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mm 룩스와 크론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장웅조
- 작성일 : 07-10-22 11:00
관련링크
본문
이번에 MP에 물릴 렌즈를 클론으로 할지 룩스로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행이 좋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검색을 해봐도 도통 사용을 해본적이 없어서 감이 오질 않습니다.
혹시 룩스와 크론 둘 다 사용해보신 분중에서
차이점은 딱!!! 이거다~ 라고 설명해주실 분 계신가요?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서정훈▶님의 댓글

리뷰란에 두 렌즈를 비교한 글 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강웅천님의 댓글

둘다 써보시고 본인의 취향에 따라 결정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사진의 퀄리티는 차이가 미미합니다만 성향이 약간 다릅니다.
즈미룩스 asph는 맑고 밝고 섬세합니다.
즈미크론 asph는 콘트라스트가 강하고 섬세하며 선명합니다.
둘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후회하지 않을 만큼입니다.
특히나 즈미크론 asph는 라이카 최강 렌즈들중 하나입니다.
가격도 즈미룩스의 2/3값에 못 미치면서도 성능은 뒤지지 않습니다.
장웅조님의 댓글

결국 35mm summicron ASPH b/p 로 구해야 할 것 같습니다.
드디어 어느정도 윤곽이 잡히기 시작합니다.
설명해주신 두 회원님들 감사합니다.
강성연님의 댓글

DSLR의 경우 50.4와 50.8을 모두 보유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라이카 M의 경우 같은 35mm의 화각대라도
룩스와 크론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화각만 같을 뿐 성향이 다른 렌즈라고 하더군요.
또한 세대별로도 틀리구요.
전 여러 리뷰와 글을 읽은 끝에 35크론으로 마련했습니다.
저에겐 잘 맞는 렌즈더군요.
전우현님의 댓글

아주 어설픈 가정이지만 만약 저에게 누군가가
"앞으로 영원히 사용할 한 개의 렌즈만을 35 lux asph와 35cron asph 중에 하나만 고르라면 넌 어떡할꺼냐?"
라고 묻는다면
한참을 생각해 보니
제 나름대로의 답은 "35 cron asph"라는 답이 나오는군요.
물론 어디까지나 매우 많은 요소가 작용하는 부분이지만
정말 한 개만 가지고 그것으로 끝내라고 한다면 아마도 lux보다는 cron을 고를 것 같습니다.
꼭 이것이 더 좋고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왠지 그런 가정을 해 보니 선뜻 cron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비단 저 뿐만 아니겠지요?
최병국님의 댓글

저는 6/8을 고르던가, 35룩스 asph를 고르겠습니다.
김현민님의 댓글

M7을 구입하면서 맨 처음 사용하게된 렌즈는 35mm summicron ASPH 였습니다. 쓰다 보니 룩스의 느낌이 궁금해져서 35mm summilux ASPH 를 추가 했구요. 앞으로 둘 다 계속 쓰려고 합니다. 제 경우 처럼 먼저 크론을 쓰시다가 언젠가 기회가 있으면 룩스도 꼭 한번 써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성능은 둘 다 우수하지만 느낌은 분명히 다르기 때문 입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