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Summicron-M 50mm 초기렌즈 3종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김병인
  • 작성일 : 06-04-06 01:47

본문

이글은 초기형 3가지 Summicron-M 50mm에 대한 정리입니다.
물론 이미 김화용님의 자료도 있지만 자료집을 정리해본 것입니다.
가급적 개인적인 렌즈의 평가는 하지 않으려고 했지만 몇가지 사견을 적은 부분도 있으나
어디까지나 사견이므로 이견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분명이 세가지 모두 좋은 렌즈이므로 어느 것을 쓰셔도 그것은 개인의 취향문제이므로 판단은 여러분께 있습니다.
본문은 평어체입니다.

1. Summicron-M 50mm collapsible(침동식)

1954년 발매 1957년 단종
총 생산수 : 52702개
렌즈구성 : 6군7매
화각 : 45도
최단촛점거리 : 1미터
최소조리개 : f16
무게 : 220g
필터구경 : 39mm

형님격인 Summitar-L 50mm 렌즈의 첫번째와 두번째, 세번째와 네번째 렌즈 사이에 공기층을 두어 설계한
Summicron-L 50mm의 베이요닛 버전이다. 실제로 렌즈의 단면을 보면 Summitar와 거의 유사하게 설계되
어 있음을 알수 있다. 이 디자인의 렌즈는 M3의 발매년도 1954년으로 동시발매되었음을 알수 있다.
해상력에서는 워낙 뛰어난 렌즈로 인정받고 있어 표준렌즈의 기준처럼 생각되어지는 우수한 렌즈이다.
1956년 고정경통방식의 Rigid 렌즈가 나오면서 생산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개체수는 적다.
하지만 중고거래가격은 그리 높게 형성되어 있지 않다.
사용가능한 후드는 IROOA, ITDOO, 12585, 12538 기타 Summitar용 사각형 후드인 XOONS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마운트해보지는 않았다.
거리계는 feet로 표시된 미국식과 m로 표시된 유럽식이 있다.

2. Summicron-M 50mm Rigid (고정경통식)
1956년 발매 1968년 단종
총 생산수 : 63055개
렌즈구성 : 상동
화각 : 상동
최소조리개 : 상동
무게 : 260g
필터구경 : 39mm

침동식과 동일한 광학설계를 가졌지만 경통이 고정되었다. 35밀리 6군8매와 더불어 가장 아름다운 렌즈로
인정하는 분위기다. 개인적으로도 그러한 견해에 공감한다. 거리계 링의 모양으로 흔히 전기형과 후기형으로
나눈다. 또 다른 전후기 분류법중 하나가 코팅에 대한 것인데 전기의 경우 짙은 청색기운이 도는 코팅이고
후기형으로 가면서 앰버(금색기운)가 많이 도는 색으로 바뀐다. 혹자는 후기 코팅이 더 단단하다고 하는데
기술적 근거는 없으나 실제로 그런 것 같다. 대개 190만번대 중반부터 확연한 코팅의 차이가 있다.
대부분이 실버크롬이며 아주 드물게 블랙페인트 버전이 있지만 매우 고가라는 것은 다 아실 것이다.
블랙페인트 렌즈의 경우 초기형은 마운트가 황동이고 후기형은 크롬도금이 되어 있다.
초기형과 달리 거리계표시가 feet/m 두가지 모두 되어 있다.
사용가능한 후드는 침동식과 동일.
최근 발매된 50주년 스미크론은 렌즈구성이 4군6매로 현행렌즈와 동일하며 경통의 디자인도 유사하기는 하지만
헬리코이드의 운동방식이 다른, 나쁜 말로 짝퉁이다. 그렇다고 해도 렌즈 성능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중고거래가는 상태에 따라 당연히 다르겠지만 많이 내렸다. Ebay에서도 시세가 다르기는 하지만 나쁘지 않다면
350-600USD에 낙찰되는 것 같다. 물론 예외적으로 1200USD이상에 낙찰되는 것을 보았다.
드물게 박스신동품이었다.

3. DR Summicron-M 50mm
1956년발매 1968년단종
총 생산수 : 55145개
렌즈구성 :6군7매
화각 : 45도
최단촛점거리 : (0.48-with goggle)1m
필터구경 : 39mm

Dual Range의 약자인 DR은 특이한 방식의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거의 같은 설계로 되어 있지만 DR은 Rigid 렌즈와는 분명히 다른 렌즈이다. 우선 사용된 모든 렌즈의 두께가
이전과 다르며 특히 첫번째 앞렌즈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렌즈의 두께가 두꺼워 진다. 앞렌즈는 오히려 얇다.
글을 쓰는 본인 역시 리지드렌즈중 상태가 좋은 것을 골라 DR을 만들었다는 속설을 한때 믿은 적이 있으나
전문서적을 한권이라도 보신 분은 그말이 옳지 않다는 것을 아실 것이다.
근접촬영거리는 0.48mm 부터이므로 현대적인 니콘, 캐논렌즈와 별반 차이가 없다. 렌즈와 경통디자인의 차이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300g (355g)으로 상당한 무게감을 준다.
개인적으로 안경끼운채로 M3에 마운트 했을 때의 모습은 정말 아름답다고 생각된다.
안경에 각인된 상표의 모양으로 전후기를 구분하는데 수퍼맨 로고처럼 육각 테두리가 있는 것이 초기형이고
글자만 각인된 상표는 후기형이다.
또 전기형은 리지드와 마찬가지로 거리계가 feet혹은 m로만 되어 있고 후기형은 두가지 단위를 모두 표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시리얼에 따라 전,후기의 코팅이 서로 다르다. 로고디자인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사용가능한 후드는 침동식과 동일.

* 리지드와 DR모두 경통이 헬리코이드부와 분리되는데 반드시 중고구매할 때 시리얼이 일치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어떤 렌즈들은 헬리코이드 내부의 시리얼이 각인된 부싱이 없어진 것도 있다. 없어도 렌즈로서의
기능은 하지만 촛점의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추천 0

댓글목록

김병인님의 댓글

김병인

사진의 침동식은 스크류마운트입니다. ^^;

김성훈/bassbass님의 댓글

김성훈/bassbass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며칠동안 Summicron 5cm 의 정보를 찾아보았는데, 이렇게 정리를 해주시니
정말 좋군요. 고맙습니다.

박장필님의 댓글

박장필

Rigid나 DR 한번 써보고 싶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원용님의 댓글

이원용

summitar와 summicron 침동식이 렌즈구성이 유사하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영준님의 댓글

이영준

최근 Rigid와 DR을 하나씩 구했습니다.
검색하다보니 김원장님 옛글이...
감사합니다.

문대찬님의 댓글

문대찬

Rigid 이나 DR 하나 구해봐야겠네요 ^^

조현갑님의 댓글

조현갑

50mm Rigid lens 전기형과 후기형 두개를 현재 사용중인데 코팅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칼라와흑백 모두 결과물의 차이는 모르겠더군요.
사용자에게 아름다움과 즐거운 만족을 주는 좋은 렌즈라 생각 합니다.
좋은 정보에 감사드림니다.........

이원용님의 댓글

이원용

읽다가 제 리플이 나와서 놀랐습니다....^^;;
좋은글 이영준님 덕분에 다시 보네요.

김형옥님의 댓글

김형옥

rigid 에 대한 정보를 찾는 중에 갈증이 해소됩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