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곰섬의 만조
진상훈 Film 흑백관련링크
본문
페이지 정보
- 설명태안 곰섬에서... 일몰후. 1분정도 노광
필름 카메라
카메라 | 3.5f | 렌즈 | |
---|---|---|---|
필름 | Neopan Acros100, Rodinal 1:100, 전습3분, 20도 18분 | 스캔 | Neopan Acros100, Rodinal 1:100, 전습3분, 20도 18분 |
추천 3
댓글목록
조성욱님의 댓글

장노출...멋진 작품입니다.
전 흑백현상을 배우는 중이고
현상액. 정착제는 코닥제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배합율은 설명서 대로 하기는 하는데, 현상이 잘 되고 있는 것인지.................
" Rodinal 1:100 " 제품에 알고 싶고
흑백현상에 대해 한 수 배우고 싶습니다. ^^
좋은 작품 감상 잘 했습니다.
정순혁님의 댓글

몽환적인 느낌이 참 좋습니다 ^^
멋진 사진 잘 감상합니다....
진상훈님의 댓글

인용:
원 작성회원 : 조성욱
장노출...멋진 작품입니다.
전 흑백현상을 배우는 중이고 현상액. 정착제는 코닥제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배합율은 설명서 대로 하기는 하는데, 현상이 잘 되고 있는 것인지................. " Rodinal 1:100 " 제품에 알고 싶고 흑백현상에 대해 한 수 배우고 싶습니다. ^^ 좋은 작품 감상 잘 했습니다. |
가르침이라니요 당치도 않습니다. 제가 오히려 선배님 섬진강 사진을 감명깊게 보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저도 이제 갓 시작해서 대부분의 현상 정보는 http://www.digitaltruth.com/devchart.html : 현상약품과 필름을 선택하면 다양한 온도와 처리시간 등이 나와있습니다. 이것이 절대적인 잣대는 아니고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많은 실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들 하십니다. 조금씩 변화를 주어가며 자기만의 아이덴티티를 가지게 되는 과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Voigtclub에 보시면 다양한 현상작례가 나와 있습니다.
http://voigtclub.com/lb/lord.php?id=self_develop
주로 이 두 곳을 참조하고 있습니다.
로디날의 경우는 아그파에서 생산된 현상액으로 알고 있으며, 관용도가 아주 좋고 입자감이 참 좋다라는 정도 알고 있습니다. 전엔 티맥스 현상액을 주로 써봤는데... 얕은 제 생각엔 그리고 제 기호엔 로디널이 참 좋습니다. 또 교반방법에 따른 다양한 표현 방식이 있는 것 같고, 무엇보다 ^^ 아주 경제적이라 좋습니다.
보통 1:50, 1:100, 1:200으로 혼합해서 많이들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