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 종류 정리][수정]2. 색온도 필터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박용민
- 작성일 : 06-10-25 23:49
관련링크
본문
** 엠버계 종류와 블루계 종류를 뒤바꿔서 적어서 수정합니다.
[2] 색온도 필터
1. 개요
컬러 사진의 경우 광원의 광질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색온도가 다른 광원으로 촬영하게 되면
컬러 밸런스가 무너져 엉뚱한 색으로 결과물이 나타납니다.
보통 햇빛이 비치는 정오의 경우 빛의 삼원색(빨강, 파랑, 초록)이 거의 같은 양으로 포함되어 있는
백색광입니다.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주광용(day-light type) 컬러 필름은 여기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2. 쓰임새
색온도 필터는 개요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광용 컬러필름 또는 텅스텐 컬러필름(실내 조명의 색온도에 맞도록 제작된 필름)을
해당 필름이 맞추어져 있는 광원과 다른 광원의 환경에서 촬영이 가능토록 해 줍니다.
즉, 색온도변환 필터는 사용 필름과 광원의 광질(주광, 텅스텐 조명)의 차이에서 오는 색조의 언밸런스를 보정하고 바른 색재현을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간단히 바디에 있는 화이트밸런스 기능을 이용하여 별다른 필터 없이 이의 처리가 가능합니다.
** 주광용 필름은 색온도가 5500K 에 맞추어져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텅스렌 필름은 색온도가 3400K 인 Type A 또는 3200K 인 Type B 로 맞추어져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각 필름의 케이스에 보면 필름이 정상적으로 색을 재현할 수 있는 광원이 표시되어 있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3. 종류
색온도를 높이기 위한 블루계와 이와는 반대로 낮추기 위한 엠버계로 나뉩니다.
코닥에서는 블루계 80A, 80B, 80C, 80D 그리고
엠버계 85, 85B, 85C를 시판하고 있으며,
다른 메이커에서도 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1) 엠버(Amber)계
- 필터 색이 노란색인 85계열
- 광원의 색온도를 낮춰 푸른 기를 제거해줍니다.
- 텅스텐 조명용 필름으로 일광에서 촬영할 때 사용합니다.
- 85A
5500K에서 38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 85B
5500K에서 3400K 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데이라이트 광원에서 텅스텐 타입(타입 A)의 컬러 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줍니다.
- 85C
5500K에서 3200K 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데이라이트 광원에서 텅스텐 타입(타입 B)의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줍니다.
2) 블루계
- 필터 색이 짙은 파란색인 80계열
- 색온도를 높혀준다. 일광용 필름으로 텅스텐 조명에서 촬영할 때.
- 주광용 필름으로 텅스텐 조명(현광등, 할로겐 등의 실내조명)하에서 촬영하면 붉은 기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를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 80A
32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시켜줍니다.
타입 B의 텅스텐 광원에서 데이라이트 타입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줍니다.
- 80B
34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타입 A의 텅스텐 광원에서 데이라이트 타입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줍니다.
- 80C
38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 80D
4200K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두번째 강좌 끝-
[2] 색온도 필터
1. 개요
컬러 사진의 경우 광원의 광질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색온도가 다른 광원으로 촬영하게 되면
컬러 밸런스가 무너져 엉뚱한 색으로 결과물이 나타납니다.
보통 햇빛이 비치는 정오의 경우 빛의 삼원색(빨강, 파랑, 초록)이 거의 같은 양으로 포함되어 있는
백색광입니다.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주광용(day-light type) 컬러 필름은 여기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2. 쓰임새
색온도 필터는 개요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광용 컬러필름 또는 텅스텐 컬러필름(실내 조명의 색온도에 맞도록 제작된 필름)을
해당 필름이 맞추어져 있는 광원과 다른 광원의 환경에서 촬영이 가능토록 해 줍니다.
즉, 색온도변환 필터는 사용 필름과 광원의 광질(주광, 텅스텐 조명)의 차이에서 오는 색조의 언밸런스를 보정하고 바른 색재현을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간단히 바디에 있는 화이트밸런스 기능을 이용하여 별다른 필터 없이 이의 처리가 가능합니다.
** 주광용 필름은 색온도가 5500K 에 맞추어져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텅스렌 필름은 색온도가 3400K 인 Type A 또는 3200K 인 Type B 로 맞추어져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각 필름의 케이스에 보면 필름이 정상적으로 색을 재현할 수 있는 광원이 표시되어 있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3. 종류
색온도를 높이기 위한 블루계와 이와는 반대로 낮추기 위한 엠버계로 나뉩니다.
코닥에서는 블루계 80A, 80B, 80C, 80D 그리고
엠버계 85, 85B, 85C를 시판하고 있으며,
다른 메이커에서도 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1) 엠버(Amber)계
- 필터 색이 노란색인 85계열
- 광원의 색온도를 낮춰 푸른 기를 제거해줍니다.
- 텅스텐 조명용 필름으로 일광에서 촬영할 때 사용합니다.
- 85A
5500K에서 38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 85B
5500K에서 3400K 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데이라이트 광원에서 텅스텐 타입(타입 A)의 컬러 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줍니다.
- 85C
5500K에서 3200K 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데이라이트 광원에서 텅스텐 타입(타입 B)의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줍니다.
2) 블루계
- 필터 색이 짙은 파란색인 80계열
- 색온도를 높혀준다. 일광용 필름으로 텅스텐 조명에서 촬영할 때.
- 주광용 필름으로 텅스텐 조명(현광등, 할로겐 등의 실내조명)하에서 촬영하면 붉은 기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를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 80A
32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시켜줍니다.
타입 B의 텅스텐 광원에서 데이라이트 타입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줍니다.
- 80B
34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타입 A의 텅스텐 광원에서 데이라이트 타입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줍니다.
- 80C
38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 80D
4200K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켜줍니다.
-두번째 강좌 끝-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