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광 필터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하효명
- 작성일 : 10-06-01 13:50
관련링크
본문
밑에 사진은 안 쓴 사진입니다.
설명이 없으면 위 사진을 보시는 분들은 당연히 유리가 없는 가게로 아실 것 같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습니다.
편광 필터를 쓰지 않으면 유리창의 반사로 상의 전달이 확실하지 않고
편광 필터를 쓰면 현장 설명이 불확실 한 면이 있어
그 선택이 만만치 않은 것 같습니다.
위 M7 35mm Summicron(1st) kodak 160nc 5000ED 편광 필터
아래 M2 35mm Summicron(1st) kodak 160nc 5000ED UV 필터
댓글목록
이종식님의 댓글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편광 필터의 사용은 지극히 주관적이라
사용 유, 무는 의도한 작품의 내용에 따라 선택 하시는 듯합니다.
저의 경우는 필터류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지라 아래사진이
좋아 보입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그대로 전달되는 것 같아 좋습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편광필터의 사용은 그 의도에 따라 사용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니
복잡할 것은 없다고 봅니다만..
영 망설여지면 필터 끼우고 한장, 빼고 한장 찍으면 되는 것인데요..^^
위 사진의 경우에는
저같으면, 윗 사진은 창문에 반영이 비치도록 찍었을 것 같고.. (실내를 또렷이 보여줘야할 이유가 없다면 말이죠..)
아래 사진은 필터끼우고 한장.. 필터를 사용하되.. 반영이 조금만 사라지는 각도를 찾아서 한장 더..
(실제 상황에서는 끼우고 갈고 어쩌고 할 시간여유가 없겠지요? ㅎㅎ)
김_민수님의 댓글

그냥 편광필터낀 것과 안끼운 렌즈를 위해 바디를 두개 들고다니심이..ㅋㅋㅋ
전상수리님의 댓글
라이카 편광필터는 정말 쓰기가 힘들다는....
하지만 필요할땐 써야죠
김형배님의 댓글

RF 카메라에서는 아무래도 Vernier CPL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CPL 사용의 거의 유일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저도 편광 필터는 귀차니즘에 거의 사용을 하지 않고 있지만,
편광 필터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가끔 있는 것 같습니다..
결국,
고가의 Vernier Flter를
구입하게 되었고 말입니다.. -.ㅡ;;;
서재근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김형배
RF 카메라에서는 아무래도 Vernier CPL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CPL 사용의 거의 유일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저도 편광 필터는 귀차니즘에 거의 사용을 하지 않고 있지만, 편광 필터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가끔 있는 것 같습니다.. 결국, 고가의 Vernier Flter를 구입하게 되었고 말입니다.. -.ㅡ;;; |
Verminier CPL 필터가 무엇입니까?
혹시 사진 보여주실수 있으세요?
M 바디에 사용 하는것도 있나요?
아니면 판매처 링크라도......
저는 아래의 편광필터 있는데요.
요건 그런대로 사용하는데 과히 어렵지는 않던데요.....
잘 쓰진 않지만.....

정진화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서재근
Verminier CPL 필터가 무엇입니까?
혹시 사진 보여주실수 있으세요? M 바디에 사용 하는것도 있나요? 아니면 판매처 링크라도...... |
http://www.ukbulcamera.co.kr/shoppin....php?seq=11741
켄코에서 나온 제품입니다. 파인더와 필터, 이렇게 2개가 한조가 되어
파인더와 필터에 각각 숫자가 쓰여져 있습니다.
파인더로 보면서 PL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숫자를
필터의 숫자와 일치시켜 촬영하는 방식입니다.
이것도 가격이 꽤 많이 올랐네요 ^^;
서재근님의 댓글

원 작성회원 : 정_진_화
http://www.ukbulcamera.co.kr/shoppin....php?seq=11741
켄코에서 나온 제품입니다. 파인더와 필터, 이렇게 2개가 한조가 되어 파인더와 필터에 각각 숫자가 쓰여져 있습니다. 파인더로 보면서 PL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숫자를 필터의 숫자와 일치하여 촬영하는 방식입니다. 이것도 가격이 꽤 많이 올랐네요 ^^; |
아!!!!
첨 봅니다.
신기 합니다.
어차피 사더라도 한두번 찍고 말것 같습니다.
감사 합니다.
진인구님의 댓글

CPL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은 A모드가 되는 M7 이나 M8, M9 에서는
사실 아주 간단하고 또 불편할 게 없습니다.
필터사이즈를 55미리 이상짜리로 큼지막한 것을 사서
필터를 통해서 적정 위치를 대강 찾은 후에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렌즈 앞에 갖다대고 찍으면 됩니다.
CPL 필터를 렌즈에 장착하지 않고 왼손으로 렌즈 앞에 살짝 갖다대고
오른손으로 샷타누르면 됩니다.
M5나 M6TTL 에서는 샷타 다이얼을 오른손으로 돌릴 수 있으니까
이 또한 간단합니다.
기타 기종에서는
CPL 이 -2EV 효과가 생기므로
미리 노출 측정한 후에 노출을 조절한 후에
필터를 왼손으로 들고 렌즈에 갖다대고 찍으면 될 것입니다.
필터를 굳이 렌즈에 장착시켜야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