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카 Uva는 특별한가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박동휘
- 작성일 : 06-10-22 14:23
관련링크
본문
타 필터와 B+W사이에 코팅차이는 모르겠지만 먼지와 이물질 제거시 조금 나은것 같았
는데요. 라이카 필터와 B+W사이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같은 독일회사인데 라이카라는 이름때문에 고가인것인가요?
댓글목록
우영재님의 댓글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라이카 UVa 필터 사용은 말리고 싶습니다. 저도 처음에 라이카 UVa를 사용했습니다만, 플레어가 상당히 심하게 생기는 것을 경험한 후 전부 B+W로 바꾸었습니다.
강용일님의 댓글

http://www.leica-gallery.org/leica_m/leica15_filter.htm
참고하십시요..
심재명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우영재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라이카 UVa 필터 사용은 말리고 싶습니다. 저도 처음에 라이카 UVa를 사용했습니다만, 플레어가 상당히 심하게 생기는 것을 경험한 후 전부 B+W로 바꾸었습니다.
|
우영재님, B+W로 바꾸신후 플레어가 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멀티코팅 대 멀티코팅으로 비교하시는 것인지도요..
신대기님의 댓글

카메라를 융으로 곱게 곱게 접어서 다니지 않는다면(그렇다해도) 카메라에서 필터는 가장 외부와 접촉이 많은 중요한 광학기재 입니다. 외부와 접촉하면 당연히 스크레치, 마모, 먼지, 등등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즉, 필터는 소모품으로 생각하고 적당한 것들 끼워서 일년에 한번씩 싹 갈아 버리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우영재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심재명
우영재님, B+W로 바꾸신후 플레어가 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멀티코팅 대 멀티코팅으로 비교하시는 것인지도요..
|
쪽지 보내드렸습니다.
김현식님의 댓글

코팅 다 벗겨진 빈티지 라이카UV 와 푸른 옥색 감도는 새 BW 010 MRC UV를 야간에
동시에 R-D1에서 사용해봤습니다. 당연한 결과이겠으나, BW 필터 장착시 고스트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라이카 UV는 도드라지게 나타났습니다.
둘다 새것일 때를 가정한다면 틀려지겠으나, 굳이 라이카만 고집할 일은 아닐 듯 합니다.
UV의 품질 차이가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는 야간촬영이 아니라면 또 모르겠습니다...
이상제님의 댓글

Leica UVa의 높은 가격은 '정교한 나사산'에 있습니다. 유리가 아니라요. ^^;
필터 자체의 성능으로 보면 B+W의 압승입니다. 플레어 억제력에서 차이가 많이 나죠.
오래된 라이카 유저들에겐 거의 상식처럼 알려져있죠. 하지만 가격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중고 거래시에 무조건 라이카 정품 필터를 요구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외관상으로
라이카 UVa가 이쁘긴 하죠. ^^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B+W가 훨씬 좋은 필터입니다.
라이카 필터는 순전히 뽀대용이지요.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