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 현상시 PQ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이태영
- 작성일 : 06-12-04 13:33
관련링크
본문
줄곧 Rodinal 만 사용하다가 PQ 를 사용할 일이 생겨서 여쭈어 봅니다.
TMAX +2 stop push 를 주로 할 계획입니다.
1:19 와 1:29 희석비 등을 할때 현상 시간등의 정보나 노하우가 있으신 분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혹시 실험적으로 1:25 정도의 현상을 해보신분이 계시면 더욱 좋겠는데..
..
댓글목록
이기석님의 댓글

잘은 모르지만.. 표준 현상 ASA100 기준으로 5분30초정도(20도)400으로 8분정도이니 증감하실때 참고하세요. ~ 희석비율은... 예전에 인화현상 후 남은 액으로 해보았는데 온도만 맞추고 PQ를 조금 더 첨가하여 현상을 해보니 무리는 없었습니다만..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희석비가 좋겠죠. 그럼 도움이 되셨음 합니다.
정인용님의 댓글

PQ는 티멕스100으로 가정 할 때. PQ:1 그리고 물9로 해서 1:9로 섞어 사용 합니다.
님께서 말하시는 것은 1:19. 1:29로 하는 데 잘못된 방법입니다.
약품으로는 기준1:9로 현상 하시고- 거기서 교반이나 시간을 약간 오버 시켜 2스탑의 증감소를 유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1:19,1:29,1:25 이것은 인화지 현상의비율입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더욱 중요한 건 온도 입니다. 20도씨를 정확히 맞춘후 한다면 어느 정도의 비율차이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즐찍.~
아 참! 정신이 나갔는지 이 것 정 반대로 입니다.
1:9는 인화지 현상때 이고요.
1:29는 필름 현상입니다. PQ는 필름 현상 및 인화지 현사이 모두 가능 합니다~ 즐찍
진대성님의 댓글

PQ 현상액 1:19가 필름현상 희석비율 같은데요..
일포드 현상 챠트에 1:19로 나오는데 틀린가요?
정무용님의 댓글

Ilford PQ universal 는 필름 현상액이 아니라 인화 현상액입니다.
희석 비율은 1:9입니다.
저는 8*10 인회지로 현상할 때 100:9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합니다.
온도는 20도씨입니다.
1분 30초동안 용액에 담갔다가 정지액(stop bath로 옮김니다.
이태영님의 댓글

PQ 는 물론 인화현상액이긴 하지만 필름현상액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거든요.
물론 기본적으로 나와있는 표준 현상법으로는 입자가 너무 거칠어서 필름현상용으로 사용가능은 하지만 보통 추천하지 않는다고 하는것이 일반론이긴 한데
희석비를 높여서 사용할때는 강한 컨트라스트를 표현하면서도 비교적 볼만한 입자감을 보여준다고 하여서
혹시 좀더 높은 희석비를 이용하시는 분이 계신가 싶어서 질문 드려봤습니다.
해외 포럼 보니깐 1:36 이었나? 정확지는 않은데 생각보다 톤이 좋다고 하기도 하던데
컨트라스트 강하고 까칠까칠한 입자가 보이는 현상을 좀 해보고 싶어서요..
아무튼 혹시 경험 있으신 분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정무용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이태영
PQ 는 물론 인화현상액이긴 하지만 필름현상액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거든요.
물론 기본적으로 나와있는 표준 현상법으로는 입자가 너무 거칠어서 필름현상용으로 사용가능은 하지만 보통 추천하지 않는다고 하는것이 일반론이긴 한데 희석비를 높여서 사용할때는 강한 컨트라스트를 표현하면서도 비교적 볼만한 입자감을 보여준다고 하여서 혹시 좀더 높은 희석비를 이용하시는 분이 계신가 싶어서 질문 드려봤습니다. 해외 포럼 보니깐 1:36 이었나? 정확지는 않은데 생각보다 톤이 좋다고 하기도 하던데 컨트라스트 강하고 까칠까칠한 입자가 보이는 현상을 좀 해보고 싶어서요.. 아무튼 혹시 경험 있으신 분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거기까지 시도는 안해봤습니다.
저는 까칠까칠한 사진을 얻기 위해서 일포드 ISO 400을 사용하는 데 효과가 좋습니다.
제 겔러리에 사진 한 장 올릴게요 참고하세요.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