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6 ttl 0.72 뷰파인더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이다슬
- 작성일 : 06-04-11 23:42
관련링크
본문
렌즈는 35mm 즈미크론을 사용하고 있구요.
RF카메라에서 시야율를 말하는게 어려워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뷰파인더 안에 보이는 하얀 선 안에 보이는 면적이 다 찍힌다는 건지요.
즉 하얀 선 안에 있는 물체는 그대로 필름 프레임에 찍힌다는 것인가요..?
(시야율이 하얀 선 안에 있으면 100%란 말인가요...?)
회원 여러분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김병인님의 댓글

답변이 없어 역시 공부중인 제가 답변을 써야되는군요.
우선 질문하신 요지가 프레임라인이 찍히는 만큼의 범위를 표시하는가...인 듯 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비교적 그정도가 찍힌다 입니다.
그정도로 정확도를 요하는 촬영을 해본적이 없기 때문이고 잘라서 찍었을 때 덜 찍힌 적은 없었습니다. 시야율 100%을 필요로 해본 적이 없는 아마츄어이기 때문인 탓도 있지만
RF카메라를 사용하면서 심하면 35밀리 화각도 안경쓴 탓에 대충 이정도..하고 셔터를 누르곤 합니다.
정확한 프레이밍을 원하신다면 F3HP정도 사용하시는 것이 어떠실지 모르겠습니다.
그다지 원하시는 답변이 아닌 듯 해서 죄송합니다.
최우석님의 댓글

질문의 뷰파인더 상의 프레임과 실제 사진 간의 영역 차이 문제는
http://www.leicaclub.net/forums/showthread.php?t=31409
와
http://www.leicaclub.net/forums/showthread.php?t=31655
등
2가지 이슈를 읽어 보면 다소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김대석님의 댓글

일반적으로 RF카메라는 가장 가까운 거리(최단거리)에서 시야율이 100%에 가깝게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한거리(최대거리)에서 100%로 설정할 경우
근거리(수미터 이내)에서는 프레이밍 한 피사체가 실제로는 프레이밍 범위를 벗어나서
촬영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라이카에서는 시야율이 3미터 이격
거리에서 85%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모 서적에서 M6+50mm summicron으로 테스트 한 바에 의하면 촬영거리 3미터에서는
파인더 내 50미리 프레임에 피사체의 좌우를 완전히 일치시키고 촬영했을 때 약86%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최대거리(무한대)의 경우 83%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50미리 클론의 경우는 그렇지만 렌즈의 종류, 촬영거리 그리고 내장파인더인가?
아니면 외장파인더인가?에 따라서 시야율의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저의 경우 파인더 내 프레임 영역을 100%로 가정하고 가득 채워서 촬영하고 있습니다.
실제는 촬영한 범위보다 더 많은 영역이 필름에 담기는 것을 경험상 느끼고 있습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