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카 MP의 질문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엄태원
- 작성일 : 07-02-03 21:17
관련링크
본문
1. 라이카 MP는 요즘 나오는 MP말고 몇 십년 이전 부터 나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M3, M6, M7등의 버전을 플래그쉽 카메라라고 할 경우 MP의 정체성에 대하여
궁금함을 느끼는 군요 즉 생산되는 이유와 M3등의 카메라와 차이점 등을 알고
십습니다.
2. 라이카 MP의 경우 측광방식(중앙촛점방식, 스폿측광 등의)이 궁금하군요.
3. 실제적인 질문인데 필름되감기는 렌즈 마운트 옆에 있는 R이라고 써져있는 버튼을
돌린 후 필름되감기 나사를 돌려주면되는 건가요?
4. VIT라는 것의 용도가 궁금합니다
5. MP + 오토 와인더(MP용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를 결합할 경우 연사 및 필름
자동이송 등이 되는 건가요?
6. 제가 라이카 MP와 함께 니콘 F3를 사용하고 있는데 라이카 렌즈를 니콘 바디에,
니콘렌즈를 라이카 바디에 붙여보고 싶은데 렌즈 마운트 아답터를 찾지 못했습니다.
혹시 가능한지, 어떤지 의견을 구합니다
댓글목록
황원태님의 댓글

1. 위에 대한 대답은 게시판 검색해보시면 많이 나옵니다.. -_-
그냥 말 그대로 일종의 복각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더불어서 지금의 MP는 M6 이후의 모델이긴 하나, 마이너 체인지 모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기타의 라이카 모델들과 같은 중앙부 부분 측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회색으로 동그랗게 되어 있는 부분 (약 12~13퍼센트? -_-) 영역을 기준으로 측광을 합니다.
3. 실제로 MP가 있으시면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R로 눕히고 레버를 돌리면 (크랭크) 필름이 감깁니다.
4. 말 그대로 속사를 위한 도구입니다. 유용성에 대해선 직접 써보시는 방법 밖엔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 의견이 많은 물건인지라.
5. M7, M6등에 쓰는 모터와인더를 사용하면 연사 및 필름 자동 이송이 가능합니다. 그립감도 좋아집니다만, 무게가 늘어나고 또 라이카 특유의 수동 와인딩 느낌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닥 사용하질 않는 편입니다.
6. 니콘 바디에 라이카 렌즈를 사용은 가능 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매우 한정적인 용도.. (접사던가요.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로 만 사용가능하며
니콘 F 렌즈를 라이카 M 바디에선 사용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