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지필터 사용법 질문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임상렬
- 작성일 : 05-11-05 15:22
관련링크
본문
얼마전 '대체로 밝은, 엷은 구름이 높이 깔린 날'에 상암동 평화공원에서
M3
Summaron 35/f3.5, 라이카 오랜지필터
T MAX 100 B/W
으로 점심 경부터 오후 5시쯤까지 1롤 찍었습니다. 스마론렌즈 구입 후 첫 사용이었구요.
현상해보니 하나같이 노출부족이군요.
현상소 말로는 0.5스텝, 몇몇은 거의 1.0스텝 부족이라는군요.
오랜지필터에 노출조정치를 나타내는 x1, x2같은 표시가 없어 조정을 하지 않고
그냥 찍었는데,,,
오랜지 필터는 표시 유무와 무관하게 노출조정해야 하나요?
어쨌건 결과물로만 보면 반스텝쯤 열어줘야 할 것 같은데,
아님 번거롭더라도 주 피사체 가까이가서 반사광을 측정해야 할까요?
스마론 3.5 이용자님들 도움말 부탁드립니다.
M3
Summaron 35/f3.5, 라이카 오랜지필터
T MAX 100 B/W
으로 점심 경부터 오후 5시쯤까지 1롤 찍었습니다. 스마론렌즈 구입 후 첫 사용이었구요.
현상해보니 하나같이 노출부족이군요.
현상소 말로는 0.5스텝, 몇몇은 거의 1.0스텝 부족이라는군요.
오랜지필터에 노출조정치를 나타내는 x1, x2같은 표시가 없어 조정을 하지 않고
그냥 찍었는데,,,
오랜지 필터는 표시 유무와 무관하게 노출조정해야 하나요?
어쨌건 결과물로만 보면 반스텝쯤 열어줘야 할 것 같은데,
아님 번거롭더라도 주 피사체 가까이가서 반사광을 측정해야 할까요?
스마론 3.5 이용자님들 도움말 부탁드립니다.
추천 0
댓글목록
김옥현님의 댓글

흑백용 칼라 필터는 렌즈에 들어오는 빛이 필터를 통과하면서 광량이 감소되므로, 외부 노출계로 측광하는 경우에는 이 감소된 광량만큼 보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Filter Factor라고 합니다.
Filter Factor는 필터 프레임에 표기되어 있기도 하고 표기되어 있지 않기도 하지만, 어느 경우이든 본인이 사용하는 필터의 정확한 factor를 노출계를 사용하여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필터마다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Yellow 2x(1단계 +보정), Orange 4x(2단계 +보정), Red 8x(3단계 +보정)를 기준으로 보시면 대차 없을 겁니다.
Filter Factor는 대개 4x, 5x 하는 식으로 배율로 표기되어 있지만, 가끔씩 ev로 표기되어 있는 것도 있으니 주의를 요합니다. 4x는 2 스톱이지만, 4ev는 4 스톱입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