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mm Summilux 1st? 2nd?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하근호
- 작성일 : 07-03-18 13:39
관련링크
본문
우선 김화용님의 글을 보면 SN#2166702부터는 상당한 성능의 개선을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라고 되어있는데, 여기부터가 2세대로 구분되어지는 것인지요?
그러면 이 시리얼을 기준으로 전기형과 후기형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필터사이즈나 또는 외형상, 혹은 성능의 차이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성능이 개선되었다는 것일 뿐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전우현님의 글을 보면 1400대 가량 생산이 되었고, Eye가 달린 M3용이 그 중 1000대, Eye가 없는 M2용이 약 400대 정도가 생산되었다 - 라고 되어있는데, 이 시리얼로 나뉘어지는 것과는 무관하게 TOTAL 1400대 정도가 생산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블랙보다 크롬이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M2용 크롬과 M3용의 크롬이 가격차이가 어떠한지도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포커스레버 락이 없어진 모델이 3세대인지 궁금하네요.
두서없는 질문이지만, 선배님들께서 정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목록
황원태님의 댓글

1. 일반적인 구분법으로는 1,760,000 ~ 2,166,700 번까지의 SUMMILUX 35를 1세대 Summilux로 구분을 합니다. 이후 SN부터는 2세대로 구분되어 집니다.(혹은 3세대까지로도 나뉩니다. 이건 말씀하신대로 2세대를 포커스레버락의 유무로 구분한겁니다.)
1세대와 2세대의 차이라면 성능상의 차이로는 역시, 1세대 렌즈의 halation을 개선한 것을 들 수 있습니다.
더불어서 1세대 렌즈도 일단 Eye 있는 렌즈와 Eye 없는 렌즈로 구분을 하게 되며, Eye 있는 렌즈가 1000 개 가량 생산, Eye 없는 렌즈가 400개 가량 생산되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처럼 1세대 2세대 합쳐서 1400대라는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1세대(SN 1,760,000 ~ 2,166,700에 해당되는 개체)만 1400대 가량 생산되었다고 보시면 되구요. 2세대부터는 정확히 몇대가 생산되었는지는 잡지 등에서 나와 있지 않습니다.
Eye 있는 버전은 거의 크롬만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구요. M2용의 아이 없는 버전은 크롬, 블랙이 다 존재하며 가격은 블랙이 더 비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소 촛점거리는 Eye 있는 녀석은 0.65m M2용은 1m입니다.
일단 후드가 1세대 전용인 OLLUX 대신, 12504로 바뀌게 됩니다. 일단 1세대의 경우 41mm 필터를 사용하며, 12504를 쓰는 2세대의 경우 Series 7 필터를 사용하게 됩니다.
OLLUX의 경우 초기 중기 후기의 3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가끔 빨콩 (붉은색 기준점이 되는.. )이 붙어 있는 OLLUX의 경우 매우 비싼 가격으로 판매된다고 하더군요. ;
1세대 버전의 경우
http://neoribates.exblog.jp/tags/Summilux+35mm/
http://bangkokwalker.blog72.fc2.com/...ategory-4.html
등에서 샘플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곳 갤러리에서도 몇몇분께서 올려주신 좋은 사진들이 있으니 검색해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도 1세대 렌즈가 있긴 한데 컬러를 안 찍다 보니... -_-)
상태에 따라서 가격이 틀려집니다만, 보통 1세대 Eye 있는 모델은 250~300 사이. 1세대 Eye 없는 모델은 300 이상;; -_- 할겁니다. 물론 블랙은 더 비싸죠. 다만 매물이 없다는 게 이 렌즈의 흠이라면 흠일 것 같습니다.
http://www.wing-rev.co.jp/komatsu/pr...D=1DogUz_29fyq - Non eye 35 1st.
http://www.wing-rev.co.jp/komatsu/pr...ID=1EuhmU_2hnE - Black 35 non Eye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