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ilux 35/1.4 1st Aspherical 특성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송 완 재
- 작성일 : 06-10-17 13:56
관련링크
본문
무척 귀하고 고가인것으로 알고있읍니다.
1.1세대의 다른 렌즈 (특히 35/1.4 M3 용)와의 색감 (?)의 차이는 어떤지요.?
2.칼라.흑백 어느것이 이렌즈의 특성을 잘 나타내 주는지요.?
3.궁합이 잘맞는 필림의 종류도 궁금합니다.
4.구입이 가능한 가격 (시세등)
5. 용도 : 실사용, 소장용
6.가격대비 구입가치등
7.기타 다른사항 등등
댓글목록
이윤상님의 댓글

저도 참 궁금했던내용인데...답변기대됩니다...^^;
유경희님의 댓글

http://acielmd.cool.ne.jp/tkg21/bay/...35_14asph.html
여기 보시면 설명이 나와있습니다.유명하신 분이지요...일본어라 잠깐 정리하면
1.개방에서도 잘 나오는 렌즈이다
2.근접 촬영시 보케가 가끔 거칠다.촬영상황 을 골라서 찍을 필요가 있다.
3.약간의 왜곡이 생긴다.
또한 구면 쥬미룩스에 비하면 잘 나오기는 하지만 찍는 맛은 별로 없다고 하시네요...
http://acielmd.cool.ne.jp/tkg21/bay/lens/M35_14.html
영어를 잘하시니까 많이 교류하십시요...의사 선생님입니다.
이영욱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송선생님!!
왜 하필 그 비싼 렌즈에 관심이 있으신지요?
무척 비싸고 구하기도 힘들고...
그래서 사진만이라도 올려봅니다. 그림의 떡...
김병인님의 댓글

기대하시는 답변에 한참 못미칠 듯 합니다.
말씀하신 렌즈는 커녕 Summilux-M 35 ASPH조차도 안써본 주제에 링크를 해드립니다.
일본사람의 사이트입니다.
이사람도 현행은 안써봤다는 군요.
http://acielmd.cool.ne.jp/tkg21/bay/...35_14asph.html
Summilux M35mm 初代非球面レンズである。このレンズは現行の非球面レンズが発売される前に僅かな数、生産されたのであるが 、その構成図を見ると2枚に非球面レンズが使用されている。現行の非球面レンズはこのレンズの構成を元に1 枚の非球面レンズに置き換えてあるのがわかる。残念ながら僕は現行レンズの使用経験が無いので比較は出来な いが、雑誌などのコメントを読んでみると性能は事実上同一らしい。このレンズは絞り開放でもフレアーは少な く、コントラストも高い。中心部の解像力は高く、低光量下の撮影では威力を発揮する。カラーの発色も良い。 反面、近接撮影時の後ボケはやや荒れ気味で、撮影状況を選ぶ必要がある場合がある。それと僅かであるが、樽 型の歪曲が見られるのが、個人的には気になるところである。しかし、良く写るレンズである。
Summilux-M 35mm 초대비구면렌즈이다. 이 렌즈는 현행의 비구면렌즈가 발매되기전에 적은 수가 생산되었으며 그 구성도를 보면 2매의 비구면렌즈가 사용되고 있다. 현행의 비구면렌즈는 그 렌즈의 구성을 근본적으로 1매의 비구면렌즈로 대치하였다고 알고 있다. 유감이지만 나는 현행렌즈의 사용경험이 없어 비교는 할수 없지만 잡지등의 코멘트를 읽어보면 성능은 사실 같은 것 같다.
이렌즈는 조리개 개방에서도 플레어가 적고 콘트라스트가 높다. 중심부의 해상력은 높으며 저광량하의 촬영에서는 위력을 발휘한다. 칼라의 발색도 좋다.
반면 근접촬영시의 뒷보케는 조금 거칠다는 느낌으로 촬영상황을 선택할 필요가 있을 경우가 있다. 그리 많지 않지만 통형왜곡(비네팅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이 보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좋아한다. 그러나 좋은 묘사의 렌즈이다.
이정도로 번역이 가능하겠습니다. ^^;
가격대는 이베이등에서 가끔 보이는데 3600-6000불 사이로 매우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상당히 고가의 거래가로 보이며 구지 성능이 뒤지지 않는 현행렌즈를 두고 사야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회원분들중에 사용하시는 분이 계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분의 답변이 저도 기다려 집니다.
정무용님의 댓글

Aspherical ? 제 렌즈는 ASPH.라고만 쓰여 있는데요. 뭐가 다른가요?
김병인님의 댓글

Summilux-M 35mm Aspherical과
Summilux-M 35mm ASPH 는 다른 렌즈입니다.
물론 의미상으로는 같은 의미의 약자이지만 ASPH는 1매, Aspherical은 2매의 비구면렌즈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Aspherical은 사출식이 아닌 연마법으로 비구면렌즈를 제작하다 보니 높은 생산단가로 인해 일찌감치 생산이 중단되어 극소수만이 시중에 유통된 렌즈입니다.
따라서 현재 수집가들의 콜렉션 대상물 중 하나가 된 것이죠.
그에 따른 질문과 답변의 글타래가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
정무용님의 댓글

김병인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송 완 재님의 댓글

댓글 올리는 모든분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계속하여 고수님들의 좋으신 말씀 기대합니다.
Jeanie님의 댓글
35/1.4 aspherical 렌즈 사진들..
저는 이 렌즈를 M6 Classic Silver에 물려 여러 해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사진이 미천하여 딱히 올릴 만한 사진이 없어 몇 장 올립니다.
첫 번째 컬러사진은 출석하는 미국교회 내부를 찍은 것이고 두 번째 컬러사진은 UN본부사진으로 작년 봄에 촬영한 것입니다.
흑백사진 첫 번째 것(female 두명)은 빛없는 거실의 내부를 찍은 것이고 두 번째 흑배사진은 캐나다 Ontario왕립박물관을 찍은 것입니다.
느낌은.. 뭐랄까 (다 각자마다의 개성과 평가기준이 있으니 양해해 주십시오) 상황에 좌우되지 않는 전천후 렌즈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빛의 양이 약한 ‘실내컬러사진’을 찍을 때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렌즈도 있구나’ 하고 많이 놀랐습니다.
뭐랄까 35/1.4 with eye 1st Version과 비교해서 소견을 말씀드린다면 이 35/1.4 Aspherical은 Classic 한 맛을 주면서도 대단히 중후한 느낌(무게감을 주는)을 주고 역시 빛에 대응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모니터에서는 어떻게 별 차이가 없을지도 모르오나(저는 epson 4990으로 scan을 했는데, 고급모드로 하면 너무 시간이 오래 걸려 auto mode 로 했습니다.) 분명한 것은 인화한 사진으로는 확연히 구분되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