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mm Elmar 렌즈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조해근
- 작성일 : 06-08-16 11:32
관련링크
본문
(사실 그 사이에 사진기는 없어져 버렸습니다.)
이 elmar렌즈의 경우 조리개 링이 숫자 위 아래로 2개가 붙어 있네요, 그리고, 서로 따로 놀아요, 예를 들면 바깥쪽 링은 꼭 바같쪽 조리개 stopper 처럼 f11에 셋팅(실제 조리개가 11까지 조여지지는 않습니다)을 하면 안쪽 조리개는(무단조리개) 3.5에서 11까지만 움직이며, 실제 조리개가 조여집니다.
아마 제 생각엔 비죠용이다 보니 조리개 열고 포커싱을 하고, 안쪽 조리개를 그냥 조여서 촬영을 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데, 이 조리개링 2개가 제 생각대로 그런게 맞는지 아님 원래는 서로 동시에 움직이게 고정되 있는데 헐거워 져서 그런지 궁금하네요, 사실 2번째가 정상이라면 렌즈 오브홀을 받아야 할 것 같아서요. 혹시 65mm macro elmar렌즈 사용하시는 분들께서 좀 알려주세요.
댓글목록
백보현님의 댓글

65mm visoflex 랜즈는 접사에 유명한 랜즈라는 설명을 본 적이 있습니다.
http://www.leica-gallery.org/leica_m...8_visoflex.htm
비죠랜즈는 일안카메라와 같은 원리로 사용을 하기 때문에 조리개 최대개방 3.5 또는 그 이하의 조리개를 사용할 경우 랜즈 조리개에 의해서 화면이 어둡게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2개의 조리개 링을 사용할 것이라고 추측이 됩니다.
바깥쪽에 있는 조리개링은 정확한 노출에 의해서 조리개를 세팅합니다.
안쪽에 있는 조리개를 최대 개방으로 해서 촬영의 범위를 정확하게 한 뒤에 안쪽 조리개를 최대한 조이면 바깥쪽에 세팅된 조리개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됩니다.
라이카의 세심한 배려라고 생각이 됩니다.^^
조해근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정상이라는 말씀이시네요.
조해근
원 작성회원 : 백보현
65mm visoflex 랜즈는 접사에 유명한 랜즈라는 설명을 본 적이 있습니다.
http://www.leica-gallery.org/leica_m...8_visoflex.htm 비죠랜즈는 일안카메라와 같은 원리로 사용을 하기 때문에 조리개 최대개방 3.5 또는 그 이하의 조리개를 사용할 경우 랜즈 조리개에 의해서 화면이 어둡게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2개의 조리개 링을 사용할 것이라고 추측이 됩니다. 바깥쪽에 있는 조리개링은 정확한 노출에 의해서 조리개를 세팅합니다. 안쪽에 있는 조리개를 최대 개방으로 해서 촬영의 범위를 정확하게 한 뒤에 안쪽 조리개를 최대한 조이면 바깥쪽에 세팅된 조리개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됩니다. 라이카의 세심한 배려라고 생각이 됩니다.^^ |
전진석님의 댓글

음..65 엘마를 정확히 보질 않아서 모르겠습니다만서도, 설명해주신대로의 방식은 과거 SLR렌즈들이 일반적으로 썼던 preset 방식의 조리개 구조입니다. 자동조리개를 쳐주는 경이적인 '오토' 장치가 렌즈에 일반적으로 붙어나오기 전까지 말이죠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