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Information

인위적인 소용돌이 보케 발생에 대한 관찰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곽재원
  • 작성일 : 06-09-27 10:36

본문

사진 2장은 모두 Leica R 50mm summicron 2.0 으로 찍었습니다.



소용돌이 보케라는 조금 특이한 현상 때문에 이것저것 실험하다가 알게 된 사항이 있어서
이렇게 사용기로 남깁니다.



일반적으로 소용돌이 보케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비네팅에 의해서 발생하는 현상이고요, ( optical vignetting )
발생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1) 밝은 f값
2) 작은 이미지 서클
3) 렌즈 자체의 경통의 길이가 길 것
4) 광각보다는 망원에서 일어나기가 더 쉬우나, 망원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미지서클을 크게 설계하기 때문에 2)번에 위배되어서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 포클 Q&A 란 Isajah/박정수 (2005-07-23 14:05:16) 님의 답변에서 발췌....



위의 사항을 곰곰히 생각해보다가 하나의 공통점을 찾을수 있었습니다.

바로 주변부 화질과 광량 저하라는 공통점이 있더군요. 일반적으로


1) 밝은 f값 - 밝은 렌즈일수록 주변부 화질저하가 일어납니다.

2) 작은 이미지 서클 - 이미지 서클의 경우 주변부로 갈수록 화질저하가 일어나니 작으면 주변부가 더 안좋겠죠

3) 렌즈 자체의 경통의 길이가 길 것 - 이 경우도 상대적으로 이미지서클이 작아지게되니 2번과 중복이라 봅니다.


따라서, 현대의 렌즈에서도 인위적으로 주변부 화질을 저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면 소용돌이 보케를 만들어낼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제가 찾아보니.. 렌즈 주변에 콧기름을 동그랗게 바르면 소용돌이 보케를 생성

된다하는 점에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하지만, 콧기름으로 생긴 보케가 아니라 통일적으로 소용돌이가 돌고 중심부 화질을 안떨어트리는 방법이 문제였습니다;

그 대안으로 찾은것이 편광필터 였습니다. 편광필터가 빛을 일정 각도만 투과시킨다는 점에서 주변부에 동그랗게 편광필터

를 설치하면 주변부만 일정 방향으로 빛이 입사하고 그에 따라서 일정한 소용돌이 보케가 생길 것이라는 점 착안하여

실험해본 결과 어느정도는 성공적이었습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마스킹 필터를 사용하여 약간의 주변부 광량 저하를 준 결과 눈으로 확인될 정도의 소용돌이 보케를

얻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예기치 못한 효과이지만 , 기존의 소용돌이 보케가 주변부에는 모두 효과가 나타나는 데 반해서 이렇게 발생시킨

소용돌이 보케는 주변부라도 촛점이 맞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고 촛점이 맞지 않는 부위에서만 소용돌이 보케가 나타납니다.


또한, 기존의 소용돌이 보케를 일으키는 렌즈가 소용돌이 보케를 위하여 조리개를 개방하면 전체적으로 이미지 퀄리티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던 반면에 사용한 50밀리 스미크론은 촛점이 맞는 부위는 기존 화질을 유지하고 주변부만 소용돌이 보케가 나타나기

때문에 인물사진에 더 유용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심도가 낮아지는 문제와 주변부 비네팅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서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인물사진에서

인위적으로 비네팅을 발생시킬때는 유용하게 쓰일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계속 실험을 거쳐서 완성시킬 예정입니다.

사용기 쓰기 무지어려운것 같습니다...ㅜㅜ

그리고... 렌즈를 만드는데 쓴 계산은 모두 Matlab 7.0 으로 했습니다.


사진 2장은 모두 Leica R 50mm summicron 2.0 으로 찍었습니다.
추천 0

댓글목록

조홍상님의 댓글

조홍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기왕이면 편광필터와 마스킹필터를 장착한 사진도 올려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아울러 설치요령이랄까..하는것도..

유강님의 댓글

유강

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K이종구님의 댓글

JK이종구

공부와 내공이 대단하십니다.

서일홍님의 댓글

서일홍

matlab 으로 계산을했다?...
음.. matlab 으로 계산을 할정도면.. 렌즈를 해석을 하는 수준인가요?..헐..
대단하십니다. 그쪽의 공부를 하고 계심인가 보군요..

이웅일님의 댓글

이웅일

멋진데요...
저도 한 번 실행에 옮겨봐야겠습니다.
유용한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신재성님의 댓글

신재성

꼭 편광필터와 마스킹 테이프를 장착한 렌즈의 사진을 보고싶습니다 ^^

잘읽었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