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ph의 특징은 어떤게 있습니까?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최은석0
- 작성일 : 07-03-18 20:34
관련링크
본문
미리 사전조사를 하고 있습니다만.. 바디는 m6로... 렌즈는 35 크론으로 갈까합니다만
asph로 가느냐 아니면 4세대?? 로 갈지 고민중입니다.
슬라이드 50% 흑백 50% 정도로 사용할려고 합니다.
asph가 색수차를 억제해주는 렌즈가 맞나요?
이게 들어가있으면 슬라이드에는 좋지만 흑백에는 좋지 않다라는 말을 들었는데.. 사실 인가요?
댓글목록
전우현님의 댓글

ASPH(비구면) 렌즈는 1994년 즈미룩스 Asphercial이 등장한 이후로 대부분의 현행 라이카 렌즈에 채용되고 있는 현행 라이카 렌즈들의 특징이라할 수 있습니다. 좀더 정확한 수차 교정과 개방시의 해상력 증대를 극대화하였으나 연마가 어렵고 이로 인해서 가격이 매우 증가하였지만 이를 이용함으로써 라이카 렌즈는 눈부신 발전을 이룬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흑백에서 ASPH가 좋지 않다는 말은 곧 수차 교정되지 않는 렌즈가 흑백에서 더 좋다라는 말과 일맥 상통하게 되는데 그렇지 않다라는 것은 당연할 것입니다.
흔히들 현행 ASPH렌즈들이 올드 렌즈군에 비해서 흑백에서 불리하지 않은가 하는 말은 상대적으로 좀더 좋아진 콘트라스트를 가진 현행 렌즈들이 흑백에서 있어서 부드러운 톤을 만드는데 혹 불리하지는 않을까 하는 기우에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되나 실제로나 이론적으로나 생각을 해 봐도 그럴리는 만무합니다.
올드 렌즈와 현행 렌즈의 선호 차이는 말 그대로 본인의 기호와 맞물려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선택되는 것이지 이것이 흑백에서 더 좋고 나쁘다는 것으로 판별될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경험적으로 흑백에서도 ASPH렌즈는 늘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보여주었습니다. 흑백 프로세싱에 대한 것을 생각해 봐도 ASPH렌즈가 나쁠 이유가 하등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