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잦은질문모음
  • TOP50
  • 최신글 모음
  • 검색

Forum

HOME  >  Forum

Community

1.35 V 짜리 밧데리 (PX625 형) 구하기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진인구
  • 작성일 : 10-11-05 16:50

본문

흔히 PX625형 밧데리라는 게 있습니다.
아는 분은 알고 모르는 분은 알 필요가 전혀 없는...

MR9 형 전지라고 하기도 하고, 부르는 명칭이 여럿 되나봅니다.

옛날에 이 전지는 흔한 전지였고, 납 Pb 성분이 들어간 전지고, 1.35V (볼트) 전압인데

라이카 M5, CL, 그리고 Leicameter MR 과 MR-4 에 사용됩니다.

다른 카메라의 경우 올림푸스 OM 계열과 롤라이 쪼그만거, 등등에 사용하는 겁니다.

이게 전세계적으로 납 사용 중지가 법으로 정해져서 생산중단 판매중단이 되었지요.

그런데, 형태자체는 아주 비슷하게 만들어져서 PX625A 형이라고, 알카리전지가
그 후 생겼는데, 이건 1.5 V 짜리입니다.
이 전지는 중국제가 많이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데 하나에 1,000 원 정도 하더군요..

문제는 1,35 볼트와 1.5 볼트 차이가 노출계에서 문제가 생깁니다.
노출이 부정확하게 되는 것인데요..

1.35 볼트 전지는 현재 WeinCell 이라는 브랜드의 Zinc-air 타입 전지가 있는데,
이게 미국에서 개당 5불 정도 하나봅니다.
이걸 전에 우리나라에서는 개당 9,000 원에 팔았더군요..
(지금은 우리나라 카메라 샆에서 대개 품절상태로 보이는데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인터넷에서 찾아보았습니다.

1) LR44 처럼 흔히 구하는 1.55 V짜리 전지를 어댑터에 넣어서
1.35 V로 낮춰주는 어댑터가 있더군요..
일본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파는 데가 없나봅니다.

2) 알칼라인 625A 전지를 그냥 사용하고, 노출 보정을 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전지는 세월지남에 따라 볼트가 서서히 떨어지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전압 유지가 안되는 단점이 있고요..

3) 카메라 바디 같으면, 밧데리 삽입 부분을 변조시켜서 1.5 볼트짜리 전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1.5 V 에 노출계를 조정시켜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건 제 M5의 경우에 그렇게 했습니다. 영x 카메라에서 수리해줍니다.
노출계가 매우 정확해졌습니다. ).
그런데 LeicaMeter MR 에도 이 방법이 가능한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설령 가능하다해도, 수리비용이 만만치 않다면 차라리 비싼 Weincell 을
구입 사용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4) 가장 간단한 해결책이 Weincell 제품 전지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게 우리나라에서 혹시 파는 곳이 있는지 아시는 분 있나.. 해서 ...
이 긴 글을 올리게 된 것입니다.. ^^
아니면, 그냥 미국 Adorama 카메라샾에 주문해야하겠네요..
12개 한 팩 값이 50불 정도인데, 문제는 발송비가 그 보다 더 비싸게 책정을 해놓았네요..

이 Weincell 전지 하나면 Leicameter MR 에 사용할 때 1년 쓸 수 있다하니,
12개 사면 12년 걱정없겠는데... 더 많이 한꺼번에 구입하기도 어려운 것이,
이 전지의 유효기한(shelf life)이 10년이랍니다.. ㅎㅎ

혹시 이 문제에 대해 좋은 해결방법을 아시는 분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

또.. Weincell 을 구하고자 하는 분들이 여러 분 있으면,
여러개 사서 나눠 써도 될 것입니다.
추천 0

댓글목록

신 영님의 댓글

신 영

공감을 하는 문제입니다.
저도 CL,Rollei 35s 등을 사용하는지라
이 전지 구입에 관하여 당황한적이 있습니다.
그래도 사는곳이 뉴욕인지라 Adorama 에 달려가서
구입을 했지요.
환경 공해로 인하여 이런 류의 제품들은 서서히 생산을
중단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언제 생산이 중단될런지 알수 없으므로
만약, 품절을 염려하여 여분으로 몇개 더 사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구하시기가 어려우시다면 이곳에서 구매하여 보내드릴수도 있는데
우송료는 저렴하겠지만 구매할때 Tax 를 물어야 되는 문제는 있습니다.

전태홍님의 댓글

전태홍

진 선생님
저도 Rollei 35 classic을 구입하며 몇가지 방안을 생각하다가 카메라를 개조하는 것보다 어댑터를 결정하고 국내 인터넷 카메라 판매점 사이트 상으로는 품절인데 주문해서 약 2주만에 일본산 어댑터를 구했습니다.

처음살때 일본산 배터리와 같이 샀는데 그 배터리 역시 국내에서는 구하기가 쉽지 않은 제품이어서 여러 곳을 수소문 한 결과 아는 시계점을 통해 스위스산 시계용 1.55볼트 배터리를 찾았습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진인구

어댑터: 일제에 관해서는 http://www.kanto-cs.co.jp/sale/adapter/adapter.html 참고바랍니다.
SR43 형 (1.55V) 를 사용권장하고 있네요.. Zinc Silver Oxide 전지가 전압이 고르게 나오나 봅니다.
이 SR43 밧데리는 www.battman.co.kr 에 일제도 있고 스위스 제품도 있습니다.

어느 회원님 말로는 M5 에서 위 방식으로 아주 완벽하고 만족하게 사용하고 있다하고요..

또 다른 회원님 말로는, 위 방식을 사용하다가 노출계 망가진 경험있다는 소문 들었다는 분도 있구요..

Leica 독일 본사에서는, Weincell 제품을 추천한다더라..하는 글을 어제 인터넷에서 제가 본 게 있습니다.

LeicaMeter MR 에서는 위 SR43+어댑터를 바로 사용할 수 없고, 이 노출계의 전지삽입부를 개조해야한다고 합니다. 위 일본 사이트에 그리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LeicaMeter 에서는 현재로는 Weincell 사용이 가장 쉬운 방법이 되겠네요
일본에서 이 미터기 개조가 가능하다면, 우리나라에서도 가능하지 않겠나 싶기도 합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진인구

인용:
원 작성회원 : 신 영
공감을 하는 문제입니다.
저도 CL,Rollei 35s 등을 사용하는지라
이 전지 구입에 관하여 당황한적이 있습니다.
그래도 사는곳이 뉴욕인지라 Adorama 에 달려가서
구입을 했지요.
환경 공해로 인하여 이런 류의 제품들은 서서히 생산을
중단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언제 생산이 중단될런지 알수 없으므로
만약, 품절을 염려하여 여분으로 몇개 더 사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구하시기가 어려우시다면 이곳에서 구매하여 보내드릴수도 있는데
우송료는 저렴하겠지만 구매할때 Tax 를 물어야 되는 문제는 있습니다.


weincell 의 가장 큰 문제는
아마도 수명이 길어야 1년간다.. 하는 건가 봅니다..

그 수명이란게 습도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하는데, 습도가 높은 곳에서는 서너달 정도? 밖에 못쓴다고 하네요..
미국 캘포냐에 사는 Ken Rockwell 이라는 사람말로는 자기는 1년가까이 쓴다해요.. (뭐 건조한 곳에서 사니까 그런 모양.. ^^)

습도 높은 Tokyo 에 사시는 유경희 회원님 말로는 6개월은 썼다..라고 하시고요..

강인상님의 댓글

강인상

일전에 저도 이 베터리를 찾아 무척 애쓴 기억이 있습니다..^ ^

한 1년 반 정도 되는데요.

그 때도 국내에는 거의 없는 상황이더군요.;


결국 그 때 저 또한 이베이로 주문했답니다..;;


선배님, 필요하신 분들 함께 공구하시면 어떨까요. ^__^

장재민님의 댓글

장재민

인용:
원 작성회원 : 강인상
일전에 저도 이 베터리를 찾아 무척 애쓴 기억이 있습니다..^ ^

한 1년 반 정도 되는데요.

그 때도 국내에는 거의 없는 상황이더군요.;


결국 그 때 저 또한 이베이로 주문했답니다..;;


선배님, 필요하신 분들 함께 공구하시면 어떨까요. ^__^


우리 동네니까 구입책, 운송책 할테니 알려주세요.
저도 두개 필요합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진인구

인용:
원 작성회원 : 장재민
우리 동네니까 구입책, 운송책 할테니 알려주세요.
저도 두개 필요합니다.


장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럼. 제가 공구 희망자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정화님의 댓글

이정화

저도 구할려고 이베이에 들락날락 하고 있습니다.

이상진님의 댓글

이상진

충무로에는 없더군요...청계천에 함 뒤저보면 있슬거.....란 말을 하더군요...

이상진님의 댓글

이상진

오늘 청계천을 다 돌아봤는데 1.35V 는 없더군요. 625A 는 그중에 몇군데 팔더군요 가격응 알당 2000원이더군요, 세알 사왔네요.
남대문은 확인 못했습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진인구

인용:
원 작성회원 : 이상진
오늘 청계천을 다 돌아봤는데 1.35V 는 없더군요. 625A 는 그중에 몇군데 팔더군요 가격응 알당 2000원이더군요, 세알 사왔네요.
남대문은 확인 못했습니다.


625A라는 것은 alkaline battery 이고 1.5 V 인걸로 아는데요.. 그것은 상당히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만.. 전압이 달라서 노출이 오락가락하게 되는 걸로 압니다... EV높은 쪽과 낮은 쪽 구간에서..

현재는 wine cell 과 스위스 제품 한두가지가 1.35 V 이고
아니면 어댑터를 구입하셔야하는데, 이 어댑터는 우리나라에서 더 이상 구하기 힘든것으로 압니다. 자작도 가능하다고 하긴 하는데...
일본에서 구입할 수 있다고 듣긴 들었습니다만... 추천하는 분도 있고 아닌 분도 있습니다..

토요 사랑방에 자주 나오시면 혹시 이 1.35 V 받데리를 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가끔 서로 잘 알게 되면 그런 것 그냥 빌려주거나 공짜로 주거니 받거니 하는 경우가 왕왕 있거든요... ^^

임재식님의 댓글

임재식

혹시 보청기용 밧데리중에서 맞는게 있을 겁니다.
전에 노출계에 필요해서 찾던중에 바인셀은 결국 못구하고
보청기용 밧데리를 구해서 사인펜 껍질로 케이싱을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Forum
Gallery
Exhibition
Collection
회원목록
잦은질문모음
닫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