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M7 몇 가지 여쭈어 봅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송지현
  • 작성일 : 07-09-16 01:04

본문

안녕하세요..
홈페이지 개편하고 첨 글을 쓰는 것 같습니다.
C-Lux 2를 구입하려고 반도 카메라에 갔었거든요...(참고로, 샵이 근처로 이전했습니다.)
오래전부터 꿈에 그려오던 M7 정말 상태 좋은 중고가 있더라구요..
휴..다시 병이 도져오는 듯합니다..^^
사실 RF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가격 때문에 DSLR을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계속 끌리는 것이 이제 슬슬 영접할 준비(?)를 해야될 때가 된거 같습니다.
몇 가지 여쭈어 볼께요..

1. RF 처음이라 아무래도 연습기간이 필요할 거 같은데..차라리 R-D1같은 디지털로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M7이랑 렌즈 호환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2. 파인더 개선 버전이라는건 무슨 의미인가요?
3. 모델 뒤에 붙는 0.72나 0.75 등등의 숫자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직원이 저에게 안경 쓰냐고 물어보면서 얘기하는데 잘 모르겠어서요..
4. 적절한 중고 시세가 어떤가요? 물론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상태가 좋은 제품의 검은
색의 경우에 말입니다. 아무래도 샵에 있는 가격이랑 비교를 좀 해봐야되지 않을까 해서
말입니다.
5. 여행 보다는 인물과 일상 생활을 담을 용도로, 시작할 수 있는 좀 저렴한 렌즈와 가격
좀 부탁드려봅니다.

그럼 정보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너무 많은 질문들을 한꺼번에 쏟아낸 것 같아서 좀 죄송하기도 합니다.
추천 0

댓글목록

김용수JKT님의 댓글

김용수JKT

처음 시작하시는분의 질문에는 같은 초보인 제 답변도 쓸모가 있을듯하여 답변해봅니다 ^^


1. RF 처음이라 아무래도 연습기간이 필요할 거 같은데..차라리 R-D1같은 디지털로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M7이랑 렌즈 호환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의견 : 내 조금 연습이 필요한듯 합니다. 특히 DSLR을 쓰다가 RF로 오면 오토포커싱 오토노출에 익숙해 있기때문에 당황스러울 수도 있을 듯합니다.
여유가 있으시다면 중고 M8이 어떨까 싶습니다 ^^ 그러나 역시 M의 본령은 필름이겠지요

2. 파인더 개선 버전이라는건 무슨 의미인가요?

의견 : 최초의 M인 M3 이후 M2, M4, M6, M7, M8 모두에 화이트 아웃이라는 현상이 있습니다 화이트 아웃이 없는 유일한 기종이 M3라고 하죠. 화이트 아웃이란 특정 빛 상황에서 화인더 내부로 들여다 보면 보이는 가운데의 네모난 부분이 아얗게 변하면서 촛정맞추기가 어려워지는 현상입니다, 개선 버전이란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걸 줄여주는 업그레이드가 수행된 버젼이란 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별 큰문제없이 잘쓰고 있습니다 개선전 버전두요

3. 모델 뒤에 붙는 0.72나 0.75 등등의 숫자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직원이 저에게 안경 쓰냐고 물어보면서 얘기하는데 잘 모르겠어서요..

0.58, 0.72, 0.85, 0.91(M3) 이 있습니다
맨눈으로 보는것과 파인더를 통해 보는것의 배율차이입니다 이게 1 이면등배라하죠 즉 맨눈으로 보는 피사체의 크기나 파인더로 보이는 크기나 같다란겁니다 등배란.
보통 안경을 쓰고 28mm렌즈까지 쓰겠다 하면 0.58, 안경없이 28mm까지 본다 라면 0.72, 35 이상이 주력이다(안경안쓰고) 0.85 를 선택하는것이 기본이라고들 하십니다.

4. 적절한 중고 시세가 어떤가요? 물론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상태가 좋은 제품의 검은
색의 경우에 말입니다. 아무래도 샵에 있는 가격이랑 비교를 좀 해봐야되지 않을까 해서
말입니다.

보통 M7의 경우 실사용기(즉 사용감이 있는, 수집용(모셔놓고 쓰지않을...) 이 아닌, 의 가격은 대게 200정도인듯합니다, M6는 150, MP는 230정도 인듯합니다. M8은 요즈음 320정도 하더군요, 참조만 하십시오, 상태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5. 여행 보다는 인물과 일상 생활을 담을 용도로, 시작할 수 있는 좀 저렴한 렌즈와 가격
좀 부탁드려봅니다.

의견 : 저렴의 기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조금 비싼(?) 물건이라면 현행 Summicron 35mm ASPH의 중고가가 120-140정도 인듯하더군요, 아주 좋은렌즈인듯합니다. 그거보다 조금 저렴한 4세대 35크론도 아주 좋더군요. 개인적으로 인물 일상생활을 담는데 50mm는 조금 좁은듯 해서 35를 선호합니다, 50mm를 좋아하신다면 선택의 폭은 매우넓어집니다 검색해보시면 좋은 선배님들의 주옥같은 글들이 많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특히 가격은 매우 유동적이니 참조만 해주세요

황원태님의 댓글

황원태

위에 김용수 선생님께서 좋은 답글 올려주셨지만, 더 추가하자면..

1. RF 처음이라 아무래도 연습기간이 필요할 거 같은데..차라리 R-D1같은 디지털로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M7이랑 렌즈 호환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노출에 대한 부분만 익히셨다면 별로 상관 없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라이카는 필름. 때문에 쓰는 경우가 많으니깐요. M8이라면 모르겠으나, RD-1은 전혀 다른 별개의 카메라라는 생각이 듭니다. RD-1의 장점도 많고, M8이나, M7의 라이카의 장점도 많으니.. 이는 각각의 카메라를 사용해보시고 마음에 드는 혹은 경제성 여부를 따지셔서 구입하시길 권합니다.


2. 파인더 개선 버전이라는건 무슨 의미인가요?
화이트 아웃 현상을 개선한 MP용 파인더가 들어가 있는 녀석을 뜻합니다. M3 이후의 버전은 파인더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혹은 35mm 프레임 추가를 위해.) 파인더 설계가 변경이 되었는데.. 그에 따르는 부작용으로 화이트 아웃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현행의 MP나, M7의 경우.. 화이트 아웃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편입니다만, 특정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개선 버전이나, 이전 버전이나 큰 차이는 없다고 하나.. 가능하시다면 개선 버전을 구입하시는게 여러모로 편할 것 같습니다. (저는 둘 다 사용해봤습니다. 별 차이는 없습니다만, 혹시 M에 적응을 못하고 판매를 한다면, 수월하게 팔리는 개선후 버전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3. 모델 뒤에 붙는 0.72나 0.75 등등의 숫자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직원이 저에게 안경 쓰냐고 물어보면서 얘기하는데 잘 모르겠어서요..

파인더 배율을 뜻합니다. 숫자가 낮을 수록 광각에 유리하고, 숫자가 높으면 등배파인더에 가까워지므로, 망원에 유리하겠지요. 물론, 0.85나 0.91의 M3라고 해도 -_- 50미리 이후의 렌즈를 사용하기엔 불편함이 따릅니다. 그래서 매그니 파인더를 사용하는거구요.


4. 적절한 중고 시세가 어떤가요? 물론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상태가 좋은 제품의 검은
색의 경우에 말입니다. 아무래도 샵에 있는 가격이랑 비교를 좀 해봐야되지 않을까 해서
말입니다.

상태 좋은 파인더 개선 모델은 보통 240 정도 잡으셔야할 겁니다. (거의 민트급. 샵 기준)
실사용은 210전후로 나오고요. (개인장터거래시.) 바디 거래는 개인적으로 초보시라면
샵 추천이고 (라이카를 아는 지인과 동반으로 가셔서 구입하시길 추천.) 아님,
믿을만한 활동많이하는 회원님들의 바디 구입을 추천합니다. ;-)


5. 여행 보다는 인물과 일상 생활을 담을 용도로, 시작할 수 있는 좀 저렴한 렌즈와 가격
좀 부탁드려봅니다.

50미리 현행 스미크론이 제일 가성비가 좋은 렌즈 중 하나입니다.
광각을 노리신다면 현행 스미크론도 괜찮지만...

송지현님의 댓글

송지현

진지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될 듯합니다. 구입후 인사 다시 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