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과 Rigid는 똑같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문대찬
- 작성일 : 07-07-23 14:02
관련링크
본문
Summicron 50 2세대중 DR 과 Rigid는 똑같은 렌즈라며, 똑같은 결과를 보여준다고
읽었습니다.
근데...얼마전 포럼 검색하는중...DR 과 Rigid는 확실히 차이가 있다는 분들의
리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아직까지 막눈이라서 사진들을 보면 차이를 찾기가 힘드네요... 사람들의 눈의
차이라고도 할 수 있을까요?
댓글목록
김병인님의 댓글

아마도 제가 썼던 글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일본책에서 보았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었습니다.
최근에 혹시 그 일본서적의 내용에서 침동식렌즈의 사진과 DR의 사진이 서로 바뀐 것은 아니었을까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Leica Pocket Book등을 통해서 보다 자세한 자료를 구하고 싶어지기도 합니다.
실제로 일단 책으로 출판되면 공식적인 자료로 활용될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신중하여야 겠지요.
향후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 정확한 자료를 얻게 되면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R은 제 경우 5개정도를 써보았고 Rigid의 경우 10개 이상을 써본 듯 합니다.
정확하지는 않습니다만 느낌만 가지고 이야기해도 좋다고 하시면 DR쪽이 보다 강한 콘트라스트와 높은 채도를 보여줬다고 생각됩니다.
리지드는 상대적으로 톤이 곱다고 할까요...
이 느낌은 위에서 언급한 혹여 잘못되었을지 모르는 일본산 정보가 잘못된 것이었다고 하더라도 변함이 없는 느낌입니다.
같은 렌즈에서 어떻게 서로 다른 느낌이 들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전혀 과학적이지 않은 제 눈과 마음을 핑계로 내세워야 겠지요.
어제, 오랫만에 DR을 썼는데 "역시..."라는 느낌만 확인 했습니다.
무겁다는 점만 제외하면 DR은 분명히 라이카가 내놓은 명작중 하나임에 분명합니다.
문대찬님의 댓글

김병인님 말씀 듣고 나니...DR 한번 써보고 싶어지는 마음이 커지네요..
라이카 사용하면서 그 감성이라는게 아주 큰매력인거 같네요.. 같이 렌즈라고 설명하는
책도 있지만, 유저들 말씀들어보면 이런 차이가 있다고 하니.. 신기하면서도...속으로
역시 라이카 다 라는 말이 나오네요..
류중래님의 댓글

DR도 나온 시기에 따라, 또 리지드도 나온 시기에 따라 결과물의 느낌에 차이가 있는데,
어찌 "DR 과 Rigid는 똑같은 렌즈라며, 똑같은 결과를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경험에 비춰 보면 라이카 관련 책에 나오는 것, 모두 믿을 것 못 됩니다...
전반적인 느낌으로 두 렌즈 차이를 구분한다면..
역시 위의 김병인 선생의 느낌 차이를 저도 정확히 느꼈습니다.
그래서 제 경우 리지드를 취하고 DR을 넘겼습니다만... 결국은 써봐야 맛을 알 것 같은데요.
이영준님의 댓글

Erwin Puts의 Leica Lens Compendium에는 그렇게 나와있네요!
(p.120) Both the Rigid and the DR versions have identical optical cells and so have absolutely identical performance.
처음 두 렌즈가 제작될 때에는 같은 구조이기에 같은 렌즈라고 할 수 있지만...
세월에 흐르면서 신동품 상태가 아닌 두 렌즈를 비교하면 당연히 다르게 나올 수 있겠지요!
같은 Rigid나 DR이라도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니
눈으로 본 결과물이 다르다고 두 렌즈가 다르다고 할 수는 없겠지요.
설계부터 만든 과정이 모두 같은 구조의 렌즈라는데...
김병인님의 댓글

이교수님 이참에 확인하고 싶은데요...
혹시 리지드와 DR의 렌즈 단면도가 책자에 있다면 보내주실 수 있을지요?
강웅천님의 댓글

리지드(SOOIC-MS, later SOSIC)와 DR(SOOIC-MN, later SOMNI)를 같은 구조도를
가진 렌즈로 구분하는 듯 합니다.
앞서 개발 되었던 침동식(SOOIC-M)의 구조도와는 대물렌즈쪽의 두께가 좀 다릅니다.
침동식과 리지드,DR의 구조도 올려 봅니다.
김병인님의 댓글

미국쪽의 자료가 맞다면 일본에서 나온 책자에 잘못된 정보가 올라와 있었다는 이야기가 되네요.
라이카의 명렌즈를 소개한 책자로 현재 많은 분들이 보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중대한 오류가 있다는 결론인데...
여러경로를 통해서 한번 확인해보고 만약 잘못된 정보라면 책자를 리콜하도록 요구할까요? ^^;
이영준님의 댓글

두 렌즈, DR과 Rigid의 code word가 같은 렌즈 단면도에 적혀있으니 믿을 만하겠네요!
참고로 Irwin Puts의 50mm Summicron 설명에 의하면
Summicron 2세대는 2가지 version이 생산되었는데
2세대 표준형은 1세대 침동식과 구분하기 위해 Rigid version(SOSIC),
아이가 달린 접사용은 DR(dual range) 또는 NF(near focus) version(SOMNI)로 명명했답니다.
그러니 Rigid와 DR은 침동식을 개선한 같은 구조의 렌즈이고,
거기에 근거리 접사가 가능하도록 외관을 변형하고 아이를 달아 판매한 것이 DR이라는 이야기가 되겠네요!
류중래님의 댓글

DR과 Rigid의 렌즈구조에 대해서라면 "같다"는 것은 대부분의 자료에서 확인됩니다.
그런데 렌즈구조란 그저 구조일뿐 똑같은 결과물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수많은 렌즈의 전범이 되었던 Tessar나 Sonnar같은 경우 구조는 유사 또는 동일하지만
결과물의 느낌은 제각각이죠.
결국 결과물을 결정짓는데 렌즈 구조란 많은 요인들중에 한가지라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DR과 Rigid의 문제는 같은 회사의 제품인데도 불구하고 결과물이 '개체차'라고 보기 어려운,
일관되고 뚜렷한 느낌의 차이가 있다는 것인데...
글쎄요. 직접 사용해 보고 좋은 것을 취하면 되겠죠.^^
이영준님의 댓글

제가 가진 8쪽 짜리 "Leica Lenses"에 소개된 50mm Summicron /2의 내용입니다.
페이지 없이 따로 한장에 21mm SA f/3.4와 135mm Elmarit f/2.8이 끼워져 있는 것으로 보아 1962년경에 나온 자료 같습니다.
이 자료도 Rigid와 DR은 같은 구조를 가진 같은 렌즈이고 외관만 변형시킨 렌즈라고 보여줍니다.
김병인님의 댓글

교수님이 올려주신 자료의 사진은 아마도 뉴욕라이츠사에서 나온 카타로그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유는 렌즈의 단면도는 초기형 침동식 단면이고 SA21 3.4렌즈는 제가 알기로는 1963년도에 발매된 것으로 압니다. 카탈로그 상의 일러스트는 초기형 리지드구요...
묘한 짜집기 카탈로그라는 생각이 듭니다. 당시 발매한 리지드 렌즈는 미터와 피트가 같이 표기된 후기형이었을텐데 말입니다. ^^;
이영준님의 댓글

Ernst Leitz GMBH Wetzlar Germany
Subsidiary: Ernst Leitz (Canada) Ltd., Mdland, Ontario
Printed in Germany 1/63/AY/L.
뒷 부분에 이렇게 되어있네요!
아마도 63년 1월에 나온 자료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이 단면도는 Leica Lens Compendium의 Summicron (II) 1957에 나와있는 단면도와 정확히 같습니다.
김병인님의 댓글

위의 강웅천님이 올리신 James Larger씨의 책자 자료를 보면 카탈로그 상의 단면도는 SOOIC-M의 그림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는데요 만약 이교수님이 가지고 계신 자료상의 그림의 SUMMICRON(II)의 단면과 일치한다고 하면 침동식과 초기형 리지드는 같은 구조의 렌즈이고 이후 듀얼표기된 후기형렌즈와 DR이 다른 구조를 가진다는 가설을 생각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경우도 조금 의아스러운 것은 DR렌즈의 경우 초기 시리얼을 가진 렌즈들도 있다는 것이죠.
따라서 우리가 흔히 1세대로 분류하는 침동식과 리지드, 그리고 DR렌즈는 엄밀하게 말하면 전,후기로 모두 분류할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참 어렵고도 확인하기 힘든 사실이네요.
하지만 꼭 집고 넘어가서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뭔가 알아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료에 대한 확인을 해주신 이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준님의 댓글

김원장님!
제가 위에 올린 단면도와 강웅천님이 올린 단면도는 조금 다릅니다.
하나하나 비교해 보시면...
제 이야기는 제가 위에 올린 단면도와 Erwin Puts의 Leica Lens Compedium의 Summicron 50mm f/2(II)의 단면도가 정확히 같다는 것입니다.
Collasible과 다른 점은 전면 four elements에 Lak9이 사용된 점과
가운데 air lens가 .28mm에서 1.52mm로 길어진 점과 후면 렌즈도 다르다는 점이랍니다.(Erwin Puts)
따라서 침동식과 2세대 Summicron은 완전히 다른 렌즈이지만 DR과 Rigid는 같다는 뜻입니다.
김병인님의 댓글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이것으로 어느정도 정리가 된 듯 합니다.
일본출판사에 항의라도 해야될 것 같습니다. ^^;
앞으로는 정리된 내용으로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늦은 밤까지 못주무시고 죄송합니다. 안녕히 주무세요.
오프에서 뵙게 되면 인사올리겠습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