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관련 초급 질문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김종혁
- 작성일 : 06-10-24 13:55
관련링크
본문
1. 라이카 UV 필터 장착한 렌즈일 경우 노출계에서 지시한 값보다 얼마나 노광을 더 해 주어야 하나요?
2. 디지플래쉬로 입사측광할 경우 유용한 Tip 이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립니다~
댓글목록
김종민/헝그리 찍세님의 댓글

UV라는게 자외선 영역만 차단하는것 아닌가요?
그렇기 때문에 노출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될것이고요.
지난주 시험 삼아 BW필터를 전문 장비로 테스트 해보니
가시광선 영역에서 100% 투과율 (100%라는게 좀 의심스럽지만)을
보이더군요.
금주중엔 핫셀 필터를 테스트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디지플래쉬는 사용을 않해봐서 모르겠지만요.
입사광측광은 피사체 앞에서 그냥 측광하면 되는게 아닌지요?
혹 반사광을 말하시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현주님의 댓글

저도 노출계없는 바디에 라이카 UV 쓰는데요 (BW mrc UV도 쓰고..)
빛을 막는건 아니여서 노출계 측정값 그대로 쓰시면 됩니다.^^
디지식스 노출계도 가끔 쓰는데요,,
tip이라 한다면,,(저도 왕 초짜입니다 ㅋㅋ) 피사체 앞에서 입사로 측정한 값과
피사체에 스팟측광 한 값의 중간 정도로 조정해서 찍으시면 배경과 피사체가 얼추
노출이 맞습니다. 문제는 이런 방식으로 찍는건 한롤의 처음 한두장 정도이고, 거의 대부분은 아무 생각없이 본능적으로 뇌출계로만 들이 댄다는데 있죠..^^
그리고, 혹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으시다면,,
무조건 많이 찍어보고 인화 (밀착이라도..) 해보시면 어느정도는 데이터가 만들어 집니다.
극적인 조건이 아니면 대부분 그 데이터에 의존해서 찍으셔도 되지 않을까..합니다.^^
그 부분을 또 커버하시려면,, 그적인 조건의 사진도 엄청 집중적으로 찍어보시면 됩니다.
역광, 하늘과 어두운 피사체, 야간의 밝은 조명, 비오는날 하늘과 바다, 어두운곳의 반영 혹은 밝은곳의 반영 등등등 을 마구 마구 찍어보시면 또 그 나름대로 데이터가 섭니다.ㅋㅋ
허접한 조언 죄송하구요, 누군가 제대로 된 조언을 또 주시겠죠 뭐.^^
정규택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노출 보정은...정답이 없다라고 말씀 드려봅니다.
이유로는..같은 대상물 이라도~
촬영자의 측광 방식(경험과 판단, 노출계 종류=스팟,중앙, 평균)에 따라서
약 0.5~1스탑씩은 다르게 측광을 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본인 스스로의 많이 찍어보면서 테스트 하면서 적정 노출을 정리 하시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인 듯 합니다. (많이 찍다보면 뇌출계가 작동 합니다..^^)
외장 노출계를 사용하다 보면 다소 불편하지만..
필터 사용에 따른 보정값을 미리 노출계에 정해 놓고 찍으면 됩니다.
예) 레드 필터= +1스탑 보정을 필요로 한다면. (디지식스 ISO감도를 50으로 설정.)
이때 부턴, 노출계 측광 그대로를 적용 찍으면 됨.( 감도에서 보정을 했으므로, 노출 보정 없음)
UV ▶ 노출 보정 없음.
노랑,빨강 ▶ + 05~1.5 스탑 보정 필요.
(똑 같은 필터라도 개인에 따라서 +0.5~1스탑씩 노출을 보정합니다만 , 가끔 노출 보정
없이도 찍습니다.. 제가 위에서 말씀 드린 이유 이기도 합니다.^^)
좋은 작품 많이 담으세요~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