, 확대된 사이즈로 보기 때문이었습니다.

실제로 테스트(?) 하는 많은 분들은 무의미하게 확대해서 결과를 올리곤 하셨더군요. 하지만 인화를 한다거나 인터넷상에 공개를 하는 사진은 실제 저장되는 이미지 사이즈와 비교해 상당히 축소될 수 밖에 없습니다. 사이즈가 작아지면 그만큼 선명도는 차이가 나게 될 수 있었죠...

제가 실제 20D를 사용하던 때에도 사진 최종 편집 사이즈는 가로 픽셀수가 1024도 되지 않았습니다. (인화를 많이 안했기에 인화사진은 비교를 못했네요..) 물론 포커싱이 나간 사진은 전부 포커싱이 애초에 잘못된 사진들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이즈로 볼 경우 mm 보다 작은 수준의 기준으로 핀이 나갔다 안나갔다 하는 판단은 무의미할 수 밖에 없는 것이겠죠....

아무튼 제 개인적인 생각에 불과하지만, 저는 그런, 핀문제라는 것은 인터넷의 과대포장에 속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JK이종구님의 댓글

JK이종구

M의 경우 RF들 중에서는 핀문제가 많지 않습니다.
핀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케논처럼 모든 렌즈 삔교정을 할 필요없이 이중합치만 맞춰주면 됩니다.
M의 구조상 50미리 이상의 화각을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또, 35mm 렌즈에서 F8만 맞춰주면 2.5미터 이상 올삔이 되기 때문에 그런거 신경 안씁니다.

R은 제가 구력이 짧아 패스합니다.

PS : (아님 라이카라는 제품때문에 말씀들을 안하시는지....??) <----------이말씀은 무슨 말씀이신지....

정웅태님의 댓글

정웅태

예전에 반도에 렌즈 시세를 알기 위해 간적이 있었는데, M8에다가 끼워서 간단하게 핀측정을 하더군요. 올드 렌즈였지만, 참 의외였습니다. 결론은 오차범위이내지만 약간 핀이 어긋난다고 매입을 거부하더군요.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디지털바디의 등장이라고 어쩔수 없다고 하면서요.
핀문제는 필름 바디를 사용하신다면 크게 걱정하실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저도 디지털을 사용할때에는 그런것에 신경이 쓰였지만, 필름으로 오고나서는 자연스레 신경을 안쓰게 되더군요.

예전에 디지털 바디가 첨 나왔을때 불량화소에 굉장히 민감했다가 지금은 신경도 안쓰는 것처럼요.

김용수JKT님의 댓글

김용수JKT

제가 가지고 있는 렌즈들을 M8을 사용해서 테스트해본적이 있었습니다.

디지털유저적인 시각과 방법으로 냉엄하게 테스트했었지요 ^^
카메라를 삼각대에 물리고, 릴리즈를 사용하여 카메라가 흔들릴가능성을 없애고,
1.25매그니파이어를 사용해서 정밀하게 포커싱을 조절하고, 렌즈를 최대개방해서
작은 글씨를 촬영하여, 30인치모니터상에서 1:1확대하여 확인했고
14개의 올드렌즈와 10개의 현행렌즈를 테스트했었습니다

결론은 의외였습니다

올드렌즈들은 100% 소위 칼핀이었습니다.
현행렌즈들은 35,50,75 룩스 및 녹티가 약간씩 후핀이었습니다
후핀은 1m 거리에서 촬영시 약 1-2 cm 였습니다.

제 테스트결과는 개인적인 테스트였고 테스트 결과를 정리해서 파일화 해두지는 않았었습니다
그저 궁금해서 해본게지요

참조가 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정진화님의 댓글

정진화

M8 사용자입니다. 한동안 핀 문제로 무척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습니다.
위에 선배님들께서 말씀하신 것에 모두 동감합니다.

라이카 필름바디에서의 핀 문제는 없다고 들었습니다.

다만, 라이카, 반도, 영상의 공식적인 답변으로는 디지털이 필름보다 촛점에 대한
관용도가 좁다고 하더군요. 실제 M8로 촬영해서 촛점이 안맞는 경우 황당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필름바디와 구조적으로 다른 뭔가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위에 김용수 선배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룩스나 녹티 같이 밝은 렌즈들은
디지털 바디에서 대부분 후핀이 난다고 하며, 저 또한 50, 35룩스에서 후핀이었습니다.
75mm APO CRON은 전핀이었습니다. 망원에서의 오촛점은 거의 좌절 수준이라
도저히 적응하지 못하고 많은 손해를 보고 방출한 아픈 기억이 있습니다.

1m거리에서 1~2cm 전후핀이 난다는 것은
실제 결과물을 보면 리사이즈나 샤프니스를 준다고 해서
그럭저럭 봐줄만한 수준이 아예 안됩니다.

올드렌즈(주미타 5cm, 주마론 3.5cm, 침동크론 1세대 5cm, 엘마 5cm)와
현행 크론 35mm asph, 엘마릿 28mm asph에서는 핀이 정확히 맞았습니다.

영상***에 가더라도 핀을 한번에 정확히 교정되는 경우가 드물어서
렌즈를 영입하게 되면 핀테스를 해서, 실제 촬영시 대충 감으로 또는 조리개를 조여서
팬포커스를 활용하지만, 조리개 개방이 필요한 경우 많은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김기현님의 댓글

김기현

인용:
원 작성회원 : 김용수JKT
제가 가지고 있는 렌즈들을 M8을 사용해서 테스트해본적이 있었습니다.

디지털유저적인 시각과 방법으로 냉엄하게 테스트했었지요 ^^
카메라를 삼각대에 물리고, 릴리즈를 사용하여 카메라가 흔들릴가능성을 없애고,
1.25매그니파이어를 사용해서 정밀하게 포커싱을 조절하고, 렌즈를 최대개방해서
작은 글씨를 촬영하여, 30인치모니터상에서 1:1확대하여 확인했고
14개의 올드렌즈와 10개의 현행렌즈를 테스트했었습니다

결론은 의외였습니다

올드렌즈들은 100% 소위 칼핀이었습니다.
현행렌즈들은 35,50,75 룩스 및 녹티가 약간씩 후핀이었습니다
후핀은 1m 거리에서 촬영시 약 1-2 cm 였습니다.

제 테스트결과는 개인적인 테스트였고 테스트 결과를 정리해서 파일화 해두지는 않았었습니다
그저 궁금해서 해본게지요

참조가 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공감이 가는 말씀입니다.

특정 렌즈를 굳이 지적하지는 않겠지만,
현행 렌즈들 중 상당 부분은 핀이 오락가락하는 경우가 제법있더군요.

수리장인과 그 부분에 대한 고민을 나누다가 렌즈를 분해하고 보니,
얇은 금속 링을 상당히 많이 끼워넣어서 핀을 교정한 흔적이 있었습니다.
제작과정에서 그리한 것이고,
각 공정별 부품의 정밀도가 올드렌즈에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결론내렸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