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35mm 1.4 즈미룩스 렌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송석호
  • 작성일 : 07-09-10 10:07

본문

35mm 1.4 즈미룩스 렌즈를 구입하려고 하는 데...선택이 쉽지가 않네요.

그냥 현행 ASPH를 구매해야 하는 건지...올드렌즈를 사려니 어떤 렌즈가 좋을 지 잘 모르겠습니다.

주로 흑백을 찍으려고 합니다.막연히 올드렌즈가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고수님들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댓글목록

김병인님의 댓글

김병인

Summilux-M 35 는 세분한다면 모르지만 렌즈의 광학구조만으로 구분하면 3가지밖에 없습니다.

1. Summilux-M 35 pre-ASPH ---
초기형과 후기형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초기형은 가격이 많이 높습니다.
OLLUX 후드를 사용하는데 워낙 구하기도 쉽지 않고 물건이 있어도 가격이 렌즈하나 값이니...
후기형은 30년동안 발매된 렌즈라 개체수가 많습니다.
매우 콤팩트하고 우수한 렌즈이지만 최단거리 1미터, 필터는 꼭 series filter를 써야하는 불편함이 단점입니다.

2. Summilux-M 35 Aspherical
비구면 렌즈 두장이 들어간 렌즈입니다만...
생산된 개체수가 매우 적고 콜렉션 아이템이 되어 버린 비운의 렌즈입니다.
가격이 500-700만원정도 합니다.
논외이므로 제외...

3. Summilux-M 35 ASPH
1매의 비구면 렌즈가 장착된 렌즈.
양산형으로 생산된 만큼 비교적 개체수도 많은 편이지만 한번 들어가면 잘 나오지 않는 렌즈인듯 합니다.
거래가 그리 많지 않고 최초 발매가보다 중고가격이 더 높은 렌즈입니다.
현재판매가가 많이 올랐다고도 할수 있겠지요.

개인적으로는 상태가 좋은 preASPH가 좋을 듯 합니다.

박주현@Leica님의 댓글

박주현@Leica

최근 관심이 생겨 알아보는 중이였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신 인수님의 댓글

신 인수

제가 M8 에 지인의 50미리 스미룩스 non-asph 를 마운트해서 사진을 찍어보니까
제가 가지고 있는 35mm asph 보다 입체감이 많이 덜하더군요. 색감도 떨어지는 것 같구요.

제 아바타 사진이 35 룩스 asph 6bit로 찍은 사진입니다.

장욱님의 댓글

장욱

찾으실 수만 있다면 Summilux ASPH 6 bit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가격에 좌절하지 마세요.

freeoj김영재님의 댓글

freeoj김영재

35룩스 ASPH추천해드립니다.
선명함과 투명함이 남다릅니다.

황원태님의 댓글

황원태

다 가지고 있어봤던 입장으로 (지금은 1,3은 정리하였고 2번 쓰고 있습니다. )
현행 써보시다가, 올드 써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각 렌즈마다의 특성이 달라서 일괄적으로 뭐가 좋다. 나쁘다. 라고 귀결짓기는 힘듭니다.

2번을 제외하고 1,3번의 비교를 해보자면..

색은 현행의 룩스 asph보다 올드의 룩스가 더 진하며 - 화려한 색표현 또한 1st 룩스가
좀 더 낫습니다만..

해상력에선 현행보다 밀리며. 플레어 등의 억제력에서도 현행에 밀리는 단점.
이 있구요.

다만 그 색이라는 부분이 매우 매력적이라 라클에서도 1st 룩스 초기형을 좋아하시고
또 사용하는 분들이 많이 있으십니다. ;-) 저 또한 구하기 쉬운 현행보다, 1st 룩스 초기형
이 더 낫다고 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1st 후기형은 asph 현행보다 그닥 매력적이라고 생각되진 않습니다.)

성능만 놓고보면 모든 부분에서 2번이 제일 좋으나, 말 그대로 가격이;; 장난이 아니다보니.. 일단은 3번 쓰시다가, 1번을 쓰실 기회가 온다면 1번 초기형, 후기형 다 써보시길 바랍니다.

김병인님의 댓글

김병인

입체감, 채도, 해상력...

철저하게 주관적인 견해로 판단하실 문제가 아닐까요?
해상력을 구버전과 신버전에서 구체적으로 테스트해보신 분은 아마도 많지 않으실 겁니다.
해상력이 ASPH가 더 우수하다고 말씀하시는데 실제로 구버전의 해상력은 Summicron보다
더 우수하면 우수했지 덜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방에서의 glow효과로 인해 해상력이 떨어진다는 선입견이 아닐지요?
만약 광학적인 성능이 모자라는 렌즈였다면 같은 설계로 30년동안 롱런이 가능했을까요?

라이카 렌즈는 기본적으로 나쁜 렌즈가 없습니다.
취향의 문제이고 개인적인 느낌이 결과적으로 선택을 좌우하는 것이지요.

황원태님의 댓글

황원태

제 글에서도.. 물론 조였을 때가 아닌, 개방 조리개. 라는 전제 조건입니다. ;-)

송석호님의 댓글

송석호

고수님들의 좋은 의견들 감사드립니다.

역시 라이카 클럽이 참 도움이 많이 된다는 생각을 하게되네요...답답하던 마음이 많이 풀렸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이풍희님의 댓글

이풍희

Summilux-M 35 1st 초기형을 사용중인데요.
개방에서 튀어나올 듯한 입체감과 보케가 정말 환상적입니다.

정지웅71님의 댓글

정지웅71

잘 몰라서 여쭙는건데요...
2와 3의 구분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렌즈를 보면 알 수 있나요?

김병인님의 댓글

김병인

렌즈 앞 각인부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Aspherical 과 ASPH
그리고 경통의 디자인도 약간 다릅니다만 두개를 동시에 비교하셔야 차이점을 알수 있을 정도 입니다.
전자는 거의 보실 일이 없으실 듯 합니다.
개체수가 워낙 적고 실사용하시는 분도 몇분 없기 때문입니다.

황원태님의 댓글

황원태

2번의 경우 말 그대로 이렇게 생겼습니다.

후드도 현행의 28 cron과 비슷하며 (더 견고하게 생겼습니다.)
경통도 현행과 다른 디자인입니다.

http://www.loied.com/tt/nanotics/ent...1st-aspherical

참고하시면 자세한 내용이 있습니다.

손창익님의 댓글

손창익

크허 함 사용해 봤으면...어떨지 궁금하군요.

김경민/아스란™님의 댓글

김경민/아스란™

라이카는 역시 히스토리가 많군요.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