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LR의 CCD 와 화소수 차이에 따른 사진의 차이에 대한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박정현11
- 작성일 : 07-05-24 18:24
관련링크
본문
DSLR의 CCD 와 화소수 차이에 따른 사진의 차이에 대한 질문입니다.
초보자가 드리는 질문이니 틀린점 있으면 거침없이 지적해 주시고 답변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정말 잘몰라서 드리는
질문이니까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제가 필름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는데 필름카메라 같은경우에는 판형이 클수록 사진의 계조가 살고 더 좋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현상이 DSLR 에도 그대로 적용되느냐 하는 것이 질문의 요지입니다.
제가 여러 글들을 읽으며 확인한 정보로는
1. CCD 크기가 동일한 경우, 화소수의 차이가 있을 때,
1-1. 화소수가 높다(즉 픽셀이 조밀하다)면 감도를 높게 해야함. 즉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많아진다.
1-2. 화소수가 낮다(즉 픽셀이 위의 경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덜 조밀함)면 감도 낮아도 됨.
감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줄어든다.
2. 화소수(픽셀)가 같은경우, CCD 크기가 차이가 있을 때,
2-1. CCD 크기가 크면(면적이 넓으면) 저감도 가능. 상대적으로 계조가 좋음
2-2. CCD 크기가 작으면(면적이 좁으면) 감도 높아야 함. 상대적으로 계조가 떨어짐.
----------------------------------------------------------------------------------------------------
이렇게 판단했는데, 옳은 판단인지 궁금합니다. 물론 1:1이 좋고 화소수가 높은게 좋고 CCD가 높은게 좋은것은
알지만 취미생활을 하는데 금전적인 문제가 큰지라 고민이 많습니다.
1번 사항은 동급기종의 최신제품과 한단계 전제품 선택의 문제, 2번사항은 1:1이냐 크롭이냐의 문제랑도 관련이
일부분 있을 것 같은데,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으로 1:1 50미리 렌즈와 비교하여 크롭 30밀리 렌즈로 촬영했을때 차이가 무엇인가요?
둘다 동일한 화각이라고 가정하하고 카메라의 화소수랑 이미지 처리능력이 같다면
크롭또한 35미리 카메라에 비교하여 과연 차이가 있나요?
다시한번 위의 3가지 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초보자가 드리는 질문이니 틀린점 있으면 거침없이 지적해 주시고 답변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정말 잘몰라서 드리는
질문이니까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제가 필름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는데 필름카메라 같은경우에는 판형이 클수록 사진의 계조가 살고 더 좋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현상이 DSLR 에도 그대로 적용되느냐 하는 것이 질문의 요지입니다.
제가 여러 글들을 읽으며 확인한 정보로는
1. CCD 크기가 동일한 경우, 화소수의 차이가 있을 때,
1-1. 화소수가 높다(즉 픽셀이 조밀하다)면 감도를 높게 해야함. 즉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많아진다.
1-2. 화소수가 낮다(즉 픽셀이 위의 경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덜 조밀함)면 감도 낮아도 됨.
감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줄어든다.
2. 화소수(픽셀)가 같은경우, CCD 크기가 차이가 있을 때,
2-1. CCD 크기가 크면(면적이 넓으면) 저감도 가능. 상대적으로 계조가 좋음
2-2. CCD 크기가 작으면(면적이 좁으면) 감도 높아야 함. 상대적으로 계조가 떨어짐.
----------------------------------------------------------------------------------------------------
이렇게 판단했는데, 옳은 판단인지 궁금합니다. 물론 1:1이 좋고 화소수가 높은게 좋고 CCD가 높은게 좋은것은
알지만 취미생활을 하는데 금전적인 문제가 큰지라 고민이 많습니다.
1번 사항은 동급기종의 최신제품과 한단계 전제품 선택의 문제, 2번사항은 1:1이냐 크롭이냐의 문제랑도 관련이
일부분 있을 것 같은데,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으로 1:1 50미리 렌즈와 비교하여 크롭 30밀리 렌즈로 촬영했을때 차이가 무엇인가요?
둘다 동일한 화각이라고 가정하하고 카메라의 화소수랑 이미지 처리능력이 같다면
크롭또한 35미리 카메라에 비교하여 과연 차이가 있나요?
다시한번 위의 3가지 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댓글목록
김한상님의 댓글

저는 전문가가 아니라 자세한 설명은 못드립니다만..
일단 CCD의 크기는 물론 화질의 차이도 어느정도 있겠지만, 요새는 (예를 캐논으로 들어서) 30D나 400D의 CCD나 5D의 CCD나 화질의 차이는 전문가들도 알아보기 어려울정도이라고 생각합니다. 노이즈도 마찬가지구요.
1:1이 크롭보다 좋다고 하는 이유 중 가장 큰것은 사용하시는 렌즈를 렌즈가 만들어진 목적 그대로 제일 잘 활용할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캐논의 예를 들면 1:1 바디에서 표준 줌렌즈인 24-70 대신 크롭바디에서는 16-35, 17-40, 18-55등의 렌즈를 표준 줌렌즈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렌즈들은 광곽렌즈로 만들어졌기때문에 높은 조리개 값과 비교적 높은 가격으로 구성되있죠.
크롭에 35미리를 사용하시는거랑 1:1바디에 50미리를 사용하는 거랑의 차이는 글쎄요.. 화각은 비슷해 지겠지만 다른 렌즈이니 렌즈의 차이에 따른 결과물의 차이는 있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