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9과 IR 필터 사용에 관한 의문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유인환
- 작성일 : 10-10-25 23:24
관련링크
본문
본인이 선택하는 구경의 IR 필터 2개를 무료로 집으로 우송해 주고 있습니다
물론 라이카 본사 웹싸이트에 카메라 일련번호를 등록해야만 하고
이는 신품 구입자에게만 제공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점에 궁금증이 생기는데 달리 해답을 얻을 곳은 없어
라클 질문란에 올립니다.
잘 아시는 분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1) M8에는 IR 필터를 사실상 하나의 부속품 처럼 사용 할 것을 권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M8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꼭 필요한 이유가 특별히 있는 것인지요?
2) M8에 IR 필터를 사용한 사진과 사용하지 않고 촬영한 사진 사이에
육안으로 보기에는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데
어떤 차이가 있다는 것인지요?
3) 그에 반하여 M9의 구매자에게는 IR 필터가 제공되지 않는 다기에
반도 카메라 담당자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M8과 달리 M9에서는
내장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M8에서의 문제점이 다 해결 되었기 때문에
M9에는 IR 필터가 필요 없다는 짤막한 대답을 들었지만 M9에서는
IR 필터가 왜 필요 없게 되었다는 것인지 잟 알 수 없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4) 그리고, M9이 그렇게 개선 되었다고 하는데 M9에 90mm 크론 렌즈를 장착하여
촬영하면서 IR 필터를 의도적으로 장착하고 촬영을 해 보았는데도
필터 있었을 때 사진과 필터가 사용되지 아니한 사진 사이에 역시, 별로
차이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M9에는 IR 필터를 사용하면 안되는것 인지요 ?
IR 필터를 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건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댓글목록
서재근님의 댓글

정확하게 하면 UVIR 필터겠지요.
1. M8 에는 uvir 필터를 꼭 사용 하여야 합니다.
그 이유는 보라돌이 현상 이라고, 검정 색이 보라색으로 표현 됩니다.
2. 육안으로도 차이가 가능 합니다.
단 검정색의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검정옷을 입은 인물사진이라던지, 기타사물의 검정색을 보면 차이가 있습니다.
3.보라돌이 현상을 내장 프로그램으로 잡았다는 이야기겠지요.기술적인 문제는 찾아보면 알겠지만
귿이 알려고 해 보지 않았습니다.
4. 일반 M바디나 랜즈에 uvir 필터를 끼면 uv 필터를 끼었을때와 결과물에 차이가 있을까요.
저도 궁금하여 어느분께 여쭈어 보았더니, 칼라사진의 경우 차이가 있다 합니다.'안좋은 쪽으로....
왜, 어떻게 나쁜지는 묻지 않았습니다. 그냥 사용 안할려구요.
전문적인 답이 되지못해 죄송합니다.
유인환님의 댓글

서재근님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제 뭐좀 알 것 같습니다. 그렇군요.
그게 뭔지 몰랐는데
...그게 결국 보라돌이 현상이라는 것이군요.
진한 검정색 옷입은 사람을 찍었는데
옷 색깔이 검정색으로 나타나지 않고
보라색이 섞인 검정색, 어찌보면 진한 고동색 같이 나타나기에
디지털 카메라에 나타나는 어쩔 수 없는 한계로서 일반적인 현상이거니 - 하고
가벼이 생각하고 넘겼는데.
그 거 였군 요.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 처럼 혼자 출사다니며 혼자 사진을 찍어보는 사람에게는
어디 궁금한 것 물어 볼 데도 없고 또 알고 싶은 걸 설명해 주는 분도 없어 어려웠는데
라클에 들어오니 좋은 선배님들 좋은 답변과 말씀을 자주 접하게 되어 참 좋습니다.
다시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한지영님의 댓글

서재근회원님의 답변에 추가하여 답변 드립니다.
1) 필름은 적외선이 거의 감광되지 않지만 디지털센서는 적외선에서 감광됩니다.
하여, 대부분의 디지털카메라는 센서앞에 로우패스필터를 부착하여 적외선을 걸러냅니다.
하지만 로우패스 필터는 해상력을 떨어뜨리는 단점도 있습니다. M8에서는 더 나은 화질을위해
로우패스필터를 부착하지않고 UV/IR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적외선을 걸러내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좀 더 나은화질을 얻은대신 UV/IR필터를 꼭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을 얻었습니다.
2) 적외선 함량이 많은 조명하에서, 적외선 반사률이 큰 피사체를 촬영하면
(검은 폴리에스테르 등) 적외선이 감광되어 마젠타가 강하게 끼게 됩니다.
적외선이 거의 없는 주광의 야외에서는 별 차이 없어보일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컬러사진을 한다고 봤을떄 M8에서 UV/IR필터는 필수입니다.
3) M9은 이미지프로세싱으로 속징 보라돌이 현상을 크게(거의) 개선했습니다.
4) UV/IR필터는 말그대로 적외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고 가시광선만 통과시키는 필터입니다.
떄문에 M8이 아닌 다른 카메라에서 사용하더라도 일반 UV필터와 같은 결과물을 얻을수있습니다.
다만, 35mm이하의 광각렌즈에서 UV/IR필터는 사용시 입사하는 적외선의 방향에 따라
주변부에 cyan cast가 생기게 됩니다. 광각일수록 심하게 생깁니다.
M8에서는 렌즈별로 적절하게 SW보정으로 cyan cast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렌즈별 sw보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6bit코딩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M8을 제외한 카메라에서 광각렌즈 사용시 UV/IR필터는
M8에서만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서재근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한지영
서재근회원님의 답변에 추가하여 답변 드립니다.
1) 필름은 적외선이 거의 감광되지 않지만 디지털센서는 적외선에서 감광됩니다. 하여, 대부분의 디지털카메라는 센서앞에 로우패스필터를 부착하여 적외선을 걸러냅니다. 하지만 로우패스 필터는 해상력을 떨어뜨리는 단점도 있습니다. M8에서는 더 나은 화질을위해 로우패스필터를 부착하지않고 UV/IR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적외선을 걸러내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좀 더 나은화질을 얻은대신 UV/IR필터를 꼭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을 얻었습니다. 2) 적외선 함량이 많은 조명하에서, 적외선 반사률이 큰 피사체를 촬영하면 (검은 폴리에스테르 등) 적외선이 감광되어 마젠타가 강하게 끼게 됩니다. 적외선이 거의 없는 주광의 야외에서는 별 차이 없어보일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컬러사진을 한다고 봤을떄 M8에서 UV/IR필터는 필수입니다. 3) M9은 이미지프로세싱으로 속징 보라돌이 현상을 크게(거의) 개선했습니다. 4) UV/IR필터는 말그대로 적외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고 가시광선만 통과시키는 필터입니다. 떄문에 M8이 아닌 다른 카메라에서 사용하더라도 일반 UV필터와 같은 결과물을 얻을수있습니다. 다만, 35mm이하의 광각렌즈에서 UV/IR필터는 사용시 입사하는 적외선의 방향에 따라 주변부에 cyan cast가 생기게 됩니다. 광각일수록 심하게 생깁니다. M8에서는 렌즈별로 적절하게 SW보정으로 cyan cast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렌즈별 sw보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6bit코딩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M8을 제외한 카메라에서 광각렌즈 사용시 UV/IR필터는 M8에서만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머리속에 쏙쏙 들어오는 시원한 설명 이십니다.
이기회에 확실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 합니다.
이헌구님의 댓글

예.. 근데 제가 알고 있기론 M9에서 IR cut이 필요 없어진 이유는 CCD센서판에 IR cut 필터가 장착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센서 출력 데이터를 후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센서 감광이 안되게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M8에서는 중간에 software(firmware)적인 image processing으로 어느정도 개선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음 그리고.. lowpass filter로 UV cut은 가능하지만, IR cut은 불가능합니다...
김_민수님의 댓글

저도 궁금한것이 생겼습니다.
가시광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적외선을 걸러내고 이보다 낮은
가시광선을 통과시키는 로우패스 필터를 쓰는것은 이제 이해가 가네요.
그럼 적외선 영역과 가까운 붉은색의 경우 로우패스 필터를 쓰면 해상도가 떨어지는것
말고도 붉은 색의 구현에 조금 영향을 받지는 않는지요?
혹은 붉은 색의 영역대는 온전히 통과시키는 대신 100% 적외선의 차단이
힘들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적외선으로인한 약간의 마젠타는 대부분의 카메라에서 생기게 마련일것 같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정도의 차이는 잇겠지만요.
이헌구님의 댓글

IR cut은 lowpass filter가 아니라 highpass filter입니다.
만약 IR-red경계에서 lowpass filter를 쓰면.. ND필터같은 상황이 연출될 것입니다...
김_민수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이헌구
IR cut은 lowpass filter가 아니라 highpass filter입니다.
만약 IR-red경계에서 lowpass filter를 쓰면.. ND필터같은 상황이 연출될 것입니다... |
아..그렇네요^^
적외선이 가시광선보다 낮은 주파수대였지요..그러니까 가시광선 영역은 통과시키는
것이겠고요..
일찍 지적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당^^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