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치바이스齊白石의 정문일침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박유영
  • 작성일 : 06-01-16 10:38

본문

나는 전각을 할 때 글씨를 쓰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했다. 붓이 한 번
간곳은 개칠하지 않듯이 각을 할 때도 칼이 한 번 지나간 데에는 절대로
다시 칼을 대지 않았다. 내 刻法은 종과 횡으로 각각 한 칼씩 단 두 방향
으로만 새긴다. 다른 사람들처럼 종과 횡으로 왔다갔다하며 여러 방향으
로 새기지 않는 것이다. 어떤 전법이 고상한지 또 어떤 도법이 건전한 지
는 전각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보면 곧 알 수 있다.

그리고 각을 할 때 글씨의 필세에 따라서 새겨나가지 먼저 돌에 글자를
써 놓고 새기지 않는다. 내 도법이 마치 글씨에서 느껴지는 필력처럼 힘
이 있다는 것은 바로 이런 까닭에서 이다. 도장을 새길 때 이리저리 도려
가며 한참동안 새기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렇게 해서 그들은 누
구 누구의 풍격이니를 운운하는데 실제로 그들은 흉내만 냈을 뿐이고 신
운은 모두 말살해 버린 것이다. 모양만 같고 정신이 빠진 그런 전각은 문
외한들이나 속일 수 있을 따름이다. 그들의 이런 각법은 후벼판다고나 할
수 있지 새긴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나는 항상 이렇게 말한다.

"세간의 일은 통쾌한 맛이 중요하다. 도장을 새기는 것은 본래 재미를 얻
기 위함인데 왜 굳이 쩔쩔매며 잘 새기려고 애쓴단 말인가."


'쇠똥화로에서 향내나다' 학고재 2003. 5. 30



齊白石 : 중국 청말의 화가

호 바이스[白石]. 이름 황[璜]. 후난성[湖南省] 출생. 40세무렵까지 고
향에서 소목장(小木匠)을 업으로 하면서 생계유지를 위해 그림을 그리다
가 화초·영모(翎毛:가축이나 가금)·초충류(草蟲類)의 명수로 알려지게 되
었다. 처음에는 송(宋)·원(元)의 그림에 촉발되고, 육방옹(陸放翁)의 시
에서도 자극을 받아 시·서·화를 배웠으며, 전각(篆刻)에도 솜씨가 있었다.

50세 이후 베이징[北京]으로 이사하여 한때 미술전문학교 교수가 된 적도
있다. 그의 그림은 점차 석도(石濤)·서위(徐渭)·주탑(朱耷:八大山人) 등
양저우계[揚州系] 화풍이 되었고, 자유롭게 감흥을 표현하는 중국문인화
의 도미(掉尾)를 장식하였다. 《화훼화책(花卉畵冊)》 《하엽도(荷葉圖)》
《남과도(南瓜圖)》 등의 작품이 있다.
추천 0

댓글목록

윤재경님의 댓글

윤재경

저도 한 권 갖고 있는 책입니다.
좋은 소개글 감사드리며...작품 몇 점 첨부해봅니다. (저작권위반되진 않겠죠? ^^)






윤재경님의 댓글

윤재경

며칠 전 자살로 생을 마감한 오승윤 화백의 작품들도 홈페이지를 링크하여 소개드립니다.
고인의 명복을 빌며 극락왕생하시길 바랍니다.

http://www.arko.or.kr/art500/osyngyoon/main.htm

김종언님의 댓글

김종언

인용:
원 작성회원 : 박유영
"세간의 일은 통쾌한 맛이 중요하다. 도장을 새기는 것은 본래 재미를 얻
기 위함인데 왜 굳이 쩔쩔매며 잘 새기려고 애쓴단 말인가."


정말 마음에 와닿는, 마음에 드는 말입니다.
가끔 쩔쩔매며 잘찍어 보려고 되지도 않는 애를 쓰는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한마디이고요.

송 준우님의 댓글

송 준우

올려주신 글도 그림도 다 마음에 와닫습니다
오승윤 화백의 그림을 몰랐든데 유사 박생광이 많은 세상에
또 다른 경지를 개척해나가셨던 분이시군요
언젠가 저도 좋은것을 왜 좋은지 설명할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배움이 있는 글 감사드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