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지드, 레드엘마, 니켈엘마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송원상
- 작성일 : 07-03-20 13:36
관련링크
본문
요즘 라이카 렌즈들에 대해서 일본 서적등을 보면서 조금씩 공부를 하고 있는데..
그래도 알수없는 것들이 많이 있네요..
특히나 렌즈의 호칭때문에 어렵습니다
통칭 리지드, 레드엘마, 니켈엘마 라고 불리우는 렌즈들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명칭이 조금 어렵네요..)
송원상
댓글목록
황원태님의 댓글

1. 리지드는 50mm Summicron F/2 1세대 중, 경통 고정식의 렌즈를 말합니다.
50mm Summicron f/2 1세대의 경우 침동식(M 마운트는 1954년 발매, L마운트는 1953년 발매)과, 경통 고정식의 Rigid(1956년 발매), 더불어 근접 촬영용의 DR(1956년 발매) 이렇게 3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침동식의 경우 Rigid와 렌즈군 구성은 동일하며, DR은 앞의 두 렌즈와의 렌즈군 구조가 약간 틀립니다. 1세대의 경우 공통 스펙으로는 6군 7매, 화각은 45도, 최소 조리개치는 F16이구요. 최소초점거리는 1m 입니다. (DR의 경우 누끼라 불리는 접사용 아이를 사용할 경우 0.48 - 0.9 m의 촛점 거리내에서의 촬영이 가능합니다.)
2. 레드 엘마는 보통 50mm F/3.5(1925년 발매) 엘마중 거리계 마크가 흑색이 아닌 적색으로 적혀 있는 엘마를 뜻하는 경우가 많구요 2차 대전 이후에 나타난 엘마 후기형으로 보시면 됩니다. 혹은 50mm f/2.8 Elmar (1957년 발매) 중 거리계의 Feet 표시부가 붉은 색으로 적힌 녀석들을 가끔 레드 엘마라고도 부르긴 합니다만. 후자의 경우는 보통 Red Feet Elmar 라고 많이 부르는 경우입니다.
일단 레드 엘마에 대한 설명은 http://www.leicaclub.net/forums/showthread.php?t=3168 여기서 도웅회 선생님이 정말 잘 해놓으신게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니켈엘마는.. 50 f/3.5 Elmar나 35mm f/3.5 Elmar의 초기형들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무코팅렌즈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http://www.leicaclub.net/forums/showthread.php?t=48324 이 아티클 참고하시면 자세히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