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결)M6 TTL과 Metz 32 MZ-3에 맞는 SCA adaptor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이영준
- 작성일 : 05-12-14 20:45
관련링크
본문
최근 Metz 32 MZ-3와 SCA 3502를 구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조합이 R6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M6 TTL에서는 작동이 잘 안 됩니다.
M6 TTL에서는 TTL mode나 M이나 A mode에서
어쩌다 몇 번에 한번씩 가끔 작동되기도 하는데
후레쉬가 터지질 않습니다.
혹시나 하고 R6에 장착하고 시도해 보니 아무런 문제 없이 잘 작동됩니다.
검색해보니 R6에서 32 MZ-3와 SCA 3502는 맞는 조합 같습니다.
그러나 M6 TTL과 32 MZ-3에서는 어떤 SCA adaptor가 필요한지 찾을 수가 없네요!
Metz homepage에서 맞는 SCA adaptor를 찾아보아도
M6 TTL의 flash list에는 32 MZ-3가 없어 확인할 수가 없네요!
Metz에 email로 문의는 해놓았습니다만
현재 M6 TTL에 32 MZ-3를 사용하고 계신 분이 계실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죄송합니다.
제가 멍청해서 이런 해프닝이 벌어졌습니다.
제 질문에 대해 민병규님께서 답글을 주셨습니다.
그 때 조금 더 유의해서 읽었더라면 이런 일이 없었을텐데...
민병규님께서 다음과 같은 답변을 주셨습니다.
"M6 TTL에서는 예전의 장비와는 달리
셔터속도와 배터리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셔터속도가 동조속도 이상(30과 60사이에 표시된 부분)인 경우와
또한 배터리가 없을 경우에는 발광이 안된다는 사실을요.."
저는 이 답글을 읽고도 이해를 잘못했습니다.
배터리가 없는 경우를 M6 body의 battery가 아닌
Metz의 battery로 잘못 이해했기에 "당연한 이야기를 하는구나" 했습니다.
해결책을 못찾아 궁굼하던 차에 오늘 다시 읽어보니
Metz의 battery가 아닌 M6의 battery라는 말씀이셨기에
바로 제 M6의 battery를 점검해보니 매우 약한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M6의 battery를 교체하고 시험해보니
이젠 정상적으로 잘 작동이 됩니다.
결론은 M6와 R6에 Metz 32 MZ-3를 장착하고 시험해볼 때
제 M6의 battery는 약하고 R6의 battery는 정상이었기에
M6에서는 발광이 안 되고 R6에서는 발광이 된 것 같습니다.
비슷한 문제를 겪었다는 김선근님의 경우
R6.2의 battery는 약하고 M6의 battery는 정상이었기에
저와는 반대되는 결과가 나온 게 아닌가 싶습니다.
결국 SCA 3502나 351을 사용해도
M6 TTL과 R6에서 모두 발광은 되는 셈입니다.
제대로 TTL이 작용하는지는 의문이지만...
Metz에 문의한 결과 날아온 답변은
아직까지 M6와 R6 양쪽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어뎁터는 없으니
M6에는 반드시 SCA 3502를 사용하고
R6에는 반드시 SCA 351을 사용하라는 이야기와
두 카메라 내부 회로가 다르기에
절대로 바꿔서 사용하지 말라는 이야기 뿐이었습니다.
민병규님께서 정답을 주셨는데도
부끄럽게도 제가 이해를 잘못해서 이런 해프닝이 벌어졌네요!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부산의 김선근님과도 쪽지로 확인했습니다.
김선근님도 R6.2의 battery를 교체하고 시도해보니
SCA 351로 M6 TTL과 R6.2 양쪽에서 모두 동조가 잘 된다고 하십니다.
결국 바디의 battery가 문제였다는 게 확인이 되었습니다.
댓글목록
이창근님의 댓글

저도 메츠플래쉬를 주로 사용하는데.. 비슷한 일을 겪고 미광에 문의해본 적이 있습니다. 미광도 홈피에 없는 자료는 자기들이 모르겠다고 하더군요. 다만, 플래쉬에 따라 예전에 아날로그에 맞추어 나온 플래쉬들 중 일부 기종에서는 구형 아잡타를 사용하면 ttl을 쓸수없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군요. 카메라가 최신 발매기종인 경우에도 맞는 아잡타가 아직 대응이 안된 상태이거나, 디카나 전자셔터인 경우에 아잡타나 플래쉬가 맞지를 않아 플래쉬가 아예 터지지 않는 경우도 있고.. 결국.. 결론은 플래쉬를 바꾸는 수 밖에 방법이 없을 듯 합니다.
저도 3102 아잡타를 사용하여 캐논 20D에 사용하려니.. 바디 온 식인 54mz-3은 아무런 이상없이 ttl이 잘 작동을 하는데.. 같은 아잡터를 이용하여 그립 온식인 60ct-4에 사용하려니.. 기종에 맞추어 나온 최신의 아잡타 (3102 M3)인데도 ttl을 사용할 수가 없고 A모드로만 작동이 되더군요. 그래서 그냥 A모드로 촬영합니다. 이런 경우는 최신의 카메라에 플래쉬가 아날로그 방식이라 맞지 않는 경우라 볼 수가 있겠지요.
어차피 TTL이란 것이 만능은 아니니.. 별 차이는 없으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다만.. 조금 불편할 뿐..
그리고 방금 확인하였는데.. 저의 라이카 아잡타의 경우 M7에는 둘다 되는군요.
다만, 제것은 아잡타가 비교적 최근의 발매품인 3502 M2 입니다.
아마도 가지고 계신 것은.. 예전 구형의 경우 3502 M 혹은 M1 일 수도 있고..
구형 아잡타의 경우, 새로운 제품 (M7, M6TTL) 등지에는 호환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쩌면 최신 라이카 TTL 아잡타인 3502 M2 를 별도로 추가 구입하시면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영준님의 댓글

현재 제가 사용하는 어뎁터는 3502 M3입니다.
Metz home page의 설명에 의하면 어댑터 뒤의 M1, M2, M3는 기능과 상관이 없답니다.
조금씩 신형으로 바뀌면서 번호를 부여하기에 실제로 M1이나 M3나 관계가 없답니다.
R6에서는 32 MZ-3과 SCA 3502 M3가 완벽하게 작용하고
또한 다른 카메라(X-Pan II와 Rollei 3003)에서도 제대로 작용을 하는 것을 보면
32 MZ-3와 SCA 3502에는 이상이 없는 듯합니다.
TTL이 안 되는 문제가 아니라 M6에서는 아예 작동이 안 되는 편입니다.
대여섯 번 시도하면 어쩌다 한번 작동하니...
일단 Metz에 문의했으니 그 쪽 답변을 기다리는 수 밖에 없네요!
저는 혹시 현재 M6 TTL에 32 MZ-3를 사용하시는 분이 있으신가 해서...
이창근님! 답변 감사합니다.
민병규님의 댓글

저도 처음에 비슷한 경우를 경험했었습니다
장비가 다른 종류라서 같이 비교하기가 맞는지는 모르지만요...
저는 32z-2에 3502를 장착하고 시험촬영을 하는데 어쩌다 한번씩 되더라구요
M6 TTL을 구입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이라 당시 무척이나 긴장했었지요
그래서 제게 장비를 양도하여 주신 분께 그런 점을 말씀 드렸고,
반도나 수리센타에도 문의를 해봤었는데 별로 신통한 답을 못들었습니다
그렇게 여러번을 고민하며 만지작 거리다가 답을 얻었지요
M6 TTL에서는 예전의 장비와는 달리 셔터속도와 배터리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셔터속도가 동조속도 이상(30과 60사이에 표시된 부분)인 경우와
또한 배터리가 없을 경우에는 발광이 안된다는 사실을요..
같은 경우인지는 모르겠지만 간단하게 경험담을 말씀드렸습니다
김선근님의 댓글

32MZ-3에 SCA351슈를 사용는데,저는 그반대입니다.
M6TTL은 동조가 되는데,R6.2에는 동조가 안됩니다.
R6.2에서는 5~6회시도하면 어쩌다 한번 됩니다.
그래서 R6.2바디에 문제가 있나해서 점검해볼 생각을 가지고 있는중입니다.
이영준님의 댓글

김선근님의 경우 저와 반대라니 해결책이 보이는 듯합니다.
저도 지금 제 M6 TTL에 이상이 있지 않나 생각 중이었습니다.
SCA 351을 사용하시는데 이상이 없다면 저도 SCA 351을 구해 시험해봐야겠습니다.
제 생각에는 김선근님도 SCA 3502를 구해 시도해보시면 잘 될 듯합니다.
32 MZ-3는 이상이 없는 듯합니다.
SCA 3102로 1D에서 테스트해보니 완벽하게 작동합니다.
32 MZ-3의 경우 Leica에서는 반대인 듯합니다.
R6/R6.2가 아닌 R8/R9과의 조합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Metz 32 MZ-3를 사용하려면 R6/R6.2에서는 SCA 3502와
M6에서는 SCA 351을 사용해야 하는 모양입니다.
Metz 본사에서 답글이 오면 update해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영준님의 댓글

조금 전 명동의 충x카메라 메츠 수리 담당자분하고도 통화를 했습니다만 그 분도...
또한 Metz 수입상인 미광상사에서도 답변을 제대로 하질 못하네요!
역시 어뎁터를 잘못 선택한 것 같습니다.
SCA manual에 의하면 TTL mode에서 카메라 view finder에
flash readiness(번개표시)가 지속적으로 켜져있지 않으면
후레쉬 발광이 안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M6 TTL에 SCA 3502를 이용하여 32 MZ-3와 45 CL-4로 시험해보니
두 개 모두 flash readiness가 지속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발광도 안됩니다.
반면 R6에 SCA 3502를 이용하여 32 MZ-3와 45 CL-4로 시험해보니
두 개 모두 flash readiness가 지속적으로 표시되고 발광도 잘 됩니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볼 때 Metz 32-MZ-3와 SCA 3502에는 이상이 없다는 결론을...
결국 카메라와 Metz flash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니고
Metz 32 MZ-3를 M6 TTL에 사용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것과는 반대로
SCA 351 adaptor를 사용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R6/R6.2에는 SCA 3502를 사용해야하고...
위의 김선근님의 경우는 저와 정반대이시니...
아마도 저는 SCA 351을, 부산의 김선근님은 SCA 3502를 구해서
M6와 R6에 교체해가면 사용하면 될 듯합니다.
가까이 계시면 만나서 소주라도 한잔 나누면서 시험해보면
시원하게 해결될 것 같은데 서울과 부산이니...
김선근님께서 주위에 SCA 3502를 가지신 분이 계시면 한번...
틀림없이 R6에서 동조가 잘 되리라고 봅니다.
이영준님의 댓글

어제 적은 바로 위의 글을 읽어보니 제가 잘못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
역시 어뎁터에 잘못이 있는 것 같습니다.
SCA manual에 의하면 TTL mode에서 카메라 view finder에
flash readiness(번개표시)가 지속적으로 켜져있지 않으면
후레쉬 발광이 안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M6 TTL에 SCA 3502를 이용하여 32 MZ-3와 45 CL-4로 시험해보니
두 개 모두 flash readiness가 지속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발광도 안됩니다.
반면 R6에 SCA 3502를 이용하여 32 MZ-3와 45 CL-4로 시험해보니
두 개 모두 flash readiness가 지속적으로 표시되고 발광도 잘 됩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Metz 32-MZ-3와 45 CL-4에는 이상이 없고
제 SCA 3502에 이상이 있다는 결론을 내려야겠습니다.
결국 카메라와 Metz flash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니고
제가 구한 Metz SCA 3502 M3 adaptor가 이상이라는...
그런데 이렇게 결론을 내리면 저와는 정반대인
김선근님의 SCA 351도 이상이 있다는 결론을 내려야 하는데...
제 것과 김선근님의 어뎁터는 겉과 속이 바뀐 불량품이라고 어거지로 설명하면???
제 것은 겉은 3502이지만 속은 351이고,
김선근님의 것은 겉은 351이지만 속은 3502라고...
어쨋든 다른 SCA 3502를 구해서 실험해봐야 결론을 내릴 수 있겠습니다.
오늘 다시 위의 제 답글을 읽어보니 잘못된 것 같아 새로 답글을 달았습니다.
원인을 찾아내게 되면 다시 첨언하겠습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