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중앙중점측광일때 노출보정을 어떻게 해주어야 하는지요...

페이지 정보

본문

피사체 보다 배경이 어두울때
피사체 보다 배경이 밝을때

배경에 조명등의 광량이 있을때
또는 역광일때

거기에 피사체의 사이즈가 크고 작을때(단순히 크고 작을때 뿐만아니라 그 중간들의 사이즈도 있겠죠?)
이렇게 따져 보면 경우의 수가 엄청 많습니다.

위에 열거 하지 않은 경우도 많죠?
가령 피사체가 특별히 없이 멀리서 풍경을 담을 경우 라던지 아니면 배경들이 복잡해서 피사체와 배경이 어지럽게 배치된 상황이라던지....
하여간 무지하게 많습니다.

그런데 제 카메라는 중앙중점측광만 지원됩니다.

이런상황에서 어떤 기준도 없이 그냥 오래 찍다 보면 경험에 의해 보정값을 알게 된다...?
너무 막연하기만 합니다...

물론 다들 그렇게 하신다지만...
예외인 경우도 있지 않습니까?
"이럴땐 -1.3 으로 보정해주면돼"
하고 찍었는데 실패하는 경우도 있을테고...
그렇다고 항상 브라케팅으로 찍기도 그렇고...

어떤분은 손등을 이용해서 노출값을 측정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손등을 잰 노출값을 그대로 찍을수는 없는 노릇이고
+,- 보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그건 또 어떤 기준으로 해주는 건가요?

그런데 제 카메라는 최소초점거리가 70cm 나 되어서 뷰파인더에 손등을 꽉채울수도 없습니다. 채우기는 커녕 너무 많이 모자르죠... 화각도 40미리라서요...(라이카cm)
이런경우는 손등 노출이나 그레이카드 측광도 포기해야하는건가요?
(엄청 큰 그레이카드가 있다면 모를까....)

너무 장문이 되었군요...
질문을 요약합니다.

"막연하지만 경험으로 해봐라"
"노출계를 사라"
이런것 말고 좀 구체적인 설명을 듣고 싶구요^^
제 카메라는 손등에서 노출을 재는 방법은 쓸 수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추천 0

댓글목록

JK이종구님의 댓글

JK이종구

1. 색상으로서 밝은것은 밝게 보정 (+) 어두운것은 어둡게 보정(-)
2. 그 면적이 넓고 좁음으로서 0.3~2까지의 보정치 결정.

1. 역광일 경우 인물에 다가서서 측광. 노출값 결정 후 촬영.
2. 야경시 가로등, 네온사인등이 혼재한 경우 평균값으로 촬영.
3. 자동차 라이트, 또는 스포트라이트를 직접 맞는 역광일 경우 +2 보정

** 저의 경우 SLR을 사용하더라도 중앙중점식 측광방식을 사용합니다.
가장 편리하기도 하지만, 노출실패확률이 가장 낮은것 같습니다.
역광이나 하늘이 끼어 있다 하더라도 노출해야하는 부분이 화면의 2/3정도로 채우고 측광한 값으로 촬영하면 그리 나쁘지 않은 결과를 주더군요.
노출대상은 약간 어두워 지지만, 하늘 등과 자연스럽게 연결 될 수 있습니다.

이곳의 김윤기 선생님께서는 아스팔트를 노출값의 기준으로 잡으십니다.

김현성76님의 댓글

김현성76

이종구님^^
감사합니다.
한수 배웁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