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화할때 노광량 문의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손창익
- 작성일 : 06-06-24 21:00
관련링크
본문
확대기에서 빛을 쬐어 줄때 RC용지에 한 그대로 화이버베이스 용지에 적용하니까
RC용지 인화보다 약간 진하게(검게) 나타아 암부디테일이 죽는것(?) 같아요
화이버베이스 용지는 RC용지의 몇 %저오 빛을 쬐어 주어야 하는지요?
설명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최준석님의 댓글

RC용지의 몇 %라....
이거 좀 난감한데요..
그날 현상액의 반응정도, 확대기에 따라서 틀려지는 노광정도, RC 용지마다의 반응정도에 따라 항상 달라지는 것이 노광량(시간) 이기에 말입니다.
그날 암실의 환경에 따라 변수가 많은 것이기에 정확히 찝어서 몇 %란게 있을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더 좋은 품지의 인화물을 얻기 위해서 더블 필터라던지, 버닝, 닫징등등 여러가지 기법이 있기에 이런 일련의 작업등을 단순한 노광량으로 나타내기에는 부족합니다.
FB로 충분한 테스팅과 전문가의 직접적인 조언을 구하시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충분한 답이 되지 못해 죄송하며..
황원태님의 댓글

물론 전문가의 조언도 좋지만.;;;
인화의 경우에는 여력이 된다면, 무작정 많이 뽑아 보는게 제일 좋은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충분한 답이 되지 못한 것을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
백한승님의 댓글

테스트 보셔야죠..
가이드는 있습니다만, 변수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무조건 테스트 보셔야 합니다.
손창익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학문엔 왕도가 없군요...인화지가 좀 낭비되지만 ..테스트를 거쳐 최적값을 찾아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군요^^
백한승님의 댓글

사족을 달자면, 테스트 보실때 자석을 이용하셔서 이젤에 밀착시키고 보시는게 좋습니다.
인화지가-특히 파이버 베이스- 휘어져서 뜨게 되면 결과적으로 포커스가 나가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달라져 보이게 되고 이렇게 되면 테스트와 결과물이 다르게 되지요.
드라이 다운-인화가 마르면서 톤이 어두워지는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테스트 인화를 말려보고-전자렌지나 드라이 이용(테스트 인화를 빠르게 말리기 위해서, 최종인화는 불가)-노광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인화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노광을 결정짓는것이 테스트 인화니까요, 인화지 아끼지 마시고 크게크게 보세요.
결과적으로 인화지를 아끼게 됩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