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의 측광방식은 스팟인가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여인영
- 작성일 : 06-06-04 10:10
관련링크
본문
중앙중점아니었나요?
댓글목록
신호님의 댓글

mp를 가지고 있진 않지만 제가 알기로도 중앙중점이었습니다.
김기현님의 댓글

중앙 중점이면 스팟이라고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요?
즉 측광범위 외에서는 일체 측광이 이루어지지 않으니까요.
좀 넓은 스팟 측광이라고 보면 될듯 합니다.
홍건영님의 댓글

라이카에서는 부분측광 (Selective) 방식이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중앙중점은 중앙부의 측광값에 weight를 주고 주변부의 측광도 감안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용어인 것 같습니다
라이카는 중앙부에서만 측광하고 주변은 측광하지 않는다고 하지요
여인영님의 댓글

대략 몇도 스팟정도에 해당되는 건가요? 정확한 스펙을 아시는 분이 있으시면 좋을텐데요...
김기현님의 댓글

몇 도인지는 수학적으로 계산하면 나오겠지만,
아주 쉽게 이해한다면, .72배율의 파인더에서 35mm프레임과 함께 뜨는 135mm프레임을 둘러싸는 원이 측광범위라고 보면 됩니다.
제 경우 m6나 mp의 경우 35mm렌즈를 사용할 때 가장 편안하게 느껴지는 것은,
외곽의 35mm프레임으로 전체적인 프레이밍이 가능할뿐더러,
내부의 작은 135mm프레임을 측광범위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듯 합니다.
김병인님의 댓글

중앙부 중점측광 19% 로 알고 있습니다.
최준석님의 댓글

중앙부 중점 맞습니다.
근데 사용하다 보니 중앙부 스팟같이 느껴 지더군요.
그만큼 정확하고 예민하다고 해야하나요..ㅋㅋ
숫자가 빠르게 움직이지도 않고 직관적인 불빛으로 표현해주는 M의 노출시스템..
적응하면 참 좋다는 생각입니다..
◀서정훈▶님의 댓글

중앙 중점으로 알고있습니다. ^^;
홍건영님의 댓글

라이카 홈페이지의 MP technical data에서 퍼옵니다
-----------------------
Exposure metering through the lens (TTL), selectively with working aperture. 'Metering principle' The light reflected from a measuring fiel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hutter curtain is measured. The measuring field has a diameter of 12mm and is therefore equal to approx. 13% of the total negative format or in the viewfinder approx. 1/2 of the short side of the valid viewfinder frame. 'Measuring range' (at ISO100/21°) From 0.03 cd/m2 to 125,000 cd/m2 at room temperature, normal humidity and aperture 1.0. For ISO 100/21° this corresponds to EV -2 to EV 20 or f/1.0 and 4 s (“B” setting) to f/32 and 1/1000 s. Flashing of the left-hand triangular LED in the viewfinder indicates working in conditions of low light. Film speed setting range Manual setting from ISO 6/9° to ISO 6400/39°. 'Exposure mode' Manual setting of shutter speed and aperture, compensation using LED light balance.
조철현님의 댓글

렌즈없이 렌즈 장작부를 통해 보이는, 와인딩 했을때 나타나는 셧더막 위의 흰색 동그란
부분의 빛이 반사되면 역시 내부에 보이는 11시 방향에 장착된 작은 렌즈가 그 반사광을
읽어 측광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하얀 원의 크기가 지름 12mm 정도 되나봅니다
M7이나 M6 TTL은 렌즈 분리하면 내부의 5시방향에 있는 동일한 모양의 작은렌즈가
역시 하얀 원의 반사광을 읽어 TTL 용으로 측광하는데 사용합니다 물론 11방향에도
노출 측광용 작은 렌즈가 있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중앙부중점은 중앙부와 주변부를 전부 측광해서 중앙부에 비중을 많이
주는 측광으로 알고 있는데 라이카는 오히려 좀 넓은 스팟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이번 기회에 저도 정확한 메카니즘과 용어를 알고 싶습니다
신찬진님의 댓글

중앙부 중점 측광(Center weighted exposure measurement)방식이 아닌
중앙부 SPOT 측광 방식(Center Spot Only Exposure measurement)입니다.
즉, 전체 측광을 결정할때, 중앙부의 portion을 좀더 많이 반영한 예를 들면, 7:3이나 6:4 처럼 중앙 중점 측광 방식이 아닙니다. 중앙부만 측광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고급 SLR카메라의 spot측광 면적인 3%나 5%의 측광이 아닌, 위의 설명에서도 나온바와 같이 전체 negative 영역중에서 13% 정도에 해당하는 중앙부만 오로지 측광하는 방식입니다. 즉 SPOT 측광 부위는 오로지 중앙부위이며, 이 면적이 전체 Negative 면적의 13%라는 얘기입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