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8의 환상이 깨지는듯...ㅜㅜ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박찬동
- 작성일 : 06-10-02 15:34
관련링크
본문
그런데 '필름에 있어서 RF의 특성은 반대로 디지털에서는 약점으로 작용한다. 바로 주변부 광량 저하인데... M8은 렌즈에 장착된 6-Bit 코드로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를 커버한다' 대충 이런 내용이 있더군요.
결국은 바디 자체의 후보정이라는 건데... 갑자기, 꼭 이렇게 해서까지 디지털 M을 만들어야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차라리 디지털 모듈이 아닌 디지털R 시스템을 개발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제 단견일 수 있지만... 회원님들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댓글목록
김형진님의 댓글

렌즈에 있는 6-bit 코드는 이미지의 퀄리티 및 프로세싱 과정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걸로 압니다.
김종언 선배님이 말씀하신데로 동영상에서 저도 그 부분을 봤는데, 그렇기 때문에 옛날 렌즈를 문제없이 마운트 가능하겠죠.
박찬동님의 댓글
네. 김종언님, 김형진님 말씀 감사합니다. 저는 6-Bit 코드 기능중 하나는 바디가 28, 35, 50미리 등 화각을 인식해 그 화각 대비 주변부 광량 저하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걸로 이해했습니다.^^ 아무튼 DRF가 DSLR을 능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동일 선상에 서기 위해 지출하는 코스트가 상당할 수 밖에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로서는 DRF의 절대 열세인가요.
하석준님의 댓글

dpreview에는 필름면과의 거리가 짧은 RF의 특성상 주변부의 입사각이 작아
생길 수 있는 광량저하의 문제점에 대해서
1. 1:1.33 CCD사용
2. CCD표면의 각 화소(셀)에 대해 주변부에 있는 셀의 microlens(광집속역할을 하는)에 약간의 offset을 주는 방법
3. 말씀하신 6비트의 렌즈식별코드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말하자면 소프트웨어적인 센터필터라고나 할까요).
RAW촬영시에는 렌즈정보만 RAW에 삽입되고 위의 교정은 하지않음(당연한....)
라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우겨넣기(?)같아보이긴 합니다.
어쨌든 다양한 예제사진이 포함된 사용기가 올라오고, 주위의 누군가가 써봐야 좀 더 이야기가 진행될 듯합니다.
6-bit 개조는 기존렌즈도 쉽게 공식적으로 개조가 가능하다는 문서를 어디선가 보았는데, 다시 찾아보기가 귀찮군요;p
(국내에서도 해줄지 모르겠습니다만)
박찬동님의 댓글
네 그러니까 크롭도 모자라 마치 홀로곤 센터 필터처럼 디지털 필터까지 써야하는 M8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건지...ㅡㅡ;;;
심우영님의 댓글

입사각으로 인한 비네팅 문제는 촬상소자가 필름에 대해 가진 약점이고 RF가 SLR보다 그런 현상이 더 심한건 사실이지만, 눈으로 봐서 식별할 수 없다면 전혀 문제거리가 아니라고 봅니다. 지금까지 여러 해 DSLR 을 사용했지만 RAW 컨버팅시 소프트웨어적으로 비네팅을 보상해주는 프로세싱을 한다는 것을 알아차린지가 얼마 안 됐습니다. 그것도 RAW 컨버터의 Advanced Option 부분을 만지작거리다가 알았습니다. 절대로 결과물 보고는 몰랐던 거지요.
홍건영님의 댓글

나중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면 형태의 CCD가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박성학님의 댓글

기존 필름렌즈들이 CCD라는 촬영소자를 염두하지 않고 만들어 진것이라 생각하고
윗 분께서 설명하셨듯이 크롭과 마이크론렌즈를 넣어서 주변부 광량 저하를 최소화 했다고 봅니다.
디지탈 발전속도를 믿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m8이 걸리신다면 필름 바디로 가는 것이 좋은 판단이라 생각합니다.
6-bit 코드는 사진 화일에 렌즈 정보 남게 하는 것 아닌가요?
손창익님의 댓글

제가 올림푸스 E-1을 사용하고 있는데...그기서 소개해놓은 올림푸스 디카와 렌즈를 전부 재설계할 수 밖에 없는 설명이 있더라구요...박식하지 않는 제 상식으로는 필름카메라 렌즈를 디카에 그대로 사용할수 있게끔 디카를 개발햇으면 하는 바램이지만.............자세히 내용을 읽어 보니 어느정도 고민한 흔적이 역력했읍니다............그래서 결국 올림푸스는 먼 미래를 내다보고 카메라와 디카를 몽땅 새로 개발하기로 작심을 하게된거죠......"FOUR-THIRDS"방식............ 그게 바로 "올림푸스 E-SYSTEM"이죠.....사막에서 촬영한 그 광고동영상 그의 작살이지죠....내 평생 그런 멋진 광고 동영상 첨 봤읍니다........."당신은 사진의 힘을 믿는가"라는 문구도 나오지욯ㅎㅎㅎㅎㅎㅎㅎ...........여튼 각설하고 그 내용를 읽어보면 필름카메라 렌즈를 사용할 경우 주변부로 갈수록 ccd로 들어가는 빛의 입사각이 직각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필름은 입사각이 직각이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커버되지만 ccd는 필름만큼 커버하지 못한다는 걸로 설명되고 있더군요..................그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깔짝거리는 간단한 방법이 아닌....디카에 맞는 렌즈를 재설계 하기로 결정한 올림푸스회사 ....제 개인적으로 그 회사 경영진과 기술진들은 대단한 분들이라 생각합니다..역시 전자방식이 도입된 상품(카레라..등등)이라면 일본기술이 거의 독보적이라 생각됩니다....휴~~우...이런말 하면 친일파로 매도 당하겠지...어쨏던 내생각이 그렇다는 겁니다..뭐....
http://blog.naver.com/motortour?Redi...No=40029234003
김승호님의 댓글

R10 이라는 이름으로 디지탈 "알" 시스템도 개발중이라 합니다..
그리고 M8의 육 비트 코드가 그리 억지스러운 것은 아니라고 보여져요...개발과정에서의 단점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커버하는것이야 어느방면이나 마찬가지 아니겠어요...그렇다고 육비트 코드가 없는 렌즈를 쓸수 없는것도 아니고...그 둘사이의 차이가 얼마나 큰지도 모르겠고..,제가보기엔 주변부 광량저하의 문제중 대부분은 크롭센서로 이미 잘려나갔고..마이크로 렌즈로 추가적으로 보정되는것이라 생각합니다..렌즈의 육비트 코드와 그에따른 차이는 그리 큰 보정의 효과는 아니라고 생각되고요...
뭐 나와봐야 알겠지만...
아무튼 디지탈 엠의 발전을 볼수 있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이고요..앞으로도 필름의 한계와 단점들을 디지탈로 보충하는 일은 계속되리라 생각됩니다.
저는 DMR의 결과물을 좋게 본지라..엠 디지탈도 상당히 기대 되더군요..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